氣逆
○ <靈樞>曰 黃帝曰 何謂逆而亂 <岐伯>對曰 淸氣在陰 濁氣在陽 榮氣順脈 衛氣逆行 淸濁相干 亂于胸中 是爲太悗 故氣亂于心 則煩心密黙 俛首靜伏 亂于肺 則俛仰喘喝 按手以呼 亂于腸胃 則爲霍亂. 亂于臂脛 則爲四厥 亂于頭則 爲厥逆頭重眩仆
○ <영추>왈, 황제가 왈, 치밀어서 어지러운 것을 무엇이라 이르는가? 기백 왈, 맑은 기는 음에 있고 탁한 기는 양에 있는데 영기는 혈맥을 따라 돌고, 위기는 거슬러 돌아 맑은 기와 탁한 기가 서로 어울려서 가슴 속에서 어지럽게 되어 이것이 몹시 답답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슴에서 기가 어지럽게 되면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를 숙이고 고요히 엎드리게 된다. 폐에서 어지럽게 되면 몸을 숙일 때나 젖힐 때나 숨이 차서 손으로 누르고 숨을 쉬게 된다. 장위에서 어지럽게 되면 곽란이 일어나며 비경에서 어지럽게 되면 사지가 뒤틀리고 머리에서 어지럽게 되면 정신을 잃게 되고 머리가 무거워져 어지러워 넘어진다.
○ <入門>曰 氣逆者 氣自腹中 時時上衝也.
○ <입문>왈, 기가 치민다는 것은 기가 배에서부터 때때로 치밀어 오르는 것이다.
○ <內經>曰 諸逆上衝 皆屬於火
○ <내경>曰, 여러 가지 치밀어 올라 부딪치는 것은 모두 화에 속한다.
○ <丹溪>曰 病人自言 冷氣從下而上者 此上升之氣 自肝而出中挾相火 其熱爲甚 覺其冷 非眞冷也 <又>曰 氣之上逆屬陽 無寒之理 覺惡寒者 乃火極似水也
○ <단계>왈, 병인 스스로 말하기를, 냉기가 아래로부터 올라온다고 하는 것은 이 올라오는 기가 간에서 나와 속에 상화를 끼고 있어 그 열이 심한 것이다. 그가 차게 느끼니 참으로 찬 것은 아니다. 또 왈, 기가 치미는 것은 양에 속하는데 찬 기운이 있을 리가 없다. 오한을 느끼는 것은 곧 화가 심해서 수와 비슷하게 된 것이다.
○ <入門>曰 散火之法 必先破氣 氣降則火自降矣.
○ <입문>왈, 화를 흩어지게 하는 방법은 반드시 먼저 기를 쳐야 한다. 기가 내리면 화는 저절로 내린다.
○ 氣逆宜退熱淸氣湯 導氣枳殼丸 火盛者 滋陰降火丸方見虛勞 加便香附子 茯神 沈香
○ 기가 치미는 데는 응당 퇴열청기탕 도기지각환을 쓰고 화가 성한 데는 자음강화환(처방은 허로를 보라) 가변향부자 복신 침향을 쓴다.
【退熱淸氣湯】 治氣逆 柴胡 陳皮 赤茯苓各4g 半夏製枳殼 便香附子 川芎各3g 砂仁7粒硏 唐木香 甘草灸各2g 生薑4g. 水煎服(入門).
【퇴열청기탕】 기가 치미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진피 적복령 각4g 반하제지각 변향부자 천궁 각3g 사인7粒 연당목향 감초구 각2g 생강4g을 물에 끓여 먹는다.(입문)
【導氣枳殼丸】 治逆氣上攻 心胸痞痛 枳殼炒 木通炒 靑皮 陳皮 桑白皮灸 蘿覆子炒 白丑炒頭末 黑丑炒頭末 蓬朮 三菱 小茴香炒.各等分 爲末 薑汁糊和 丸梧子大 每30~50丸 橘皮湯 呑下(宣明)
【도기지각환】 기가 치밀어 올라서 가슴이 더부룩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지각초 목통초 청피 진피 상백피구 나복자초 백축초두말 흑축초두말 봉출 삼능 소회향초 각 등분하여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풀을 쑤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30-50알을 귤피탕에 타서 마신다.(선명)
氣鬱
○ <丹溪>曰 氣之初病 其端甚微 或因七情 或感六氣 或因飮食 以致津液不行 淸濁相干 自氣成積 自積成痰 其爲之鬱 或痞或痛.
○ <단계>왈, 기에 처음 병이 날 때는 그 단서가 참 미미하다. 혹 칠정으로 인하거나, 혹 육기에 감촉되거나, 혹 음식으로 인해서 진액이 잘 돌아가지 못하여 맑은 기와 탁한 기가 서로 간섭하여 기로부터 쌓이게 된다. 쌓인 것에서 담이 생기고 그것이 울체가 되어서 막히기도 하고 아프기도 하다.
