單方 只取一味 或作丸 或作末 或煎湯服 或丸 或末 每服二錢 煎湯則每五錢. 凡二十三種

단방 하나의 약만을 취하거나 가루내거나 탕을 꿇여 복용하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로 매번 2전씩 복용하며 탕을 끓이면 매번 5전이다. 모두 23종이다.

黃精 ː久服 輕身 駐顔 不老 不飢 根莖花實 皆可服之 採根 先用滾水 綽去苦汁 九蒸九曝 食之或陰乾 搗末 每日 淨水調服 忌食梅實(本草).

황정 :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이 좋아지고 늙지 않으며 배가 고프지 않다. 뿌리 줄기 꽃 열매 모두 먹을 수 있다. 뿌리를 채취하여 먼저 물에 우려 쓴맛을 뺀 다음 구증구포해서 먹거나 음건하여 찧어 가루내고 매일 맑은 물에 타 먹는다. 매실은 금기다.(본초)

 

菖蒲 ː輕身延年不老 取根泔浸一宿 曝乾 搗末 以糯米粥入煉蜜 和丸梧子大 酒飮任下 朝服三十丸 夕服二十丸(本草)

창포 : 몸이 가뿐해지고 건강하고 늙지도 않는다. 뿌리를 캐서 뜨물에 하루밤을 재워서 땡볕에 말려 가루내서 참싹죽과 함께 졸인 꿀에 섞어서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술과 함께 아침에 30, 저녁에는 20알을 먹는다.(본초)

菖蒲酒方久服 通神明 延年益壽 菖蒲根 絞汁五斗 糯米五斗 炊熟 細麴五斤 拌勻 如常釀法 酒熟澄淸久服 通神明延年益壽(入門)

창포주방오래 복용하면 신명이 통하고 건강하게 오래 산다. 창포뿌리 쥐어짠 즙 5말과 찹쌀 5말 지은 밥과 누룩가루 5근을 고루 버무려서 보통술 빚는 것처럼 담가서 술이 익은 다음에 청주를 마시면 신명이 좋아지고 건강하게 오래 산다.(입문)

 

甘菊花 ː輕身耐老 延年 苗葉花根皆可服 陰乾搗末 酒調服 或蜜丸久服(本草).

감국화 :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오래 살며 싹 잎 꽃 뿌리 모두 먹을 수 있다. 음건해서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꿀로 환을 지어 오래 먹는다.(본초)

菊花酒方壯筋骨 補髓 延年益壽 甘菊花 生地黃 枸杞根皮 各五升 水一石 煮取汁五斗 糯米五斗炊熟 入細麴和勻入瓮 候熟澄淸溫服 壯筋骨補髓 延年益壽 白菊花尤佳 (入門)

국화주방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골수를 보하며 건강하게 오래 산다. 감국화 생지황 구기자 뿌리껍질 각 5되를 물 한 섬에 넣고 다섯 말이 되게 달인 것과 참쌀 5말로 지은 밥에 누룩가루를 고르게 섞어서 옹기에 넣는다. 술이 익은 다음 청주를 떠서 데워 먹으면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골수를 보하며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 흰국화가 더 좋다.(입문)

 

天門冬 ː久服 輕身延年不飢 取根去皮心 擣末和酒服 或生擣絞汁 煎爲膏和酒 取一二匙 漢甘始 太原人服天門冬 在人間三百餘年(本草).

천문동 ː구오래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오래 살며 배가 고프지도 않다. 뿌리를 채취하여 껍질과 심을 제거하고 빻아 가루내어 술과 함께 먹거나, 생으로 찧어 짠 즙을 끓여 고를 만들어 한두 숟가락을 술에 타 먹는다. 한나라 태원 사람 감시는 천문동을 복용하고 인간세상에 300여 년을 살았다.(본초)

天門冬酒方取根 搗絞汁二斗 糯米飯二斗 拌細麴 如常釀法 候熟取淸飮 乾者作末釀之亦可 忌食鯉魚(入門).

천문동주방뿌리를 캐서 짓찧어 짠 즙 2말과 찹쌀밥 2말을 부드러운 누룩가루와 반죽하여 보통술 담듯이 하여 익은 다음에 맑은 술만을 마신다. 마른 것을 가루내어 술을 빚어 먹어도 된다. 잉얼는 금기다.(입문)

 

地黃 ː久服 輕身不老 採根洗擣 絞汁煎 令稠納白蜜 更煎作丸如梧子 空心酒下三十丸 日三 忌 葱 蒜 蘿蔔 勿犯鐵器(本草).

지황 ː久服오래 먹으면 몸이 가뿐하고 늙지도 않는다. 뿌리를 캐서 씻은 다음 짓찧어 잔 즙을 끓여 걸죽해지면 꿀을 넣고 다시 달여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빈 속에 술로 30알을 하루 세 번 먹는다. 파 마늘 무 부추는 금기며 철기에 끓이지 말라>(본초)

地黃酒方糯米一斗百度洗 生地黃三斤 細切同蒸 拌白麴釀之 候熟取淸飮(入門).

