黑藥止血

<綱目>曰 燒灰諸黑藥 皆能止血 <>曰 北方黑色 入通於腎. 夫血者 心之色也 血見黑 卽止者 由腎水能制心火故也

<강목>, 불에 탄 재와 모든 검은 약은 다 피를 멎게 한다. 경에 왈, 북방은 검은 빛이고 신과 통해 있다. 피는 심의 빛이다. 피가 검은 것을 만나면 곧 멎는 것은 신수가 심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止血 宜五灰散 十灰散 十灰丸 百草霜 松烟墨 油髮灰 新錦灰 棕櫚灰 梔子 乾柿 荊芥 蓮房 蝟皮 牛角䚡之類 皆可 燒灰單服

지혈에는 응당 오회산 십회산 십회환을 쓴다. 백초상 홍연묵 유발회 신면회 종려회 치자 건시 형개 연방 위피 우각새 류를 모두 쓸수 있는데 태운 재를 한 가지만 먹어도 좋다.

五灰散

治一切失血 及血崩 蓮蓬殼 黃絹 亂髮 百草霜 棕櫚皮各燒存性 等分 加梔子炒黑 蒲黃 松烟墨 血竭 共爲細末 每12g 以生藕汁 生蘿蔔汁 調服之 或蜜丸 米飮下10丸 亦可(回春)

오회산

일체의 피 흘림과 혈붕을 치료한다. 연봉각 황견 난발 백초상 종려피를 각기 약성이 남게 태워서 등분하여 검게 되도록 덖은 치자, 포황 송연묵 혈갈을 함께 곱게 가루내어 매번 12g을 생연뿌리즙과 생무즙을 섞어서 먹거나 꿀로 환을 지어 미음으로 열 알씩 먹어도 좋다.(회춘)

十灰散

治 嘔吐喀嗽血 及虛勞 大吐血 大薊 小薊 柏葉 荷葉 茅根 茜根 大黃 梔子 棕櫚皮 牧丹皮 各等分 爲燒存性 出火毒 硏 爲極細末 用生藕汁 或蘿蔔汁 磨松墨半椀 調服20g 卽止(新書)

십회산

구혈 토혈 각혈 수혈과 허로로 피를 많이 흘린 것을 치료한다. 대계 소계 백엽 하엽 모근 천근 대황 치자 종려피 목단피를 각각 같은 양을 약성이 남게 태워서 화독을 뺀 다음 갈아서 곱게 가루를 내서 생연뿌리즙이나 생무즙을 써서 간 참먹물 반 사발에 타서 먹으면 곧 멎는다.(신서)

十灰丸

治血崩 及一切失血 黃絹灰 馬尾灰 藕節灰 艾葉灰 蒲黃灰 蓮蓬灰 油髮灰 棕櫚灰 赤松皮丸 新綿灰 各等分爲末 以醋煮 糯米糊和丸 梧子大 米飮 下100(丹心)

십회환

혈붕과 일테의 피 흘림을 치료한다. 황견회 마미회 우절회 애엽회 포황회 연봉회 유발회 종려회 적송피환 신면회 같은 양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찹쌀풀에 반죽한 다음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미음으로 100알씩 먹는다.(단심)

 

禁忌

<內經>曰 鹹走血 血病無多食鹹 <>曰 久視傷血 凡血少血虛之人 針刺出血過多 皆爲禁忌

<내경>, 짠 것은 피로 달리기 때문에 혈병에는 짠 것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또 왈, 오래 보면 혈이 상한다. 대개 혈이 적거나 허한 사람은 침을 찔러 피를 많이 내는 것은 금기다.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血汗

<內經> 少陰所至爲衄衊釋曰衊血汗也

<내경>, 소음이 지극하면 육멸이 된다. 주석에는 멸을 혈한이라 했다.

<河間>曰 膽受熱 血妄行爲衄衊 幷血汗 宜定命散

<하간>, 담이 열을 받으면 피가 허투루 돌아서 육멸이 되거나 혈한이 생기는데 응당 정명산을 쓴다.

<三因>曰 無病者 汗出汚衣 甚如胚染 名曰血汗 亦曰紅汗 由大喜傷心 喜則氣散 血隨氣行也 宜黃芪建中湯方見虛勞 兼服 妙香散方見神門 以金銀器入小麥 麥門冬煎湯 調下 産婦血汗 宜葎草汁方

<삼인>, 병이 없으면서 땀이 나서 옷을 더럽히고 심하면 더럽게 물든 것처럼 되는데 혈한이라고 하고 홍한이라고도 한다. 지나치게 기뻐하여 심장이 상했을 때 기뻐하면 기가 흩어지고 피도 기를 따라간다. 응당 황기건중탕(처방은 허로를 보라)과 묘향산(처방은 신문을 보라)을 함께 복용한다. 금은 그릇에 밀을 넣고 맥문동과 함께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산모의 혈한에는 응당 진초즙을 처방하는 것이 좋다.

定命散

治 衄衊血汗 朱砂 寒水石 麝香 等分爲末 每2g 新水 調下(河間)

정명산

코피가 나는 것과 혈한을 치료한다. 주사 한수석 사향을 등분하여 가루내고 매번 1전을 새로 길러온 물에 타서 먹는다.(하간)

葎草汁方

治 産婦 因大喜 汗出汚衣 赤色 葎草擣取汁2入醋2 和之 空腹 飮1盞 或濃煮服 亦可(三因)

율초즙방

산부가 지나치게 기뻐하여 땀을 흘려 옷을 빨갛게 더럽힌 것을 치료한다. 율초도취즙2에 식초 두 홉을 타서 빈속에 한 잔을 먹거나 진하게 끓여서 먹어도 좋다.(삼인)

蝟皮肉 主血汗 皮燒灰 米飮 調服 肉煮食之(本草)

고습도치의 가죽과 고기는 주로 혈한을 치료한다. 가죽을 태운 재를 미음에 타서 먹고 고기는 삶아서 먹는다.(본초)

 

九竅出血

人卒大驚 則九竅血皆溢出 謂之 九竅出血(本草)

사람이 갑자기 크게 놀라면 아홉 구멍에서 다 피가 흘러나오는데 이것을 구규출혈이라 한다.(본초)

傷寒少陰證 醫者不識 强發其汗 則伏熱逼血 從九竅而出 名爲下厥上竭 不治詳見寒門

상한소음증인 것을 의원이 알지 못하고 억지로 땀을 내게 하면 잠복된 열이 피를 억누르게 되기 때문에 아홉 구멍을 따라 피가 나오는 것이다. 이것을 하궐상갈이라 하는데 치료할 수가 없다. 자세한 것은 상한문을 보라.