○ <正傳>曰 氣鬱而濕滯 濕滯而成熱 故氣鬱之病 多兼浮腫脹滿
○ <정전>왈, 기가 울체되면 습이 막히고 습이 막히면 열이 나고 그래서 기울병은 흔히 부종과 창만증을 겸한다.
○ <入門>曰 鬱者病結不散也 氣鬱不散 二陳湯煎水 呑下交感丹 <又>曰 血凝氣滯 復元通氣散, 痰壅氣滯 順氣導痰湯方見風門
○ <입문>왈, 울이란 병으로 기가 맺혀서 풀리지 않는 것이다. 기가 맺혀서 풀리지 않는 데는 이진탕을 끓인 물로 교감단을 먹는다. 또 왈, 피가 엉키고 기가 막힌 데는 복원통기산을 쓰며 담이 뭉치고 기가 막힌 데는 순기도담탕(처방은 풍문을 보라)을 쓴다.
○ 氣鬱宜交感丹 木香勻氣散方見積聚 上下分消導氣湯 鬱兼腫脹 宜流氣飮子 木香流氣飮 沈香降氣湯 五皮散方見浮腫
○ 기울증에는 응당 교감단 목향균기산(처방은 적취를 보라) 상하분소도기탕을 쓰고, 울증에 부종과창만증을 겸한 데는 응당 유기음자 목향유기음 침향강기탕 오피산(처방은 부종을 보라)을 쓴다.
【交感丹】 治諸氣鬱滯 一切公私怫情名利失志 抑鬱煩惱 七情所傷 不思飮食 面黃形羸 胸膈痞悶 諸證神效 大能升降水火. 香附子600g長流水浸3日取炒 白茯神160g 上藥 搗爲末 蜜丸彈子大每1丸 細嚼 以降氣湯送下(回春)
【교감단】 여러 가지 기가 울체된 것을 치료한다. 일체의 공사에 명리에 뜻을 두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억울하게 여기며 고민하거나 칠정이 상해서 음식을 먹고 싶지 않고 얼굴이 누렇고 몸이 여위며 가슴속이 그득하고 답답한 것 등의 모든 증상에 신효하며 수화를 잘 오르내리게 한다. 향부자600g 흐르는 물에 사흘 담갔다가 꺼내서 볶은 것 백복신160g 상약을 찧어 가루내어 꿀로 달걀노른자만하게 환을 지어 매일 한 알씩 강기탕과 함께 잘 씹어서 먹는다. (회춘)
【降氣湯】 降氣 香附子製 白茯神 甘草各4g. 水煎服(局方).
【강기탕】 기를 내린다. 향부자제 백복신 감초 각4g을 물로 달여 먹는다.(국방)
【木香勻氣散】 治氣鬱滯 藿香 甘草灸各320g 砂仁160g沈香 木香 丁香 白丹香 白豆寇各8g
爲末每8g 生薑6g 蘇葉5葉 鹽少許 煎湯 點服(入門)
【목향균기산】 기가 울체된 것을 치료한다. 곽향 감초구 각320g 사인160g 침향 목향 정향 백단향 백두구 각8g을 가루내어 매번 2전씩 생강6g 소엽5엽과 함께 소금을 조금 넣고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上下分消導氣湯】 治氣鬱 功勝分心氣飮 常患氣惱 可用此 枳殼 桔梗 桑白皮 川芎 赤茯苓 厚朴 靑皮 香附子便炒各80g 黃蓮薑汁炒 半夏製 瓜蔞仁 澤瀉 木通 檳榔 麥芽炒各40g 甘草灸12g 每40g 生薑6g 水煎服. 或爲末 神麴糊和丸 白湯下70~80丸 名【分消丸】(回春).
【상하분소도기탕】 기울증을 치료하는데, 분심기음보다 효과가 좋다. 늘 기병을 앓는 이가 쓰면 좋다. 지각 길경 상백피 천궁 적복령 후박 청피 향부자변초 각80g 황련강즙초 반하제 과루인 택사 목통 빈랑 맥아초 각40g 감초구12g 매40g 생강6g을 물로 끓여 먹거나, 가루내어 약누룩풀로 반죽한 다음 환을 지어 70-80알을 끓인 물로 먹는다. 일명 분소환이라고도 한다.(회춘)
氣不足生病
○ <靈樞>曰 邪之所在 皆爲不足 故上氣不足 腦爲之不滿 耳爲之苦鳴 頭爲之苦傾 目爲之暝 中氣不足 溲便爲之變 腸爲之苦鳴 下氣不足 乃爲 痿厥心悗.