지황주방糯米찹쌀 한 말을 백 번 정도 씻은 다음 생지황 세 근을 잘게 잘라서 함께 찐 다음 흰누룩과 버무려 술을 담아 익은 다음에 맑은 술만을 마신다.(입문)

 

ː煎餌 久服 輕身延年 一名山精 <神農藥經>曰 必欲長生 常服山精 採根泔浸 去黑皮炒搗 作末600g入蒸過茯苓300g 蜜丸服 或取汁煎和酒服 或煎令稠作丸服 忌 桃 李 雀蛤 葱 蒜 蘿蔔 (本草).

ː약을 달여서 오래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오래 산다. 일명 산정이라 한다. <신농약경>에 왈, 꼭 오래 살고 싶으면 늘 산정을 먹어라. 뿌리를 캐서 뜨물에 담가 검은 껍지를 제거하고 닦아서 짓찧어 가루내어 한 근에, 쪄낸 복령 반 근을 넣어 꿀로 환을 지어 먹거나 즙을 내서 끓여 술에 타서 먹거나 졸여서 걸죽해지면 환을 만들어 먹는다. 복숭아 오얏 참새고기 파 마늘 무 부추는 금기다.(본초)

仙朮湯 常服 延年明目 駐顔 輕身不老 蒼朮1.2g 棗肉六升 杏仁90g 乾薑炮18.75g 甘草灸187.5g 白鹽炒375g 右爲細末 每7.5g 沸湯 點服 空心(局方).

선출탕 常服늘 먹으면 오래 살고 눈도 밝으며 얼굴도 좋고 몸이 가뿐해지며 늙지도 않는다. 창출 열아홉냥 이전, 대추살 6, 살구씨 두 냥 4, 마른 생강포 5, 감초 볶은 것 5냥중, 흰소금 볶은 것 열 냥중 이것들을 곱게 가루내어 2전을 끓인 물로 빈 속에 타 먹는다.(국방)

 

兎絲子ː久服明目 輕身延年 酒浸曝乾蒸之 如此九次 해서 搗爲末每7.5g 空心溫酒調服 一日二次(本草).

토사자ː오래 먹으면 눈이 밝고 몸이 가뿐해지며 오래 산다. 술에 담갔다가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아홉 번 한 다음 빻아 가루낸 것을 매번 2전씩 빈속에 따뜻한 술에 타서 하루 두 번 먹는다.(본초)

 

百草花ː主百病 長生神仙 取百種草花 陰乾搗末 和酒服 亦煮花汁 釀酒 服之(本草).

백초화ː온갖 병을 치료하며 오래 살아 신선이 된다. 백 가지 풀과 꽃을 채취해서 음건하여 갈아 가루내어 술에 타서 먹거나, 끓여서 화즙을 내서 술을 빚어 먹는다.(본초)

 

何首烏 ː久服 黑鬢髮 益精髓 延年不老 忌 葱 蒜 蘿蔔 勿鱗魚 勿犯鐵器(本草)

取根 米泔浸軟竹刀刮去皮 切作片 黑豆汁浸透 陰乾却用甘草汁 拌晒乾擣爲末酒服7.5g 或蜜丸 服之.

하수오 ː오래 먹으면 머리와 수염이 까매지고 정수를 보익하며 건강하게 오래 산다. 파 마늘 무 부추는 금기, 비늘이 없는 생선을 먹지 말고 철기를 쓰지 말라.(본초)

뿌리를 캐서 쌀뜨물에 담가 부드러워지면 대칼로 껍질을 긁어 버리고 잘게 썰어서 검정콩을 달인 물에 담가 두었다가 음건하여 감초즙에 반죽을 해서 햇볕에 말린 다음 빻아서 가루내어 술로 먹거나 꿀호 환을 지어 먹는다.

하수오환延年益壽 取一斤 泔浸 晒乾 切片 以初男乳汁 拌 晒一二次 搗末 棗肉和丸 梧子大 初服二十丸 日加十丸 毋過百丸 空心 溫酒 鹽湯 下 此藥非陽虛甚者 不可單服(入門).

何首烏丸건강하게 오래 살게 한다. 한 근을 채취하여 쌀뜨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서 잘게 썰어서 첫아들 나은 이의 젖으로 반죽해서 했볕을 한두 번 쪼이고 빻아서 가루내어 대추살과 함께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처음에는 20알을 먹고 날마다 열 알씩을 더 먹되 백 알을 넘기지 말라.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먹는다. 이 약은 양허가 심한 이는 단방으로 먹어서는 안 된다.(입문)

 

松脂ː久服輕身 不老延年 煉法 取松脂七斤 以桑灰汁 一石 煮三沸 接置冷水中 凝復煮之 凡十遍 色白矣 服法 取煉脂搗下篩 以醇酒和白蜜 如餳日服一兩(得效方).