九竅出血 宜側柏散方見上 百草霜油 髮灰 龍骨末 或吹入 或 糝之(入門)

구규출혈에는 응당 측백산(처방은 위를 보라) 또는 백상엽유 발회 용골을 가루내거나 빨아들이거나 바른다.(입문)

卒驚悸九竅血 皆溢出 新屠猪羊血 熱飮二升 卽止 又人有九竅四肢指岐間出血 乃暴驚所爲 取新生犢子 臍中屎燒灰 和水服 日三四次 又小薊搗取汁一盞 半盞調和頓服 乾者爲末 冷水調服(本草)

갑자기 놀라고 가슴이 두근거려서 구규에서 모두 피가 흘러나올 때는 갓 잡은 되지나 양의 피를 따뜻할 때 두 되를 마시면 곧 멈춘다. 또 구규나 사지 사이에서 피가 나오기도 하는데 이것은 갑자기 놀라서 그렇다. 갓 낳은 송아지 배꼽 가운데 있는 똥을 태운 재를 물에 풀어서 하루 3-4차 먹는다. 또 조뱅이를 짓찧어 즙을 내어 한 잔을 술 반 잔에 타서 한 번에 마시거나 마른 것을 가루내어 찬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又法> 井華水 卒噀其面 勿令病人 先知之(本草)

<우법> 또 다른 방법은 정화수를 갑자기 환자의 얼굴에 뿜어 주는 것이다. 환자에게 먼저 알려주지 않아야 한다.(본초)

指縫瘙痒成瘡 有竅出血不止 多年糞桶篐篾燒灰傅之 卽止(得效)

손가락 사이에 헌 데가 생겨 가렵고 구멍이 나서 피가 나오면서 그치지 않으면 오래된 똥통대그릇을 태운 재를 붙이면 곧 멎는다.(득효)

血自皮膚間濺出 用煮酒甁上紙 碎揉如楊花 以手捏 在出血處 卽止(入門)

피가 피부에 사이에서 물흐르듯이 나오면 술을 끓일 때의 시루 위의 종이를 비벼서 버드나무꽃처럼 만들어 피가 나오는 곳에 대고 누르고 있으면 곧 멎는다.(입문)

膕中出血不止 乃血虛也 宜服十全大補湯方見虛勞(寶鑑)

오금에서 피가 나오면서 멎지 않는 것은 혈이 허해서이다. 응당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를 보라)을 쓴다.(보감)

 

傷損失血 詳見諸傷

상손실혈 상세한 것은 제상을 보라.

 

失血眩暈

<海藏>曰 一切去血過多 則必致眩暈悶絶 凡崩中去血 拔牙齒去血多 金瘡去血多 産後去血多 皆有此證 宜大劑芎歸湯方見婦人 煎服救之.

<해장>, 일체의 거혈로 피를 지나치게 많이 흘리면 꼭 어지럼증이 생기고 답답하고 혼절한다. 붕중으로 피를 흘리거나 이를 빼고 피를 많이 흘리거나 쇠붙이에 다쳐서 피를 많이 흘리거나 산후에 피를 많이 흘리는 것이 다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 응당 대제궁귀탕(처방은 부인을 보라)을 달여 먹으면 낫는다.

吐衄大甚不止 當防其血暈 茅根燒烟 將醋灑之 令鼻嗅氣 以遏其勢 或驀然以冷水噀其面 使驚則止(入門)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심하게 나오면서 그치지 않으면 당연히 어지럼증을 방비해야 한다. 띠뿌리를 태우는데 식초를 뿌리면서 코로 냄새를 맡게 하면 그 증세를 막거나 갑자기 찬물을 환자의 얼굴에 뿜어서 놀라게 하면 그친다.(입문)

失血多 眩暈不省 宜生地芩蓮湯救之 又全生活血湯方見胞門 亦佳(入門)

피를 많이 흘려서 어지러워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면 응당 생지금련탕으로 치료해야 한다. 또 전생활혈탕(처방은 포문을 보라)을 써도 좋다.(입문)

血暈者 皆因去血過多 虛而成暈 脈微澁也 急用芎歸湯方見婦人救之 繼用加味四物湯(回春)

혈혼이란 모두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허해져서 생긴 어리럼증인데 맥이 자고 까칠하다. 급히 궁귀탕(처방은 부인을 보라)을 써서 치료를 하고 계속해서 가미사물탕을 쓴다.(회춘)

吐衄血過多 昏迷不省 生地黃三五斤汁連飮 不暇取汁則生吃呷汁 以滓塞鼻神效 又好墨濃磨汁飮之 仍點入鼻中(本草)

피를 토하거나 코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정신을 잃고 깨어나지 못하면 생지황 15근을 즙을 내서 연이어 먹는다. 즙을 낼 여유가 없을 때는 생것으로 즙을 빨아먹게 한 다음 찌꺼기로 코를 막으면 효과 좋다. 또 호묵농마즙을 먹인 다음 코 안에 방울방울 떨구어 주어도 좋다.(본초)

 

生地芩連湯

治婦人因崩漏 大脫血 或男子去血過多因而涸燥 循衣摸床撮空 閉目不省 揚手擲足 錯語失神 鼻乾氣粗 生地黃 川芎 當歸6g 赤芍藥 山梔子 黃芩 黃連2.8g 防風8g爲剉 水煎 徐徐呷下 此危證也 以此救之(入門)