○ <영추>왈, 사기가 있는 곳은 모두 기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상초에 기가 부족하면 뇌가 가득차지 못하게 되며 심한 이명이 있고 머리가 잘 돌지 못하게 되며 눈이 어둡게 된다. 중초에 기가 부족하면 대소변이 변하며 장이 몹시 끓는다. 하초에 기가 부족하면 위결이 되어 가습이 답답하게 된다.
○ <又>曰 上氣不足 推而揚之 下氣不足 積而從之 陰陽皆虛 火自當之.
○ <우>왈, 상초에 기가 부족하면 밀어 올라가게 하고, 하초에 기가 부족하면 모아서 따라가게 해야 한다. 음양이 모두 허하면 화로 치료하는 것이 적당하다.
氣絶侯
○『靈樞』曰 五陰氣俱絶 則目系轉 轉則目運 目運者 爲志先死 志先死 則遠一日半死矣 六陽氣俱絶 則陰與陽相離 離則腠理發泄 絶汗乃出 故旦占夕死 夕占旦死絶汗者大如珠出而不流也 <又>曰 六府氣絶于外者 上氣脚縮 五臟氣絶于內者 下利不禁 甚者 手足不仁.
○『영추』왈, 다섯 가지 음기가 모두 끊어지면 목계가 뒤집어진다. 목계가 뒤집어지면 눈알이 돌아간다. 눈알이 돌아가는 것은 지가 먼저 죽는 것이다. 지가 먼저 죽으면 늦어도 하루 반이면 죽는다. 여섯 가지 양기가 모두 끊어지면 음과 양이 서로 떨어진다. 음과 양이 서로 떨어지면 주리가 열려서 절한이 나온다. 그러므로 아침에 그렇게 되면 저녁에 죽게 되고 저녁에 그렇게 되면 아침에 죽는다.(절한이란 땀방울이 구슬처럼 나오나 흐르지 않는다) 또 왈, 육부의 기가 겉에서 끊어지면 기가 위로 치밀고 다리가 오그라진다. 오장의 기가 안에서 끊어지면 설사가 멎지 않고 심하면 수족을 쓰지 못한다.
○ <又>曰 若陽氣前絶 陰氣後竭者 其人死 身色必靑 陰氣前絶 陽氣後竭者 其人死 身色必黃 腋下溫 心下熱也(仲景).
○ <우>왈, 만약 양기가 먼저 끊어지고 음기가 뒤에 고갈되면 그 사람은 죽는데 몸빛은 반드시 퍼렇고, 음기가 먼저 끊어지고 양기가 뒤에 고갈되면 그 사람은 죽는데 몸빛이 반드시 누렇고 겨느랑밑이 따뜻하고 명치 아래가 뜨겁다.(중경)
禁忌
○ <內經>曰 久臥傷氣
○ <내경>왈, 오랫동안 누워 있으면 기가 상한다.
○ <西山記>曰 近穢氣 觸眞氣 近死氣 亂生氣
○ <서산기>왈, 더러운 기를 가까이하면 진기를 상하고 죽은 이의 기를 가까이하면 생기가 어지러워진다.
○ 凡人空腹不用見尸 臭氣入鼻舌上白起 口常臭 欲見尸者 皆須飮酒見之 能辟毒(得效).
○ 대개 사람은 빈속일 때는 시체를 보지 말아야 한다. 냄새의 기운이 코로 들어와서 혀에 백태가 끼며 입에서 늘 냄새가 난다. 시체를 보려면 반드시 술을 마시고 보아야 독을 피할 수 잇다.(득효)
○ 凡人疫癘 熱病之家 皆當防其毒氣 傳染毒氣者 大汗穢毒之氣也(類聚).
○ 대개 사람이 전염성 열병이 생긴 집으로 들어갈 때는 응당 그 독기를 막아야 한다. 전염성 독기라는 것은 땀이 몹시 나는 더러운 독의 기운이다.(유취)
用藥法
○ <正傳>曰 男子屬陽 陽氣易散 女人屬陰 遇氣多鬱 是以男子之氣病常少 女人之氣病常多.故 治法曰 女人宜調其血 以耗其氣 男子宜調其氣 以養其血”
○ <정전>왈, 남자는 양에 속하는데 양기는 흩어지기 쉽고, 여인은 음에 속하는데 기를 만나면 막히는 일이 많다. 이 때문에 남자의 기병은 늘 적고 여인의 기병은 늘 많다. 그러므로 치법에는 여인은 응당 그 혈을 고르게 하며 그 기를 소모시켜야 하면 남자는 응당 그 기를 고르게 해서 그 혈을 보해야 한다.