송지ː久服輕오래 먹으면 몸이 가뿐하고 늙지 않으며 오래 산다. 연단법은 송지를 7근 채취하여 뽕나무잿물 열 말에 넣고 세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찬물에 닿게 두어 엉키는게 하는 것을 열 번 하면 하얘진다. 복용법은 달인 송진을 짓찧어 체로 쳐서 꿀을 탄 좋은 술로 엿처럼 만들어서 매일 한 냥중씩 먹는다.(특효방)

服葉法 取葉細切更硏 酒下三錢亦可 粥和服亦可 以炒黑大豆同搗作末 溫水調服更佳(俗方).

잎을 먹는 방법은 솔잎을 채취해서 잘게 썰고 다시 갈아서 술로 3전을 먹는 것이 좋다. 또 죽을 끓여 먹어도 된다. 검은 콩에 초해서 짓찧어 가루내어 따뜻한 물에 타서 먹으면 더욱 좋다.(속방)

 

槐實 ː久服明目黑鬢髮延年 槐者虛星之精 十月上已日 採子服之 去百病長生(本草).

괴실 ː오래 먹으면 눈이 밝고 머리털과 수염이 검어지고 오래 산다. 홰나무는 허성의 정인데 10월 첫 사일에 열매를 따 먹으면 온갖 병이 없어지고 오래 산다.(본초)

槐膽丸明目黑髮固齒延年 十月上已日 採槐實納陶缸中封口 鹽泥固濟 埋背陰墻下 掘三尺土中 至臘月初八日 取出去皮取黑子 裝在牛膽內 高懸 陰乾至次年淸明目 取出 每日空心 白湯 呑下一粒 二日二粒 漸加至十五粒 以後 每日 減一粒 周而復始(入門).

괴담환明目눈이 밝아지고 머리털이 검어지고 이가 튼튼해지며 10월 첫 사일에 열매를 따서 자기항아리 안에 넣고 입구를 봉하여 소금으로 이긴 진흙을 싸발라 울타리 그늘에 3자 깊이로 파묻어서 섣달 초파일에 꺼내서 껍질을 벗겨내고 까만 씨앗을 취해서 소 쓸개 안에 넣어서 높이 매달아서 음건 하여 다음해 청명절에 꺼내서 매일 빈속에 한 알씩 끓인 물로 먹고 둘쨋 날에는 두 알, 점차 한 알씩 더해서 15알까지 먹고 이후에는 매일 한 알씩 줄여서 한 알까지 먹는 방법으로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 먹는다.(입문)

 

柏葉 ː久服 除百病 延年益壽 取葉陰乾 爲末 蜜丸 小豆大 酒下八十一丸 服一年 延十年命 二年 延二十年命 忌食雜肉 五辛(本草).

백엽 ː久服오래 먹으면 온갖 병을 없애고 건강하게 오래 산다. 잎을 채취해서 음건 한 다음, 가루내어 꿀로 콩알 만하게 환을 지어 81알을 술로 먹는다. 1년을 먹으면 수명이 10년 늘고, 이 년을 먹으면 수명이 20년 늘어난다. 잡육과 다섯가지 매운 것을 먹지 말라.(본초)

柏葉茶 取東向柏葉 置甑中飯蒸之 以水淋數過陰乾 每日煎服(入門).

측백잎차 동쪽의 측백잎을 채취해서 시루에 넣고 찐다. 이것을 물로 여러 번 씻어서 음건하여 매일 끓여서 마신다.(입문)

 

枸杞 ː久服輕身不老 耐寒暑令人長壽 枸杞 當用莖皮 地骨 當用根皮 枸杞子 當用其紅實 子及葉同功 根莖葉子皆可服. 嫩葉作羹作虀 常服 皮及子作末蜜丸常服 亦可酒浸服.

구기 ː久服오래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 추위와 더위를 잘 견디고 오래 산다. 구기는 당연히 줄기껍질, 지골은 뿌리껍질, 구기자는 빨간 열매를 쓴다. 열매와 잎은 효과가 같고 뿌리 줄기 잎 열매를 다 먹을 수 있다. 연한 잎으로 국을 끓여 먹거나, 나물로 늘 먹을 수 있다. 껍질과 열매를 가루내어 꿀로 환을 지어 늘 먹고 역시 술에 담갔다가 먹을 수도 있다.

金髓煎 取紅熟枸杞子 酒浸兩月 漉出硏爛 以布濾去滓取汁 幷前浸藥酒於銀石器內 熬成膏 每日溫酒 下二大匙 日二次 久服 可以羽化(本草).

금수전은 빨갛게 익은 구기자를 따서 술에 담갔다가 두 달이 지나 건져내어 문지르거나 갈아서 천으로 걸러 찌꺼기를 버리고 즙을 취하여 약을 담갔던 술과 함께 은이나 돌그릇에 넣고 볶아서 고를 만들어 매일 따뜻한 물로 큰 숟가락으로 둘씩 하루 두 차례 오래 먹으면 우화등선할 수 있다.(본초)

 

茯苓 ː久服不飢延年却老 取白茯苓 合白菊花 或合白朮 丸散 任意 皆可常服 又法 白茯苓去皮酒浸十五日 漉出 搗爲末 每服三錢 水下日三 久服延年耐老 面若童顔(本草).