생지금연탕

붕루로 인해 부인이 피가 크게 부족하거나, 남자가 피를 많이 흘려 피부가 마르고 열이 나며 옷깃을 만지작거리고 잠자리를 어루만지며 허공에 대고 헛손질 하고 눈을 뜨지 못하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손을 내젓고 말로 차려고 하며 말을 허투루 하고 정신을 잃고 코가 마르며 숨결이 거친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천궁 당귀6g 적작약 산치자 황금 황연2.8g 방풍8g을 썰어서 물에 끓여 천천히 먹인다. 이는 위급한 증상인데 이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입문)

加味四物湯

治血虛 眩暈卒倒 不可艾灸 驚哭叫動 動卽乘虛而死矣 當歸 川芎 白芍 生地黃 熟地黃 黃芪 人參 白朮 陳皮 白茯笭 荊芥 甘草3g 剉棗2枚 烏梅一箇煎服(回春)

가미사물탕

혈허로 어지럼증이 나서 졸도하는 것을 치료한다. 뜸을 뜨지도 말며 놀라서 울고 소리치며 움직이게 해서는 안 된다. 움직이면 더욱 허해져서 죽는다. 당귀 천궁 백작 생지황 숙지황 황기 인삼 백출 진피 백복령 형개 감초3g을 썰어서 대추 두 알 오매 한 개를 넣고 끓여서 먹는다.(회춘)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齒衄

<入門>曰 血從齒齦出血 謂之齒衄 又曰 牙床屬胃 牙齒屬腎 如陽明傳入少陰 二經相幷 血出於牙縫 如吐者 人多不覺 其爲牙血 以凉水漱口則血止 少頃 又來者 是外用綠袍散 內服解毒湯方見上合犀角地黃湯 生地芩連湯方見下

<입문>,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육이라 한다. 또 왈, 잇몸은 위에 속하고 이는 신에 속한다. 만약 양명경에서 소음경으로 전해 들어가서 두 개의 경맥이 서로 어울리게 되면 잇몸에서 피가 토하는 것처럼 나는 것을 사람들은 흔히 그것이 잇몸에서 나는 것을 알지 못하고 찬물로 입을 가셔서 피를 멎게 하고자 한다. 조금 있으면 또 나오는데 이것은 녹포산을 겉에 바르고 해독탕(처방은 위를 보라) 서각지황탕이나 생지금련탕(처방은 아래를 보라)을 복용한다.

齒衄 荊槐散 鬱金散 小薊散

잇몸에서 피가 나는 데는 응당 형괴산 울금산 소계산을 쓴다.

綠袍散

治齒縫出血不止 黃栢 薄荷 芒硝 靑黛各等分 爲末 入龍腦 少許 糝牙床 卽止(入門)

녹포산

잇몸에서 피가 나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백 박하 망초 청대각등분하여 가루를 내서 용뇌를 조금 넣고 잇몸에 바르면 곧 그친다.(입문)

荊槐散

治牙宣出血 荊芥 槐花炒各等分 爲末 常擦牙 或點服(得效)

형괴산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형개 괴화초각등분하여 가루내서 늘 이를 문지르거나 조금씩 먹는다.(득효)

鬱金散

治齒齦出血 鬱金 白芷 細辛各等分 爲末 常擦牙 仍以竹葉 竹茹 入鹽 煎水 含漱(得效)

울금산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울금 백지 세신각등분하여 가루내어 늘 이를 문지르고 곧 죽엽과 죽여로 소금과 함께 물에 끓여서 입에 머금고 있어야 한다.(득효)

小薊散

治牙宣出血 百草霜 小薊 香附子 蒲黃炒各20g爲末 常揩牙齒上 立止(得效)

소계산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백초상 소계 향부자 포황초각20g을 가루내어 늘 잇몸을 문지르면 멎는다.(득효)

우방

齒縫多出血 以鹽湯 常常漱口 仍以鹽末塗之

잇몸에서 피가 많이 나오면 소금탕으로 늘 입을 헹구고 곧 소금 가루를 발라야 한다.

靑竹茹 醋浸1宿 含漱 又 竹葉濃煎 入鹽 含漱 又濃煎 茗湯含漱 皆妙(本草)

청죽여를 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양치질을 하고 또 진하게 달인 죽엽물에 소금을 넣어서 양치질을 하고 또 진하게 달인 찻물로 양지질을 해도 좋다.(본초)

治牙疼 牙宣出血 香附子末 薑汁浸1宿 漱口 後揩齒(得效)

이가 아프고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를 가루내어 생강즙에 하룻밤을 재워서 입을 헹군 후에 이를 문지른다.(득효)

滿口齒出血 地骨皮 煎湯 先漱 後喫(綱目)

잇몸에서 입안 가득 피가 나오면 지골피를 끓여서 물로 먼저 양치질을 한 다음에 그 물을 먹는다.(강목)

 

舌衄

<入門>曰 血從舌出謂之舌衄 宜蚊蛤散

<입문>, 혀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혈육이라 하는데 응당 문합산을 쓴다.

<又方> 蒲黃炒 爲末 糝之卽止 又槐花炒爲末糝之.又 赤小豆一升 搗碎和水取汁服之(本草)

<우방> 포황을 초하여 가루내어 바르면 곧 그친다. 또 회화를 초하여 가루내어 바르기도 하고 또 붉은 콩 한 되를 짓빻아서 물에 넣고 즙을 내어 먹는다.(본초)

<又方> 髮灰8g 2合調服 且糝之(綱目)

<우방> 나발재 4전과 식초 두 홉을 타서 먹고 바른다.(강목)

蚊蛤散

治 舌上出血如泉 五倍子 白膠香 牡蠣粉等分 爲末 糝患處(得效)

문합산

혀에서 피가 샘물처럼 솟아나는 것을 치료한다. 오배자 백교향 모려분등분하여 가루를 내서 아픈 곳에 바른다.(득효)

血汗

<內經> 少陰所至爲衄衊釋曰衊血汗也

<내경>, 소음이 지극하면 육멸이 된다. 주석에는 멸을 혈한이라 했다.

<河間>曰 膽受熱 血妄行爲衄衊 幷血汗 宜定命散

<하간>, 담이 열을 받으면 피가 허투루 돌아서 육멸이 되거나 혈한이 생기는데 응당 정명산을 쓴다.