○ <入門>曰 七情緫發於一心 七氣緫隸於一氣 氣陽也 動則爲火 故以降火 化痰消積 分治之.大槪 氣虛四君子湯 氣實小烏沈湯 火多合黃蓮解毒湯方見傷寒 痰多合二陳湯方見痰飮 積多合平胃散方見五藏
○ <입문>왈, 칠정은 마음에서 생기고 칠기는 모두 기에 속한다. 기는 양인데 발동하면 화가 되므로 화를 내리고 담을 삭히고 적을 없애는 것으로 나누어 치료해야 한다. 대개 기허증에는 사군자탕을 쓸고 기실증에는 소오침탕을 쓰는데 화가 많으면 황련해독탕(처방은 상한을 보라)을 합해서 쓴다. 담이 많으면 이진탕(처방은 담음을 보라)과 합해서 쓰고, 적이 많으면 평위산(처방은 오장을 보라)을 합해서 쓴다.
○ <丹溪>曰 久患氣證 氣不歸元 久服藥 無效者 以破故紙爲君則效 其方破故脂炒40g 茴香炒 乳香各20g 爲末蜜丸 梧子大 空心白湯下50丸.
○ <단계>왈, 오랫동안 기병을 앓으면 기가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아서 오랫동안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을 때는 파고지를 주약으로 해서 쓰면 효과가 있다. 그 처방은 파고지초40g 회향초 유향 각20g을 가루내어 꿀로 오자크기로 환은 지어 빈속에 끓인 물로 50알을 먹는다.
○ <方氏>曰 氣病用氣藥而不效者 氣之所藏 無以收也. 盖肺主氣 腎藏氣 靑木香元 木香順氣丸 皆用破故紙 所以使 氣升降而歸於腎藏也
○ <방씨>왈, 기병에 기약을 써도 낫지 않는 것은 기를 간직하지 못하고 거두어들이기 때문이다. 대개 폐는 기를 주관하고 신은 기를 갈무리하기 때문에 청향목원 목향순기환에 모두 파고지를 넣는 것은 기를 오르내리게 함으로써 신장에 돌아가게 하려는 것이다.
○ <入門>曰 氣病通用二陳湯方見痰飮 上焦氣滯 加枳殼 桔梗 香附子 縮砂仁 中焦氣滯 加枳實 厚朴 三菱 蓬朮 下焦氣滯 加靑皮 木香 檳榔 氣痛 加枳殼 氣實 加烏藥 香附子, 氣虛 加人蔘 白朮 木香
○ <입문>왈, 기병에는 이진탕(처방은 담음을 보라)을 두루 쓰는데 상초에 기가 막혔을 때는 지각 길경 향부자 축사인을 더해서 쓰고, 중초에 기가 막혔을 때는 지실 후박 삼능 봉출을 더해서 쓰고, 하초에 기가 막혔을 때는 청피 목향 빈랑을 더해서 쓰고, 기로 인한 통증에는 지각을 더해서 쓰고, 기실증에는 오약 향부자를 더해서 쓰고 기허증에는 인삼 백출 목향르 더해서 쓴다.
○ <丹溪>曰 治上升之氣 用香附子 黃芩 黃蓮 梔子 <又>曰 氣無補法 世俗之焉也 不思正氣虛者 不能運行 邪氣着而爲病 <經>曰 壯者氣行則愈 怯者着而成病 苟或氣怯不用補法 氣何由行 <又>曰 氣鬱須用川芎 香附子 梔子 黃芩 黃蓮
○ <단계>왈 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향부자 황금 황련 치자를 쓴다. 또 왈, 기병에는 보법이 없다는 것은 민간에서 하는 말이다. 정기가 허하면 운행할 수가 없어서 사기가 침범해서 병이 되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다. 경 왈, 건강한 이는 기가 잘 돌아가서 낫고 약한 사람은 기가 잘 돌지 않아서 병이 된다. 만일 기가 약한데 보법을 쓰지 않으면 기가 어떻게 돌아가겠는가? 또 왈, 기가 몰린 데는 천국 향부자 치자 황금 황련을 쓴다.
○ <又>曰 木香行中下焦氣 香附子 快滯氣 陳皮 泄逆氣 蘇葉 散表氣 厚朴 泄衛氣 檳榔 泄至高之氣 藿香 上行胃氣 沈香 升降眞氣 腦麝 散眞氣. 凡此皆泄氣之標 不能治氣之本.
○ <우>왈, 목향은 중초 하초의 기를 잘 돌아가게 하고 향부자는 막힌 기를 잘 통하게 하고, 진피는 치미는 기를 잘 내보내고 소엽은 겉의 기를 흩어지게 하고 후박은 위기를 잘 내보게 하며 빈랑은 높은 곳의 기를 내리게 하고 곽향은 위기를 올라가게 하며 침향은 진기를 잘 오르내리게 하고 용뇌와 사향은 진기를 흩어지게 한다. 대개 이것은 모두 겉에 나타나는 증상을 없애는 것이고 기병의 근본은 치료하지 못한다.