복령 ː오래 먹으면 배고프지 않고 오래 살아 늙지 않는다. 백복령 흰국화를 섞거나 백출을 섞어서 알약이나 가루를 내어 마음대로 늘 먹을 수 있다. 또 달리는 백복령을 껍질을 제거하고 술에 보름 동안 담갔다가 건져내어 짓찧어 가루내서 매일 3전씩 물로 하루 세 번 오래 먹으면 오래 살고 늙지 않으며 얼굴이 동안 같아진다.(본초)

 

五加皮 ː久服 輕身耐老 煮根莖 如常法釀酒服 主補益 或煮湯以代茶飮亦可 世有服五加皮酒 散而獲延年不死者 不可勝計(本草).

오가피 ː오래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는다. 뿌리와 줄기를 달여서 보통 술빚는 것과 같이 하여 먹으면 주로 보가 된다. 달인 물을 차 대신에 마셔도 좋다. 세상에 오가피주와 오가피가루를 먹고 오래 살아 죽지 않은 이가 셀 수 없을 정도이다.(본초)

 

桑椹 ː久服變白不老 取黑熟者曝乾搗末蜜丸長服 又多取釀酒服主補益(本草).

상심 ː오래 먹으면 흰머리가 변하고 늙지 않는다. 까맣게 익은 오디를 햇볕에 말려 짓찧어 가루내어 꿀로 환을 지어 오래 먹는다. 또 많이 따서 술을 빚어 먹으면 보익이 된다.(본초)

 

蓮實 ː久服輕身耐老 不飢延年 去皮心搗爲末作粥 或磨作屑作飯 長服皆佳 又搗末酒飮任下二錢久服令人長生(本草).

연실 : 오래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 배고프지도 않고 오래 산다. 껍질과 심을제거하고 짓찧어 가루내서 죽을 쑤거나 갈아서 가루내어 밥을 짓기도 하는데 오래 먹으면 모두 좋다. 또 짓찧어 가루내어 하루 2전씩 술로 먹으며, 오래 먹으면 오래 살게 한다.(본초)

 

芡仁 ː卽雞頭實也 久服輕身不飢耐老 神仙仙方 取此幷蓮實合餌最佳 作粉食之甚妙 是長生之藥 服之延年

검인(가시연밥) ː즉 계두실이다. 오래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배고프지 않으며 늙지도 않는다. 신선선방에는, 이것을 따서 연실과 합하는 것이 가장 좋다 하였다. 가루내어 먹으면 심히 묘하다. 이 장생의 약이므로 먹으면 오래 산다.

芡仁粥益精氣 聰利耳目 能駐年 粳米一合雞頭實末二合煮粥 空心服之(本草).

검인죽정기를 더하고 귀를 밝게 하며 눈을 예리하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 흰쌀 한 홉에 계두실 가루 2홉을 넣어 죽을 쑨 것인데 빈속에 먹는다.(본초)

 

海松子 ː久服輕身 延年 不飢不老 作粥常服最佳(本草)

해송자 ː오래 먹은면 몸이 가뿐해지고 오래 살며 배고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다. 줄을 쑤어 늘 먹으면 가장 좋다.(본초)

 

胡麻 ː卽黑脂麻也 久服 輕身 不老 耐飢渴 延年 一名巨勝 白蜜一升 巨勝一升合之 名曰 靜神丸 又服法胡麻九蒸九曝 炒香杵末蜜丸彈子大 酒下一丸 忌食毒魚生菜 久服長生.

호마(참깨) ː즉 흑지마다. 오래 먹으면 몸이 가뿐해지고 늙지 않으며 기갈이 없고 오래 산다. 일명 거승이라 하는데 꿀 한 되, 거승 한 되를 섞어서 정신환이라 부른다. 먹는 방법은 호마를 구증구포하여 고소하게 빻아서 꿀로 노른자 크기로 환을 지어 한 알씩 술로 먹는다. 독어 생채는 금기다. 오래 먹으면 오래 산다.

魯女 生服胡麻餌朮絶穀 八十餘年甚少壯 日行三百里.

노나라 여자가 호마와 창출을 생으로 먹고 곡식을 끊은 지 80여 년에 아주 소장해서 하루에 300리를 갔다 한다.

胡麻 大豆 大棗 同九蒸九曝 作團食 延年斷穀(本草)

호마 대두 대추 함께 구증구포하여 단을 만들어 먹으면 오래 살 수 잇고 곡기를 끊을 수 있다.(본초)

 

蔓菁子 ː長服 可斷穀 長生 九蒸九曝 搗爲末 水服二錢日二(本草)

만청자 ː長服오래 먹으면 곡기를 끊을 수 있고 구증구포하여 짓찧어 가루내어 물로 2전씩 하루 두 번 먹는다.(본초)

 

人乳汁 ː補五藏益年 令人肥白悅澤 取甘香乳汁 入銀器內頓滾 五更時熱服 每一吸 卽以指 塞鼻孔 按脣貼齒而漱乳與口津 相和然後 以鼻引上吸 使氣由明堂入腦 方可徐徐嚥下. 凡五七次爲一度 久服甚佳.