<三因>曰 無病者 汗出汚衣 甚如胚染 名曰血汗 亦曰紅汗 由大喜傷心 喜則氣散 血隨氣行也 宜黃芪建中湯方見虛勞 兼服 妙香散方見神門 以金銀器入小麥 麥門冬煎湯 調下 産婦血汗 宜葎草汁方

<삼인>, 병이 없으면서 땀이 나서 옷을 더럽히고 심하면 더럽게 물든 것처럼 되는데 혈한이라고 하고 홍한이라고도 한다. 지나치게 기뻐하여 심장이 상했을 때 기뻐하면 기가 흩어지고 피도 기를 따라간다. 응당 황기건중탕(처방은 허로를 보라)과 묘향산(처방은 신문을 보라)을 함께 복용한다. 금은 그릇에 밀을 넣고 맥문동과 함께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산모의 혈한에는 응당 진초즙을 처방하는 것이 좋다.

定命散

治 衄衊血汗 朱砂 寒水石 麝香 等分爲末 每2g 新水 調下(河間)

정명산

코피가 나는 것과 혈한을 치료한다. 주사 한수석 사향을 등분하여 가루내고 매번 1전을 새로 길러온 물에 타서 먹는다.(하간)

葎草汁方

治 産婦 因大喜 汗出汚衣 赤色 葎草擣取汁2入醋2 和之 空腹 飮1盞 或濃煮服 亦可(三因)

율초즙방

산부가 지나치게 기뻐하여 땀을 흘려 옷을 빨갛게 더럽힌 것을 치료한다. 율초도취즙2에 식초 두 홉을 타서 빈속에 한 잔을 먹거나 진하게 끓여서 먹어도 좋다.(삼인)

蝟皮肉 主血汗 皮燒灰 米飮 調服 肉煮食之(本草)

고습도치의 가죽과 고기는 주로 혈한을 치료한다. 가죽을 태운 재를 미음에 타서 먹고 고기는 삶아서 먹는다.(본초)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便血

<內經>曰 結陰者便血一升 再結二升 三結三升 釋曰 結陰之病 陰氣內結 不得外行 血無所稟 滲入腸間 故便血也 其脈虛澁者是也 因血結不行 故下也 平胃地楡湯 結陰丹主之(綱目)

<내경>, 음이 몰리면 대변에 피가 한 되 나오는데, 두 번 몰리면 두 되, 세 번 몰리면 세 되가 나온다. 주석에는, 음이 몰려서 생긴 병은 음기가 안으로 몰려서 겉으로 나갈 수가 없기 때문에 피가 갈 곳이 없어 장 사이로 스며들기 때문에 피똥이 나온다. 그 맥이 허삽하다. 피가 몰려서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다. 평위지유탕 결음단으로 주로 치료한다.(강목)

<靈樞>曰 邪在五臟 則陰脈不和 陰脈不和 則血留之 盖邪犯五臟 則三陰脈絡不和而結聚 血 因停留 溢則滲入腸間而爲便血(入門)

<영추>, 사기가 오장에 있으면 음맥이 고르지 못한데 음맥이 고르지 못하면 피가 머무른다. 대개 사기가 오장을 범하면 삼음맥락이 고르지 못해서 몰리고 뭉친다. 피가 정류되어 넘치면 장 사이로 스며들기 때문에 피똥을 누는 것이다.(입문)

<仲景>曰 先便後血者 遠血也 黃土湯主之 先血後便者 近血也 赤小豆當歸散主之.

<중경>, 먼저 대변이 나오고 뒤에 피가 나오는 것은 먼 데서 오는 피이므로 황토탕을 주로 쓴다. 먼저 피가 나오고 뒤에 변이 나오면 적소두당귀산을 주로 쓴다.

便血宜胃風湯方見大便 淸藏湯 楡砂湯 地楡散 蓮殼丸 加減四物湯 槐花散 有實熱者 當歸承氣湯 日久便血元氣下陷者 厚朴煎 補中益氣湯 內傷飮食者 平胃散方見內傷 加枳殼 槐花 當歸 烏梅 酒毒便血 酒蒸黃連丸(寶鑑)

변혈에는 응당 위풍탕(처방은 대변을 보라) 청장탕 유사탕 지유탕 연곡환 가감사물탕 괴화산을 쓰며 실열이 있으면 당귀승기탕을 쓰고, 변혈이 오래되어 원기가 떨어지면 후박전 보중익기탕을 쓰고, 안으로 음식에 상하면 평위산(처방은 내상을 보라)에 지각 괴화 당귀 오매을 더해서 쓰고, 술독으로 피똥을 누면 주증화연환을 쓴다.(보감)

平胃地楡湯

治結陰便血 蒼朮 升麻 附子炮各4g 地楡2.8g 葛根 厚朴 白朮 陳皮 赤茯笭2g 乾薑 當歸 神麴白芍藥 益智仁 人參 甘草灸各1.2g剉作一貼 薑32 水煎服(寶鑑)

평위지유탕

음이 몰려서 생긴 피똥을 치료한다. 창출 승마 부자포각4g 지유2.8g 갈근 후박 백출 진피 적복령2g 건강 당귀 신국백작약 익지인 인삼 감초구각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끓여서 먹는다.(보감)

結陰丹

治結陰便血 枳殼 威靈仙 黃耆 陳皮 樗根白皮 何首烏 荊芥穗各20g爲末 酒糊 和丸 梧子大 每服5070丸 陳米飮 入醋 呑下(寶鑑)

결음단

음이 몰려서 생긴 피똥을 치료한다. 지각 위령선 黃芪 진피 저근백피 하수오 형개수각20g을 가루내어 술로 풀을 쑤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50-70알을 묵은 쌀로 쑨 미음에 식초를 넣어서 먹는다.(보감)

黃土湯

治先大便後下血 竈中黃土12g 熟地黃 白朮 附子 阿膠珠 黃芩 甘草灸各4g爲剉 作一貼 水煎服(仲景)

황토탕

먼저 대변이 나오고 뒤에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조중황토12g 숙지황 백출 부자 아교주 황금 감초구각4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중경)