通治氣藥
○ 宜用蘇合香元 至聖來復丹 交感丹 四七湯 分心氣飮 上下分消導氣湯 烏沈湯 流氣飮子 木香流氣飮七方見上
○ 응당 소합향원 지성래복단 교감단 사칠탕 분심기음 상하분소도기탕 오침탕 유기음자 목향유기음(7가지 처방은 위를 보라)
【蘇合香元】 治一切氣疾 及中氣上氣氣逆氣鬱氣痛 白朮 木香 沈香 麝香 丁香 安息香 白丹香 朱砂水飛半爲衣 犀角 訶子皮 香附子 蓽撥各80g 蘇合油(入安息香膏內) 乳香 龍腦各40g 爲細末 用安息香膏 幷煉蜜搜和千擣 每37.5g 分作40丸 每服2~3丸 井華水 或溫水 溫酒 薑湯 化服(局方). 有龍腦則謂之【龍腦蘇合元】 無龍腦則【麝香蘇合元】(局方)
【소합향원】 일체의 기병과 중기 상기 기역 기울 기통을 치료한다. 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향 백단향 주사(수비하여 반은 겉에 입힌다) 서각 가자피 향부자 필발 각80g 소합유(안식향고에 넣는다) 유향 용뇌 각40g을 곱게 가루내어 안식향고을 섞은 꿀로 반죽한 다음 천여 번을 짓찧어서 매 한 냥중으로 40알로 환을 지어 2-3알을 정화수나 따뜻한 물이나 따뜻한 술 생강탕에 풀어서 먹는다.(국방) 용뇌를 넣으면 용뇌소합원이라 하고 용뇌를 넣지 않으면 사향소합원이라 한다.(국방)
【至聖來復丹】 治氣不升降 一切危急之證 可冷可熱可緩可急 如中氣上氣 氣痛 氣鬱 皆效 硝石 硫黃各40g 同爲細末 入椀內 以微火溫炒 以柳木菎不住手攪 令陰陽氣相入 不可火太過 恐傷藥力 再硏極細 名<二氣末> 太陰玄精石硏飛40g 五靈脂硏水飛 澄去砂石 晒乾 靑皮 陳皮並去白各80g 爲末和勻 以好醋打麪 糊丸搜和丸如豌豆大 每服30粒 或50粒空心粥飮 呑下(局方).
【지성래복단】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는 일체의 위급한 증상을 치료한다. 냉증 열증 완만한 증세 급한 증세에 모두 쓸 수 있다. 중기 상기 기통 기울 모두에 효과가 있다. 초석 류황 각40g을 함께 곱게 가루내어 그릇에 넣고 약한 불로 따뜻하게 볶으면서 버드나무 주걱으로 뒤섞어서 음양의 기가 서로 들어가게 한다. 불이 너무 세면 약 효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좋지 않다. 다 아주 곱게 가루낸 것을 이기말이라 한다. 태음현정석(갈아서 수비한 것)40g 오령지(갈아서 수비하여 모래를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 청피 진피(모두 흰껍질을 제거한 것) 각80g을 가루내어 잘 섞어서 좋은 식초를 넣고 쑨 밀가루반죽풀로 완두콩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30알이나 50알을 빈속에 죽물로 먹는다.(국방).
單方(凡24種)
人蔘 : 補五臟氣不足 又治氣弱氣短氣虛 或煎或末或熬膏多服妙
인삼 : 오장의 기가 부족한 것을 보하고 또 기운이 약한 것, 기력이 아주 미약한 것, 히가 허한 것들을 치료한다. 달이거나 가루내거나 고약처럼 고아서 많이 먹으면 좋다.
木香 : 治心腹一切氣(本草) 凡腔子裏氣 須用些木香(入門) 行中下二焦氣 須以檳榔爲使 又曰 味辛如氣鬱不達固 宜用之 若陰火上衝 則當用黃栢 知母 而少用木香佐之(丹溪) 調諸氣 散滯氣治腹中氣不轉運 末服煎服竝可(湯液)
목향 : 명치와 배에 생기는 일체의 병을 치료한다.(본초) 대개 속에 생기는 기병에는 반드시 목향을 쓴다.(입문) 중하 두 초의 기를 돌아가게 하는데 반드시 빈랑을 사약으로 해야 한다. 또 왈, 맛은 매운데 만일 기울이 되어 잘 돌아가지 못하면 응당 써야 한다. 만약 음화가 치밀어 오르면 당연히 황백과 지모를 쓰면서 목향을 좌약으로 조금씩 넣어 쓴다.(단계) 모든 기를 고르게 하고 체기를 흩어지게 하며 뱃속의 기가 잘 돌아가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끓여 먹거나 다 좋다.(탕액)
片子薑黃 : 治氣 爲最能 治冷氣刺痛 末服煮服皆佳(本草).