인유즙 ː오장을 보하고 오래 살게 하며 살찌고 윤기가 나게 한다. 달고 향기가 나는 젖을 짜서 은그릇에 넣어 푹 끓여 한밤중에 뜨겁게 해서 먹는다. 매번 빨아들인 다음 곧 손가락으로 콧구멍을 막고 입술과 이를 맞붙이고 젖과 침이 잘 섞이게 꿀꺽거려 잘 섞인 다음에 코로 공기를 들이마셔 공기가 콧대를 거쳐 뇌로 들어가게 하면서 천천히 적을 삼킨다. 이처럼 5-7번을 한 차례에 한다. 오래 먹으면 아주 좋다.

漢張蒼 常服人乳故 年過百餘歲 肥白如瓠(本草心法)

한나라 장창은 늘 젖을 먹었기 때문에 나이가 백세를 지나도 살이 찌고 희기가 박과 같았다고 한다.(본초심법)

 

白粥 ː凡晨起食粥 利膈養胃 生津液 令一日淸爽 所補不小 晩粳米濃煮 令爛食之(入門).

백죽 ː새벽에 일어나 죽을 먹으면 가슴이 시원하고 위를 보하며 진액를 생기게 하고 하루종일 맑고 상쾌하게 하며 보하는 힘이 적지 않다. 저녁에 흰죽을 푹 퍼지게 끓여 먹는다.(입문)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養性延年藥餌

瓊玉膏 三精丸 延年益壽不老丹 五老還童丹 延齡固本丹 斑龍丸 二黃元 玄菟固本丸 固本酒 皆能延年益壽.

경옥고 삼정환 연년익수불로단 오자선동단 연령고본단 반룡환 이황원 현토고본환 고본주는 모두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한다.

 

瓊玉膏

塡精 補髓 調眞養性 返老還童. 補百損 除百病 萬神俱足 五藏盈溢 髮白復黑齒落更生 行如奔馬 日進數服 終日不飢渴 功效不可盡述. 一料分五劑 可救癱瘓五人 一料分十劑 可救勞瘵十人 若二十七歲 服起 壽可至三百六十 若六十四歲 服起 壽可至五百年.

生地黃十六斤搗絞取汁·人蔘細末二十四兩·白茯苓細末四十兩·白蜜煉去滓十斤 右和勻 入磁缸內 以油紙 五重 厚布一重 緊封缸口 置銅鍋內 水中懸胎 令缸口 出水上 以桑柴火 煮三晝夜 如鍋內水減 則用煖水添之 日滿取出. 再用蠟紙 緊封缸口 納井中 浸一晝夜 取出 再入舊湯內 煮一晝夜 以出水氣 乃取出 先用少許. 祭天地神祇 然後 每取一二匙 溫酒調服. 不飮酒 白湯下 日進二三服.

如遇夏熱 置陰凉處 或藏氷中 或埋地中. 須於不聞鷄犬聲幽淨處 不令婦人喪服人見之.

製時 終始勿犯鐵器 服時 忌食葱 蒜 蘿蔔 醋酸等物(入門).

경옥고정과 수를 불리고 진기를 고르게 하며 원기를 보양하여 늙음을 아이로 되돌린다. 모든 손을 보하고, 모든 병을 제거하며, 만신이 다 만족하고 오장이 영일하며 백발이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며, 분마처럼 달리고, 하루 두세 번 먹으면 종일토록 기갈이 없으니 공효를 다 말할 수 없다. 한 제를 다섯으로 나누어 먹이면 반신불수 환자 다섯을 고치며, 한 제를 10로 나누어 먹이면 폐결핵 환자 열을 치료할 수 있고, 27년을 먹으면 360세까지 살 수 있고 64년을 복용하면 500년을 살 수 있다.

생지황 16근을 방아에 찧어서 즙을 내고, 인삼을 가루내어 24량중, 백봉령을 가루내어 40량중, 백밀을 볶아서 10, 이상을 잘 섞어서 자기항아리 안에 유지로 5겹으로 싸고 두꺼운 천으로 싸서 넣고 항아리 입구를 꼭 막아서, 막대기를 가로질러 물이 끓어넘쳐도 항아리 입구에 넘어들지 않게 하여 동과에 넣고 뽕나무불로 3주야를 끓이는데, 물이 줄어들면 뜨거운 물을 첨가하여 끓이다가 날짜가 되면 끄집어내어 다시 납지로 항아리 입구를 꼭 막아서 우물 속에 달아매서 1주야가 지난 뒤에 꺼내서 앞서와 같이 넣어 다시 1주야를 끓여내면 된다.

물에서 꺼내면 곧 먼저 조금 덜어서 천지신명께 공손히 제를 올린 다음, 한두 숟가락을 따뜻한 술에 타서 매일 한두 차례 복용하며 술을 못 마시는 이는 백비탕에 타서 복용한다. 여름처럼 더울 때는 서늘한 그늘에 두거나, 물속에 두거나, 땅에 묻어 두되, 부인이나 상복을 입은 이가 보지 못하게 하며, 만들 때는 모두 철기를 써서는 안 된다. 복용시에는 파 마늘 무 식초 등을 먹어서는 안 된다.