赤小豆當歸散

治先下血後大便 赤小豆200g 浸令芽出 曝乾 當歸40g爲擣爲末 漿水調服8g 3(仲景)

적소두당귀산

먼저 피가 하혈을 하고 뒤에 대변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적소두200g 물에 담가 싹을 내어 햇변에 말린 것 당귀40g을 빻아 가루내어 간장물에 타서 복용한다.(중경)

淸臟湯

治大便下血 生地黃4g 當歸酒洗 地楡3.2g 黃芩 梔子炒黑 黃栢炒各2.8g 白芍藥 黃連 側柏葉 阿膠珠2.4g 川芎 槐角炒各2g 剉作一貼 水煎服(回春)

청장탕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4g 당귀주세 지유3.2g 황금 치자초흑 황백초각2.8g 백작약 황연 측백엽 아교주2.4g 천궁 괴각초각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楡砂湯

治結陰便血 地楡160g 縮砂7枚 硏 生甘草6g 灸甘草4g爲剉 水煎服(入門)

유사탕

음이 몰려서 생긴 피똥을 치료한다. 지유160g 축사7 생감초6g 구감초4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입문)

地楡散

治遠年下血 地楡 卷柏20g爲剉 砂餠 煮10餘沸 溫服(丹心)

지유산

오래 된 하혈을 치료한다. 지유 권백20g을 썰어서 사기탕관에 넣고 열 번 정도 끓어오르게 달여서 따뜻하게 마신다.(단심)

連殼丸

治內傷下血 用此 以解絡脈之結 黃連 枳殼80g 剉以槐花160g同炒揀 去槐花 爲末 蒸餠 和丸梧子大 白湯下5070(入門) (正傳)枳殼湯 同 但剉20g 水煎服

연각환

속이 상해서 하는 하혈을 치료하는데 이 약을 쓰면 낙맥이 맺힌 것도 풀어준다. 황연 지각80g을 썰어서 회나무 160g과 함께 덖은 다음 회나무는 제거하고 가루내어 쪄서 떡을 만들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서 끓인 물에 50-70알을 먹는다.(입문) 정전지각탕도 이와 같으나 다만 썰어서 20g을 물에 끓여서 먹는다.

加減四物湯

治便血 亦治腸風 側柏葉 生地黃 當歸 川芎4g 枳殼 荊芥 槐花炒 甘草灸各3g爲剉 作一貼 薑3片 烏梅1箇 煎服(得效)

가감사물탕

피똥과 장풍을 치료한다. 측백엽 생지황 당귀 천궁4g 지각 형개 괴화초 감초구각3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과 오매 한 개를 넣어서 끓여 먹는다.(득효)

槐花散

治腸胃有濕 脹滿下血 槐花8g 蒼朮 厚朴 陳皮 當歸 枳殼4g 烏梅肉 甘草灸各2g 爲剉 作一貼 水煎服(丹心)

괴화산

장위에 습이 있어서 배가 부풀어오르로 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괴화8g 창출 후박 진피 당귀 지각4g 오매육 감초구각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단심)

當歸承氣湯

治實熱便血 當歸8g 厚朴 枳實 大黃3.2g 芒硝2.8g 爲剉 水煎服(丹心)

當歸承氣湯

실열로 피똥을 싸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8g 후박 지실 대황3.2g 망초2.8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단심)

厚朴煎

治便血 及諸下血 厚朴 生薑200g同搗爛炒黃 白朮 神麴 麥芽 五味子40g同炒黃 爲末 水糊 和丸 梧子大 米飮 下100(入門)

후박전

피똥을 싸는 것과 여러 하혈을 치료한다. 후박 생강200g함께짓찧어서 누렇게 볶는다 백출 신국 맥아 오미자40g동초황을 가루내어 물로 풀을 쑤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미음으로 100알씩 먹는다.(입문)

酒蒸黃連丸

治酒毒積熱 便血 肛門作熱 黃連160g 剉酒淹一宿 日乾 爲末 粟米糊 和丸 梧子大 熟水下3050(得效)

주증황연환

주독으로 열이 모여서 생긴 피똥으로 항문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황연160g을 썰어서 술에 하룻밤을 재워두었다가 햇빛에 말려서, 가루내어 좁쌀풀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30-50알씩 먹는다.(득효)

腸澼證 자세한 것은 후음을 보라.

尿血

<內經>曰 胞移熱於膀胱 則癃尿血

<내경>, 포의 열이 방광으로 가면 오줌이 막히거나 피오줌이 나온다.

<仲景>曰 熱在下焦 則尿血 凡小便血出 成淋作痛 或雜尿而出者 從膀胱中來也 如血出不痛 乃心移熱於小腸 從精竅中出也(正傳)

<중경>, 열이 하초에 있으면 피오줌이 나온다. 대개 소변에 피가 나오다가 임병이 되어 아프면서 피가 오줌에 섞여 나오는 것은 방광 속에서 나오는 것이다. 피가 나오면서 아프지는 않은 것은 곧 심의 열이 소장으로 넘어가서 정규에서 나오는 것이다.(정전)

小便出血 而不痛者 爲尿血 非淋也 是血從精竅中來 乃心移熱於小腸 四物湯 梔子 滑石 牛膝 芩蓮 髮灰散 琥珀散(入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서도 아프지 않은 것은 피오줌이지 임병은 아니다. 이는 피가 정규에서 나오는 것인데 곧 심의 열이 소장에 넘어가서 생긴 것이다. 사물탕에 치자 활석 우슬 금련을 넣어 쓰거나 발회산 호박산을 써야 한다.(입문)

小便出血 是心伏熱在於小腸 八正散方見小便 麥門冬煎服(鉤玄)

소변에 피가 나오는 것은 심의 열이 소장에 넘어가서 잠복했기 때문이다. 팔정산처방은 소변을 보라 맥문동을 더해서 끓여 먹는다.(구현)

尿血 宜淸腸湯 淸熱滋陰湯 小薊飮子 薑蜜湯 四物湯合五苓散方見寒門煎服 酒傷尿血 茯苓調血湯 色傷尿血 鹿角膠丸 腎氣丸方見虛勞 老人 六味地黃丸方見虛勞 婦人 當歸散 小兒 立效散

피오줌에는 응당 청장탕 청열자음탕 소계음자 강밀탕 사물탕합오령산처방은 한문을 보라을 더해서 먹는다. 술 때문에 피오줌이 나오는 것은 복령조혈탕을 쓰고 색을 밝혀서 피오줌이 나오는 것은 녹각교환 신기환처방은 허로를 보라을 쓰고 노인은 육미지황환처방은 허로를 보라 부인은 당귀산 소아는 입효산을 쓴다.