편자강황 : 기병을 치료한 데는 가장 좋다. 냉기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黃芪 : 實衛氣 能溫分肉 充皮膚 肥腠理 又能補上中下 內外 三焦之氣(湯液) 肥白氣虛人 宜多服 蒼黑氣實者勿用 煎湯服之佳(東垣)
黃芪 : 위기를 실하게 하고 분육을 따뜻하게 하며 피부를 충실하게 하며 주리를 든든하게 한다. 또한 삼초의 속과 겉의 기를 보한다. 살갗이 희고 기가 허한 사람은 응당 많이 먹어야 한다. 얼굴이 검푸르고 기가 실한 사람은 쓰지 말라. 달여 먹으면 좋다.(동원)
生薑 : 散氣(丹溪). 能行陽而散氣 煎服良(湯液).
생강 : 기를 흩어지게 한다.(단계) 양기를 잘 돌게 하여 기를 흩어지게 하는데 달여 먹는 것이 좋다.(탕액)
香附子 : 大下氣(本草) 主氣分之病 佐以木香 散滯氣泄肺氣 佐以沈香 無不升降 又沈香佐香附 流動諸氣極妙 凡人有病則氣滯而餒 故香附入氣分爲君藥 末服 煎服 丸服 竝可(丹溪)
향부자 : 기를 잘 내린다.(본초) 기분의 병에 주로 쓰는데, 목향을 좌약으로 하면 체기를 흩어지게 하고 폐기를 잘 내보낸다. 침향을 좌약으로 쓰면 기가 잘 오르내리게 된다. 또 침향은 향부자를 도와서 모든 기를 잘 돌아가게 하는데 매우 좋다. 대개 사람이 병이 들면 기가 막혀서 여위게 되므로 향부자는 기분에 들어가서 주약이 된다. 가루내어 먹거나 끓여 먹거나 환을 지어 먹거나 다 좋다.(단계)
白豆寇 : 下氣(本草) 補上焦元氣 馨香之氣味 令胃氣上行 末服佳(丹溪) .
백두구 : 기를 내린다.(본초) 상초의 원기를 보하며 향기로운 냄새와 맛은 위기를 올라가게 한다. 가루내어 먹는 것이 좋다.(단계)
牽牛子 : 黑者屬水 白者屬金 乃瀉氣之藥也(心法) 下一切氣壅滯(本草). 末服丸服竝可.
견우자 : 검은 것은 수에 속하고 흰 것은 금에 속하는데 기를 상하게 하는 약이다.(심법) 일체의 기가 막힌 것을 내리게 한다.(본초) 가루내어 먹어도 좋고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
沈香 : 升降眞氣 又能養諸氣 上而至天 下而至泉 用爲使(湯液). 佐以烏藥 走散滯氣(本草) <入門>曰 保和衛氣 入湯磨汁和服 入丸散 硏極細服.
침향 : 질기를 잘 오르내리게 한다. 또한 여러 가지 기를 잘 보양하여 위로는 머리까지 가게 하고 아래로는 발바닥까지 가게 한다. 사약으로도 쓴다.(탕액) 오약을 좌약으로 쓰면 체기를 잘 흩어지게 한다.(본초) 입문 왈, 위기를 보하고 조화시킨다. 탕약에 넣기도 하고 갈아서 즙을 내어 먹기도 한다. 알약이나 가루를 낼 때는 아주 곱게 가루를 내서 쓴다.
枳殼 : 下氣(本草). 稟受素壯而氣刺痛 用枳殼烏藥 若氣不舒而刺痛 當用木香(正傳) 治冷氣攻刺 枳殼80g 香附子 甘草 各40g 爲末 每8g 葱白煎湯 調服(得效)
지각 : 기를 내린다.(본초) 본래 튼튼한 체질을 받은 사람이 기로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지각과 오약을 쓴다. 만약 기가 펴지 못하여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응당 목향을 쓴다.(정전) 냉기가 들어 찌르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는 지각 80g 향부자 감초 각 40g을 가루내어 매번 8g을 흰 파뿌리를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득효)
烏藥 : 治一切氣 與沈香同磨作湯 點服 治胸腹冷氣甚穩當(本草)
오약 : 일체의 기병을 치료한다. 침향과 함게 갈아서 탕을 끓여 타서 먹는다. 가슴과 배에 냉기가 심한 것도 치료하는데 곧 편안해진다.(본초)
檳榔 : 下一切氣(本草). 苦以破滯 辛以散邪 專攻滯氣下行 又泄胸中至高之氣 末服良(湯液)
빈랑 : 일체의 기를 내린다.(본초) 쓴 맛은 막힌 기를 헤치고 매운 맛은 사기를 몰아낸다. 주로 체기를 내려가게 하며 또한 가슴에 있는 높은 기를 내보낸다. 가루내어 먹으면 좋다.(탕액)
厚朴 : 主五臟一切氣 又能走冷氣 煎服佳(本草)
후박 : 오장의 모든 기병에 주로 쓴다. 또한 냉기를 몰아낼 수 있다. 끓여서 복용하면 좋다.(본초)
訶子皮 : 下氣治一切氣 氣虛人 宜緩緩少服 盖雖澁腸而又泄氣故也 煎服末服竝佳(本草)
가자피 : 기를 내리고 일체의 기병을 치료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응당 천천히 조금씩 먹는다. 비록 장의 배설을 막아주면서도 기를 내보내기도 하기 때문이다. 끓여서 먹어도 좋고 가루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龍腦 : 下惡氣 其性輕浮飛揚 能透達關竅之氣 入他藥服(本草).