 

<衛生方> 生地黃4.8kg 人蔘2kg 白茯苓1.5kg 白蜜3kg.

<위생방> 생지화 8, 인삼 24량중, 백복령 24량중, 백밀 5

本朝 永樂中太醫院會議 加 天門冬 麥門冬 地骨皮6.4kg 進御服食 賜號益壽永眞膏

본조영락중태의원회의 : 천문동, 맥문동, 지골피 각 8량중을 더해서 이를 익수영진고라 했다.

 

三精丸久服 輕身 延年 益壽 面如童子 蒼朮<天之精> 地骨皮<地之精> 各淨末一斤 黑桑椹<人之精> 取二十斤

揉爛 入緝袋內 絞取汁 去滓 將兩藥末 投汁內 調勻 入罐內 密封口 閣於棚上 晝採日精 夜採月華 直待自然煎乾 方取爲末 蜜丸小豆大 每十丸 酒湯 任下(入門).

삼정환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건강하게 오래 살고 얼굴이 어린아이 같아진다. 창출<천지정> 지골피<지지정> 각각 깨끗하게 가루내어 1근 익은 오디<인지정> 채취해서 20근을 주물러서 명주자루에 넣고 쥐어짜 찌꺼기를 버리고 위의 두 가지 가루약을 넣어서 반죽하여 단지에 넣고 입구를 밀봉한 다음 시렁 위에 얹고 낮에는 햇빛을 쪼이고 밤에는 달빛을 받아서 자연히 끓어서 마르게 한다. 이것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팥알만하게 환을 지어 매일 19알을 술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延年益壽不老丹

何首烏(赤色150g 白色150g)300g米泔浸軟以竹刀 刮去皮切作片 黑豆煎汁浸透 陰乾却用甘草汁拌 晒乾搗末不許蒸熟 地骨皮酒洗晒乾 白茯苓酒洗晒乾 各五兩 生乾地黃酒浸一宿晒乾 熟地黃酒洗晒乾 天門冬酒浸三時去心晒乾 麥門冬酒浸三時去心晒乾 人蔘去蘆 各三兩爲細末 煉蜜和丸 梧子大 溫酒 下三五十丸 此藥 千益百補 服之十日 或一月 自己知爲別等人 常服 功效難盡言實 呂祖之初梯 (必用方).

연년익수불로단하수오 적색네량중 백색네량중 합8조각을 쌀뜨물에 담가 부드러워지면 대칼로 껍질을 벗겨내고 토막내어 검정콩을 달인 물에 담갔다가 그늘에서 말린 다음 감초즙에 버무리고 햇볕에 말려서 짓찧어 찌지는 말 것, 지골피 술에 씻어서 말린 것, 백봉령 술에 씻어서 말린 것, 각각 다섯 량중, 생건지황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숙지황은 술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 것, 천문동 술에 세 시간 담갔다가 심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것, 인삼 노두를 제거한 것, 각 세 량중을 가루내서 꿀에 버무려서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물에 30-50알을 먹는다. 이 약은 천 가지 백 가지로 몸을 보한다. 열흘이나 한 달쯤 복용하면 스스로 몰라보게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늘 복용하면 효과를 말로 다 할 수 없다. 여조가 처음 실마리다.(필용방)

遐齡萬壽丹

詩曰 遐齡萬壽丹 服食魂魄安 養藥雞抱卵 日期要周全 修合室深宜 一切人勿觀 甲子庚申夜 爲丸不見天 一還增六十 二還百二十年 服藥非凡骨壽同天地間 秘之深秘之 玄之又更玄

茯神 赤石脂 川椒微炒出汗 各37.5g 朱砂細硏水飛 乳香 燈心同硏 各37.5g

別爲末 用雞卵二箇去淸黃 只將朱砂乳香 各裝一卵內 用紙糊七重 以淸緝袋 盛之令精壯婦人 懷於肚上 常令溫煖 朱砂懷三十五日 乳香懷四十九日 取出再硏 前三味藥 亦爲細末 和勻 以蒸棗肉和丸菉豆大 每日空心 溫酒 呑下三十丸 或人蔘湯下. 一月外 加至四十丸 以甲子庚申之夜 幽靜處修合 忌婦人雞犬見之(丹溪心法). 回春 一名 五老還童丹

하령만수단시에 왈, 하령만수단을 복용하면 혼백이 편안하네. 약을 만들 때 암탉이 알을 품듯 고이 품어 날짜를 채우고 방문을 꼭 닫아 일체의 사람이 보지 못하게 해서 갑자경신일 밤에 하늘도 모르게 환을 짓는다네. 한 번 돌아 60년을 더하고 두 번 돌아 120넌 이 약을 먹으면 뼈가 보통이 아니어서 천지와 함께 장수한다네. 비방 중에 비방이요 현묘하고도 현묘하도다.