有實熱 當歸承氣湯方見下下之(寶鑑)

실열이 있으면 당귀승기탕처방은 아래를 보라으로 설사를 시켜야 한다.(보감)

 

髮灰散

治尿血 亂髮燒存性 爲末 每8g 以醋二合湯少許 調服 或以井華水 亦得(綱目)

발회산

피오줌 누는 것을 치료한다. 난발을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를 내어 매 4전을 식초 두 홉에 푼 다음 끓인 물에 조금 타서 복용하거나, 정화수에 타서 먹어도 좋다.(강목)

髮灰丸 治同 髮灰以側柏葉汁 調糯米粉和 丸梧子大 白湯 呑下50(正傳)

발회환 피오줌을 누는 것을 치료한다. 발회는 측백잎즙을 참쌀가루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에 50알씩 먹는다.(정전)

琥珀散

治尿血 琥珀 爲細末 燈心 薄荷 煎湯 調8g 服之(入門)

호박산

피오줌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호박을 곱게 가루내어 등심 박하를 달인 물에 4전씩 타서 먹는다.(입문)

淸腸湯

治尿血 當歸 生地黃 梔子 黃連 赤芍藥 黃栢 瞿麥 赤茯笭 木通 萹蓄 知母 麥門冬2.8g 甘草2g剉作一貼 燈心1團 烏梅1箇 水煎服(回春)

청장탕

피오줌 누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생지황 치자 황연 적작약 황백 구맥 적복령 목통 편축 지모 맥문동2.8g 감초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등심 한 단 오매 한 개를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淸熱滋陰湯

治尿血 及便血 生地黃 麥門冬 梔子炒黑各4g 玄蔘 牧丹皮3.2g 當歸 川芎 赤芍藥2g 知母 黃栢竝酒炒 白朮 陳皮 甘草1.2g剉作一貼 水煎服(醫鑑)

청열자음탕

피오줌과 피똥 누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맥문동 치자초흑각4g 현삼 목단피3.2g 당귀 천궁 적작약2g 지모 황백병주초 백출 진피 감초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듣어 물에 끓여 먹는다.(의감)

小薊飮子

治下焦結熱尿血 藕節8g 當歸4g 山梔仁3.2g 小薊 生地黃 滑石 通草 蒲黃2g 甘草1.2g爲剉 作一貼 竹葉7片 同煎服(丹心)

소계음자

하초에 열이 맺혀서 나오는 피오줌을 치료한다. 우절8g 당귀4g 산치인3.2g 소계 생지황 활석 통초 포황2g 감초1.2g을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죽엽 7잎을 넣어 함께 끓여 먹는다.(단심)

薑蜜湯

治小便出血 生薑7半盃 白茅根1爲水煎服(得效)

강밀탕

소변에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생강7반배 백모근1을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茯苓調血湯

治酒麵過度 房勞後 小便出血半 赤茯笭6g 赤芍藥 川芎 半夏麴各2.8g 前胡 柴胡 靑皮 枳殼 桔梗 桑白皮 白茅根 燈心 甘草2g剉作一貼 薑5片 蜜2匙 水煎服(得效)

복령조혈탕

술이나 국수를 지나치게 먹었거나 방사 후에 소변에 피가 반이나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적복령6g 적작약 천궁 반하국각2.8g 전호 시호 청피 지각 길경 상백피 백모근 등심 감초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5쪽 꿀 두 숟갈을 넣고 물에 끓여 먹는다.(득효)

鹿角膠丸

治房室勞傷 小便出血 鹿角膠40g作珠 沒藥 油髮灰24g 爲末 白茅根汁 打糊 和丸 梧子大 空心鹽湯 呑下70(得效)

녹각교환

방사로 피로 때문에 상해서 소변에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녹각교40g초하여 구슬처럼 만든 것 몰약 유발회24g을 가루내어 백모근즙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소금탕으로 70알씩 먹는다.(득효)

當歸散

治婦人尿血 生地黃10g 小薊葉8g 當歸 羚羊角屑 赤芍藥6g 爲剉 作一貼 水煎服(丹心)

당귀산

부인의 피오줌을 치료한다. 생지황10g 소계엽8g 당귀 영양각설 적작약6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먹는다.(단심)

立效散

治小兒尿血 蒲黃 生地黃 赤茯笭 甘草4g 爲剉 水煎(丹心) 甘草 升麻 煎水 調益元散 服之方見暑門

입효산

소아의 피오줌을 치료한다. 포황 생지황 적복령 감초4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 (단심) 또 감초와 승마을 물에 끓여서 익원산을 타서 먹는다. 처방은 서문을 보라.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咳血 嗽血 唾血 咯血

咳血者 咳甚出血 本於肺 龍腦鷄蘇丸 鷄蘇散方見上 玄霜膏

해혈이란 기침이 심해서 피가 나오는 것인데 원인은 폐에 있다. 용뇌계소환 계소산(처방은 위를 보라) 현상고를 쓴다.

嗽血者 痰嗽帶血 本於脾 六君子湯方見痰飮 加桑白皮 片芩 枳殼 五味子 有火者 加味逍遙散

수혈이란 기침할 때 가래에 피가 섞이는 것인데 원인은 비에 있다. 육군자탕(처방은 담음을 보라)에 상백피 편금 지각 오미자를 더해서 쓰는데 사화가 있으면 가미소요산을 쓴다.