용뇌 : 좋지 못한 기를 내보낸다. 약의 성질이 가볍고 떠올라서 관규의 기를 뚫고 올라갈 수 있다. 다른 약에 타서 먹는다.(본초)
麝香 : 辟惡氣(本草) 能引藥氣透達(直指) 通關透竅 上達肌膚 內入骨髓.與龍腦相同 香竄過之(入門) 末服入丸藥用
사향 : 좋지 못한 기를 없앤다.(본초) 약 기운을 이끌어내서 아픈 곳까지 뚫고 들어갈 수 있다.(직지) 관규에 통하고 규에 들어가 위로는 살갗에 다고 안으로는 골수에 들어가는 것이 용뇌와 같으나 배어드는 향이 더하다.(입문) 가루로 먹거나 알약에 넣어서 쓰기도 한다.
陳皮 : 下氣又治逆氣(本草) 導胸中滯氣 又能益氣 若去滯氣 橘皮1g 加靑皮0.4g 煎服(本草)
陳皮 : 기를 내리고 또 기가 치오르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가슴에 막힌 기를 잘 돌아가게 하고 또 기를 보할 수도 있다. 만약 체기를 제거하려면 귤피1g에 청피0.4g 넣어 달여 먹는다. (본초)
靑皮 : 主氣滯 破積結及膈氣 煎服末服竝佳(本草).
청피 : 기가 막힌 데 주로 쓴다. 쌓여서 맺힌 것과 격기를 흩어지게 한다. 끓여서 먹어도 좋고 가루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蘿覆子 : 大下氣 草木中惟蘿葍下氣最速爲其辛也 生薑雖辛止能散而已 蘿葍辛而又甘 故能散緩而下氣速也 蘿葍子尤下氣 炒煎服 末服竝佳(本草).
나복자 : 기를 잘 내린다. 초목 중에서 오직 나복이 기를 내리는 데 가장 빠른 것은 맵기 때문이다. 생강이 비록 맵지만 다만 능히 흩어지게 할 뿐이요, 나복은 매우면서도 달기 때문에 능히 기를 천천히 흩어지게 하면서 빨리 내리게도 한다. 무씨는 더욱 기를 잘 내리게 한다. 덖어서 끓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다 좋다.(본초)
葱白 : 通陽氣 以通上下之陽 去靑取白連根煎服(本草)
총백 : 양기를 통하게 하는데 위아래의 양기를 모두 통하게 한다. 푸른 부분은 버리고 하얀 뿌리만 취해서 끓여 먹는다.(본초)
紫蘇葉 : 下氣與橘皮相 宜氣方中多用之 又散表氣濃煎服(本草)
자소엽 : 기를 내리는 것이 귤피와 서로 같고 기가 가운데 있을 대 많이 쓴다. 또 표기도 잘 흩어지게 하는데 진하게 달여 먹는다.(본초)
人乳 : 益氣爲百藥之長 最宜長服之(本草).
인유 : 기를 보하는 데는 모든 약 중에 제일이다. 오래 먹을수록 좋다.(본초)
牛肉 : 補虛益氣 滋養氣血 肚尤良 爛蒸食之(本草).
우육 : 허한 것을 보하고 기도 보하며 기혈을 자양한다. 위가 가장 좋은데 푹 고와서 먹는다.(본초)
黃狗肉 : 益氣 補陽氣 和五味煮熟食之(本草).
황구육 : 기를 돕고 양기를 보한다. 양념을 넣어 끓여서 익혀 먹는다.(본초)
六字氣訣
噓肝氣呵心氣 呼脾氣呬肺氣 吹腎氣嘻三焦氣 其法以口吐鼻取 能去病延壽.
간기를 내뿜고, 심기를 내뿜으며, 비기를 내뿜고 폐기를 내뿜으며 신기를 내뿜고 삼초기를 내뿜는데 그 방법은 입으로 내쉬고 코로 들이마시면 는이 병을 없애고 오래 살 수 있다.