복신 적석지 천초미초출한 각37.5g 주사세연수비 유향 등심동연 각37.5g

별도로 가루내어 흰자와 노란자를 제거한 계란 두 개를 써서 주사와 유향만을 각기 한 개의 계란에 넣고 포장하여 종이로 7겹을 발라서 푸른 비단주머니에 넣어 정력이 왕성한 부인의 배위에 품어서 늘 따뜻하게 한다. 주산는 35일을 품고 유향은 49일을 품은 다음 꺼내서 다시 갈고 앞의 세 가지 약도 가루내어 고르게 섞어서 찐 다음 대추살로 반죽하여 녹두알 만하게 환을 지어 매일 빈속에 따뜻한 술로 30알을 먹거나, 인삼탕으로 먹는다. 한 달 후에는 40알로 늘인다. 갑자일과 경신일 밤에 고요한 곳에서 약을 짓되 부인은 금기요, 닭과 개가 보지 않도록 한다.(단계심법) 회춘에는 일명 <오로환동단>이라고 한다.

 

延齡固本丹

治諸虛百損中年陽事不擧 未至五十鬚髮先白 服至半月 陽事雄壯 至一月 顔如童子 目視十里 服至三月 白髮還黑 久服 神氣不衰 身體輕健 可升仙位

兎絲子酒製 肉蓯蓉酒洗 各150g 天門冬 麥門冬 生地黃 熟地黃竝酒製 山藥 牛膝酒洗 杜沖薑汁炒 巴戟酒浸去心 枸杞子 山茱萸酒蒸去核 白茯苓 五味子 人蔘 木香 栢子仁 各75g 覆盆子 車前子 地骨皮 各56g 石菖蒲 川椒 遠志 甘草水浸薑汁炒 澤瀉 各37.5g 右細末 酒煮稀麪糊 和丸 梧子大 空心溫酒 八十丸

婦人 加 當歸 赤石脂 各一兩 忌食蘿蔔葱蒜牛肉醋酸物飴糖羊肉(回春).

연령고본단여러 가지 허증과 손증, 중년에 성기능이 약해진 것, 오십이 안 되어 머리와 수명이 센 것을 치료한다. 복용 후 반 달이면 성기능이 세어지고 한 달이면 안색이 젊은이 같아지고 눈은 십리를 보고 세 달이면 백발이 희어지고 오래 복용하면 신기가 쇠하지 않으며 신체가 날럽하고 건강해서 신선의 자리에 오를 수 있다.

토사자 술로 법제, 육총용 술로 법제 각 네 냥중,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숙지황 함께 술로 법제, 산약 우슬 술로 씻고, 두충 생강즙으로 초하고, 파극 술에 담갔다가 거심, 구기자 산수유 술로 쪄서 거핵, 백복령 오미인삼 목향 백자인 각 두 냥중, 복분자 차전자 지골피 각 한 냥중, 석창포 천초 원지 감초 물에 담갔다가 생강즙으로 초하고, 택사 각 한 냥중.

가루내어 술에 쪄서 밀가루 반죽하여 섞어서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로 80알을 먹는다.

부인의 경우는 당귀 적석지를 각 한 냥중씩 더한다. 무 파 마늘 쇠고기 식초 신 것 엿 사탕 양고기 등은 먹지 말아야 한다.(회춘)

 

斑龍丸 常服 延年益壽 鹿角膠 鹿角霜 兎絲子 栢子仁 熟地黃 各300g 白茯苓 破故紙 各150g 右磨爲細末 酒煮米糊和丸 或以鹿角膠 入好酒 烊化 和丸 梧子大 薑鹽湯 下五十丸 昔蜀中 有一老人 貨此藥於市 自云壽三百八十歲矣 每歌曰 尾閭不禁滄海竭 九轉金丹都謾說 惟有斑龍頂上珠 能補玉堂關下血 有學其道者 傳得此方 彼老人化爲白鶴 飛去不知所終(正傳).

반룡환 늘 복용하면 건강하고 오래 산다. 녹각교 녹각상 토사자 백자인 숙지황 각 여덟 냥중 백복령 파고지 각 네 냥중 이것을 갈아서 가루내어 술로 쪄서 쌀로 반죽하여 섞어서 환을 짓는다. 혹 녹각교를 좋은 술에 넣어 끓여 녹인 것으로 반죽하여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서 생강과 소금으로 끓인 물로 50알을 먹는다. 옛날 촉나라에 어떤 노인이 시장에 내다 팔 때 하는 말이, 스스로 나이가 380세라면서 매번 이렇게 노래를 불렀다. 미려를 막지 않으면 창해도 마르거늘 구려금단(仙丹) 한갓 헛소릴세. 오직 이마 위에 반룡주 있어 가슴 속 피를 돕는다네. 이 도를 배운 이가 이 처방을 얻어 전했다. 그 노인은 백학이 되어 날아가고 종적을 모른다.(정전)

 