唾血者 鮮血隨唾而出 本於腎 滋陰降火湯方見火門 唾中有紅絲 乃是肺痿 難治

타혈이란 가래침에 빨간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인데 원인을 신에 있다. 자음강화탕(처방은 화문을 보라) 가래침에 피오라기가 섞여 나오는 것을 폐위증이라 하는데 치료하기가 어렵다.

咯血者 咯出血屑 或 咯而不出 甚咯則出 或帶紅絲 細如線 此精血竭也 四物湯 加竹瀝 薑汁 童便 靑黛 或 滋陰降火湯 保命生地黃散方見下 聖餠子(入門)

각혈이란 트림할 때 작은 핏덩이가 나오는 것인데 뱉으려 해도 잘 나오지 않다가 심하게 트림을 해야 나온다. 혹은 가는 실 같은 빨간 피오라기가 나오는데 이것은 정혈이 고갈되어서 그렇다. 사물탕에 죽력 생강즙 아이오줌 청대를 넣어 쓰거나 자음강화탕 보명생지황산(처방은 아래를 보라) 성병자를 쓴다.(입문)

先見紅後痰 多是 陰虛火動 痰不下降 四物湯 貝母 天花粉 以化痰 山梔仁 麥門冬 牧丹皮 以降火 先痰嗽後見紅 多是痰火積熱 降痰火爲急 宜山梔地黃湯

먼저 빨간 피가 보이고 다음에 담이 나오는 것은 흔히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하고 담이 잘 내려가지 못해서다. 사물탕에 패모 천화분을 더해서 담을 삭이고 치자 맥문동 모란피로써 화를 내려야 한다. 먼저 담이 나오고 뒤에 빨간 피가 나오는 것은 흔히 담화로 열이 쌓였기 때문이다. 응당 산치지황탕을 쓴다.

痰嗽涎帶血出 此胃口熱血蒸而出 重者 梔子 輕者藍實(丹心)

가래나 침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은 위에 있는 열이 피를 훈증하여 나오는 것인데 중하면 산치자를 쓰고 경하면 쪽씨를 쓴다.(단심)

先吐痰後見血 是積熱 宜 淸肺湯先吐血後見痰 是陰虛 宜滋陰降火湯(回春).

咳嗽咯血 龍腦鷄蘇丸 河間生地黃散 淸火滋陰湯 淸咳湯 淸咯湯 淸唾湯 坎离膏方見下玄霜雪梨膏 恩袍散(寶鑑)

해혈 수혈 타혈 각혈에는 응당 용뇌계소환 하간생지황산 청화자음탕 청해탕 청각탕 청타탕 감리고(처방은 아래를 보라) 현상설리고 은포산을 쓴다.(보감)

 

龍腦鷄蘇丸

治咳嗽 唾 喀血 薄荷1麥門冬160g 蒲黃 阿膠80g 甘草60g 人參 黃芪40g 爲末 別以柴胡 木通80g 剉用湯半椀 浸2宿 取汁 用蜜2斤 煉12沸 入生乾地黃末240g 攪勻 入柴胡 木通汁

慢火 熬成膏 然後 將前藥末 同搜和 爲丸豌豆大 熟水 下20(局方)

용뇌계소환

해수와 타혈 객혈을 치료한다. 박하1맥문동160g 포황 아교80g 감초60g 인삼 황기40g을 가루내고, 따로 시호 목통80g을 썰어서 끓인 물 반 사발에 담가 이틀 밤을 재워 즙을 내고 , 꿀 두 근을 한두 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생건지황 가루 240g과 고루 섞는다. 여기에 시호 목통즙을 타서 약한 불에 달여 고를 낸 다음 앞의 약 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완두콩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20알씩 먹는다.(국방)

玄霜膏

治喀血 吐血 虛勞嗽 神效 烏梅汁 梨汁 柿霜 白砂糖 白蜜 蘿蔔汁160g 生薑汁40g 赤茯笭320g用乳汁浸晒9 款冬花 紫莞末各80g 共入砂鍋內 熬成膏 丸如彈子大 每1丸 臨臥 含化嚥下(入門)

현상고

객혈 토혈 허로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신효하다. 오매즙 이즙 시상 백사당 백밀 나복즙160g 생강즙40g 적복령320g유즙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리기른 9번 한다 관동화 자완말각80g을 함께 사기냄비에 담아 고약처럼 되게 졸여서 달걀 노른자크기로 환을 만들어 매번 한 알씩 잠자리에 들기 전에 입에 물고 녹여서 삼킨다.(입문)

加味逍遙散

治痰中見血 牧丹皮 白朮6g 當歸 赤芍藥 桃仁 貝母4g 山梔 黃芩3.2g 桔梗2.8g 靑皮2g 甘草1.2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가미소요산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목단피 백출6g 당귀 적작약 도인 패모4g 산치 황금3.2g 길경2.8g 청피2g 감초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먹는다.(입문)

聖餠子

治喀血 杏仁40粒去皮尖 硏細同黃蠟炒 入靑黛4g 捏作餠子 用時 以乾柿1枚 破開以餠 置其中合定 濕紙包煨 硏爛 米飮調服(正傳)

성병자

객혈을 치료한다. 행인40립거피첨 잘 갈아서 황랍과 함께 볶는다. 청대4g을 넣고 반죽하여 떡을 빚는다. 쓸 때에는 곶감 한 개를 쪼개고 그 속에 넣어서 젖은 종이로 싼 다음 잿불에 묻어 구워서 잘 갈아서 미음에 타서 먹는다.(정전)

山梔地黃湯

治先吐痰 後見血 宜以降痰火爲急 山梔仁4.08g 生地黃 赤芍藥 知母 貝母 瓜婁仁4g 天花粉 牧丹皮 麥門冬2g爲剉 作一貼 水煎服(入門)

산치지황탕

먼저 가래가 나오고 뒤에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데 응당 담화를 내리는 것이 급하다. 산치인4.08g 생지황 적작약 지모 패모 과루인4g 천화분 목단피 맥문동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먹는다.(입문)

淸肺湯

先痰後血 是積熱也 赤茯笭 陳皮 當歸 生地黃 赤芍藥 天門冬 麥門冬 黃芩 梔子 紫莞 阿膠珠 桑白皮2.8g 甘草1.2g爲剉 作一貼 棗2枚 烏梅1箇 水煎服(回春)