○ 肝若噓時目爭精 肺知呬氣手雙擎 心呵頂上連叉手 腎吹抱取膝頭平 脾病呼時須撮口 三焦客熱臥嘻嘻
○ 간으로 천천히 내뿜을 때는 눈에 정기를 모으고, 폐로 가쁘게 내뿜을 때는 두 손을 쳐든다. 심으로 내뿜을 때는 두 손을 정수리 위에 깍지를 끼고 신으로 내뿜을 때는 무릎을 두 손으로 껴안는다. 비병으로 내뿜을 때는 반드시 입을 오므린다. 삼초에 객열이 있으면 누워서 내뿜는다.
○ 春噓養肝 夏呵養心 秋呬養肺 冬吹養腎 四季呼養脾 不時嘻養三焦 切忌出聲聞於口耳也(臞仙)
○ 봄에는 내뿜어서 간을 보양하고, 여름에는 내뿜어서 심을 보양하며, 가을에는 내뿜어서 례를 보양하고, 겨울에는 내뿜어서 신을 보양하며 사철에는 보통으로 내뿜어서 시를 보양하고 때없이 내뿜어서 삼초를 보양한다.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절대로 귀에 들리지 않게 해야 한다.(구선)
○ 肝病大呼三十過 細呼十遍 心病大呵三十遍 細呵十遍 脾病大呼三十遍 細呼十遍 肺病大呬三十遍 細呬十遍 腎病大吹五十遍 細吹十遍 皆須左右導引 然後乃爲之(得效).
○ 간병에는 크게 30번을 넘게 내쉬고 작게 열 번을 약하게 한다. 심병에는 세게 30번쯤 한 다음 작게 열 번쯤 한다. 비병에는 크게 30번쯤 하고 작게 열 번쯤 한다. 폐병에는 크게 30번쯤 하고 작게 열 번쯤 한다. 신병에는 크게 50번쯤 내쉬고 작게 10번쯤 한다. 모두 반드시 좌우로 도인법을 한 후에 곧 해야 한다.(득효)
鍼灸法
○ 一切氣疾取氣海 氣逆取尺澤商丘太白三陰交 噫氣上逆 取太淵 神門, 短氣 取太陵 尺澤, 少氣 取間使 神門 太陵 少衝 足三里 下廉 行間 然谷 至陰 肝兪 氣海(神應).
○ 일체의 기병에는 기해열을 취하고 기가 치미는 데는 척택 상구 태백 삼음교 등의 혈을 취한다. 트림이 올라올 때는 태연 신문 등의 혈을 취하고, 숨결이 밭을 때는 태릉 척택 등의 혈을 취하고, 기운이 적을 때는 간사 신문 태릉 소충 족삼리 하렴 행간 연곡 지음 간유 기해혈을 취한다.(신응)
○ 上氣灸太衝 氣結食不消灸太倉 冷氣臍下痛 灸關元百壯 短氣灸大椎隨年壯 肺兪百壯 神闕二七壯 又灸第五椎下 隨年壯(得效)
○ 기가 치미는 데는 태충혈에 뜸을 뜬다. 기가 몰려서 소화가 되지 않을 때는 태창에 뜸을 뜨고, 냉기가 있어서 배꼽아래가 아플 때는 관원에 100장 뜸을 뜬다. 숨결이 밭을 때는 대추혈에 나이 수에 따라 뜸을 뜨고, 폐유에 100장 신관에 14장과 나이 수대로 제오추 아래에 뜸을 뜬다.(득효)
○ 短氣 取天井 大椎 肺兪 肝兪 魚際 尺澤(甲乙).
○ 숨결이 밭을 때는 천정 대추 폐유 간유 어제 택척 등 혈에 뜸을 뜬다.(갑을)
○ 氣亂于心 取神門 太陵 氣亂于肺 取魚際 太谿, 氣亂于腸胃 取太白 陷谷 足三里 氣亂于頭 取天柱 大暑 通谷 束骨 氣亂于臂脛 取二間 三間 內庭 陷谷 液門 中渚 俠谿 臨泣(靈樞)
○ 기가 심에서 어지러워졌을 때는 신문혈과 태릉혈을 취하고, 기가 폐에서 어지러워졌을 때는 어제혈과 태계혈을 취하고, 기가 창자에서 어지러워졌을 때는 태백혈과 함곡혈 족삼리를 취하고, 기가 머리에서 어지러워졌을 때는 천추혈 대서혈 통곡혈 속골혈을 취하고, 기가 신경에서 어지러워졌을 때는 이간혈 삼간혈 내정혈 함곡혈 액문혈 중저혈 협계혈 임읍혈을 취한다.(영추)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