人蔘固本丸 一名 二黃元 夫人心藏血 腎藏精 精血充實 則鬚髮不白 顔貌不衰 延年益壽 藥之滋補 無出於生熟二地黃 世人徒知服二地黃 而不知服二門冬爲引也. 盖生地黃 能生心血 用麥門冬 引入所生之地 熟地黃 能補腎精 用天門冬 引入所補之地 四味互相爲用. 又以人蔘 爲通心氣之主

天門冬去心薑汁浸二日酒浸二日 麥門冬去心酒浸二日泔浸三日 生乾地黃 熟地黃並酒浸 各75g 上以石磨 磨如泥 或爛搗 以杏仁湯 化開漉淨渣 又磨淨盡如澄 小粉之法 撇去上面水 取藥粉 晒乾 乃入人蔘末一兩 煉蜜和丸梧子大 每取五七十丸 溫酒 鹽湯任下 忌蘿蔔 葱 蒜(必用方).

인삼고본환 일명 이황원으로, 보통 사람의 심장은 피를 저장하고 신은 정액을 저장한다. 정형이 충실하면 머리와 수염이 세지 않고 얼굴도 쇠하지 않아 건강하게 오래 산다. 약으로 보양하려면 생지황 숙지화의 이황보다 나은 것이 없다. 세상 사람들은 한갓 이지황을 먹을 줄만 알고 이문동으로 이끌어 갈 줄은 모른다. 대개 생지황은 심형을 생성하고 맥문도을 쓰면 생기는 곳까지 이끌어 가고, 숙지황은 신과정을 보하는데 천문동을 쓰면 보하는 곳까지 잘 이끌어 가서 이 네 약은 서로 작용한다. 인삼으로 심기를 통하게 하는 주약을 삼았다.

천문동 검심하여 생강즙에 이틀 담그고 술에 또 이틀 담금, 맥문동 거심하여 술에 이틀 담갔다가 뜨물에 사흘 담금, 생건지황 숙지황 함께 술에 담가서 각 두 냥중. 이상의 약들을 돌로 갈아서 진흙처럼 하거나, 짓찧어 살구탕에 풀어서 깨끗이 거른 다음 다시 깨끗이 갈아서 거른다. 이 즙을 갈아앉혀서 위에 뜬 물은 버리고 약가루만을 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인삼가루 한 냥주을 넣고 꿀로 정제해서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50알씩 따뜻한 물이나 소금물로 먹는다. 무와 부추 파 마늘은 피한다.(필용방)

 

玄菟固本丸

治同上 兎絲子酒製 熟地黃 生乾地黃並酒浸焙 天門冬 麥門冬並酒浸去心 五味子 茯神 各四 兩 山藥微炒三兩 蓮肉 人蔘 枸杞子各二兩 爲末蜜丸梧子大 每取八九十丸 溫酒 或鹽湯任下(心法).

현토고본환或鹽湯任下(心法).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한다. 토사자를 술로 법제하고, 숙지황 생지황 건지황을 함게 술에 담갔다가 심을 제거하고 오미자 복신을 각각 네 냥중, 산약을 살짝 볶아서 세 냥중, 인삼 구기자 각각 두 냥중. 이것을 가루내어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8-90을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먹는다.(심법)

 

固本酒治勞補虛 益壽延年 烏鬢髮 美容顔 生乾地黃 熟地黃 天門冬 麥門冬並去心 白茯苓 各二兩 人蔘一兩 爲剉 用磁缸 盛好酒十壺 浸藥三日 文武火 煮一二時 以酒黑色爲度 空心服三五盃(衛生篇).

고본주 허로병을 치료하는데 허증을 보하고 건강하게 오래 살게 하며 머리와 수염을 까맣게 하고 얼굴을 예쁘게 한다. 생건지황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을 함께 거심하고, 백복령 각 두 냥중, 인삼 한 냥중, 이 약들을 썰어서 자기단지에 넣고 좋은 술 10병을 부어 사흘을 담갔다가 적당한 불로 한두 시진 달인다. 술이 거멓게 되면 빈속에 3-5잔을 마신다.(위생편)

 

烏鬚治同上 黃米三斗 麥門冬300g 生地黃 何首烏 各150g 天門冬 熟地黃 枸杞子 牛膝 當歸 各75g 人蔘37.5g 爲末入好麴拌飯 如常釀法 待酒熟榨出取淸 每日淸晨 飮一二盃 微醺 爲度 忌白酒 蘿蔔 葱 蒜 牛肉 黃米 卽粘黍米色黃也(回春).

오수주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한다. 황미삼두 맥문동300g 생지황 하수오 각150g 천문동 숙지황 구기자 우슬 당귀 각75g 인삼37.5g 이 약재들을 가루내어 좋은 누룩과 뒤섞어서 보통술을 빚는 것처럼 해 두었다가 술이 다 된 뒤에 걸러서 맑은 것을 취해 매일 맑은 새벽에 한두 잔씩 조금 취할 정도로 마신다. 소주 무 부추 파 마늘 쇠고기 황미는 금기다. 황미는 찰기장으로 황색이다.(회춘)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