청폐탕

먼저 담이 나오고 후에 피가 나오는데 이는 열이 쌓여 있기 때문이다. 적복령 진피 당귀 생지황 적작약 천문동 맥문동 황금 치자 자완 아교주 상백피2.8g 감초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대추 두 알 오매 한 개를 넣고 물에 끓여서 먹는다.(회춘)

河間生地黃散

治鬱熱 衄 吐 喀 唾血 枸杞子 柴胡 黃連 地骨皮 天門冬 白芍藥 黃芩 黃芪 生地黃 熟地黃 甘草2.8g爲剉 作一貼 水煎服(丹心)

하간생지황산

열이 몰려서 생긴 코피 토혈 객혈 타혈을 치료한다. 구기자 시호 황연 지골피 천문동 백작약 황금 황기 생지황 숙지황 감초2.8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단심)

淸火滋陰湯

治嘔吐 咳嗽 唾 喀血 天門冬 麥門冬 生地黃 牧丹皮 赤芍藥 山梔子 黃連 山藥 山茱萸 澤瀉 赤茯笭 甘草2.8g剉作一貼 水煎 入童便服(回春)

청화자음탕

구토 해수 타혈 객혈을 치료한다.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목단피 적작약 산치자 황연 산약 산수유 택사 적복령 감초2.8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아이 오줌에 넣어 먹는다.(회춘)

淸咳湯

해혈을 치료한다. 당귀 백작약 도인 패모초각4g 백출 목단피 황금 치자초흑각3.2g 청피 길경2g 감초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淸喀湯

治喀血 陳皮 半夏 茯笭 知母 貝母 生地4g 桔梗 梔子炒黑各2.8g 杏仁 阿膠珠2g 桑白皮6g 甘草2g 薄桂0.8g 剉作一貼 薑3片 水煎服(回春)

청객탕

객혈을 치료한다. 진피 반하 복령 지모 패모 생지4g 길경 치자초흑각2.8g 행인 아교주2g 상백피6g 감초2g 박계0.8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淸唾湯

治唾血 知母 貝母 桔梗 黃栢鹽水炒褐色 熟地黃 玄蔘 遠志 天門冬 麥門冬4g 乾薑炒黑2g爲剉 作一貼 水煎服(回春)

청타탕

타혈을 치료한다. 지모 패모 길경 황백염수초갈색 숙지황 현삼 원지 천문동 맥문동4g 건강초흑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먹는다.(회춘)

玄霜雪梨膏

治咳嗽 唾喀 吐血 諸勞心動火 勞嗽 久不愈 雪梨60箇去心皮取汁20 酸者不用 生藕汁10生地黃汁10 麥門冬 煎取汁5 生蘿蔔汁5 白茅根汁10爲汁合和重濾 去渣 火上煎煉 入煉蜜1斤 飴糖320g 柿霜320g薑汁半酒盞 火上再熬 如稀糊 卽成膏矣 每服35匙 日3服 不拘時(醫鑑)

玄霜雪梨膏

해수 객혈 타혈 토혈을 치료하는데 지나치게 힘을 써서 화가 동한 것과 허로로 인한 기침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설리60개를 속과 껍질은 버리고 즙을 내어 20종지 신 것은 사용할 수 없다 생우즙10종지 생지황즙10종지 맥문동 전취즙5종지 생나복즙5종지 백모근즙10종지를 합해서 여러 번 거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불 위에서 달여 달인 꿀 한 근을 넣고 이당320g 시상320g 강즙 반 술잔을 넣고 불 위에서 다시 풀처럼 되게 달이면 곧 고약처럼 된다. 매번 3-5 숟가락씩 매일 3번 아무 때난 먹는다.(의감)

恩袍散

治喀血 唾血 吐血 眞生蒲黃 薄荷40g爲末 每12g 以桑白皮湯 調下(綱目)

은포산

객혈 타혈 토혈을 치료한다. 진생포황 박하40g을 가루내어 매번 12g을 상백피탕에 타서 먹는다.(강목)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衄血

鼻通於腦 血上溢於腦 所以從鼻而出 兼以陽明熱鬱 則口鼻俱出也 又曰 血出於肺 宜莎芎散 三黃補血湯 鷄蘇散 陶氏生地芩蓮湯 保命生地黃散 淸衄湯 解鬱湯(入門)

코는 뇌와 통해 있어서 피가 뇌로 올라와서 넘쳐나면 코피가 나온다. 겸해서 양명경에 열이 울체되면 입과 코에서 함께 나온다. 또 왈, 피가 폐에서 나온다고도 한다. 마땅히 사궁산 삼왛보혈탕 계소산 도씨생지금련탕 보명생지황산 청육탕 해울탕을 써야한다.(입문)

<丹溪>曰 衄血以凉血行血爲主 犀角地黃湯 鬱金 片芩 升麻

<단계>, 코피는 피를 서늘하게 하고 잘 돌아가게 하는 것으로써 주로하므로 서각지황탕에 울금을 넣고 편금과 승마를 가하여 쓴다.

<東垣>曰 衄血出於肺 犀角 升麻 梔子 黃芩 芍藥 生芐 紫菀 丹蔘 阿膠之類主之

<동원>, 코피는 폐에서 나온다. 지각 승마 치자 황금 작약 생하 자울 단삼 아교류를 위주로 한다.

<內經>曰 脾移熱於肝則爲驚衄 又曰 春善病 鼽衄 又曰 少陰所至爲衄衊 又曰 陽明厥逆 喘咳身熱 善驚衄吐血

<내경>, 비의 열이 간으로 옮기면 놀라 코피를 흘리게 된다. 또 왈, 봄에는 병에 잘 걸려서 코가 막히고 코피도 잘 난다. 또 왈, 소음이 이르면 코피가 심하게 난다. 또 왈, 양명경이 궐역되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몸에 열이 나고 잘 놀라며 코피가 나기도 하고 토하기도 한다.

衄不止 以麝香散 及諸藥塞鼻 又用止血 諸方法

코피가 그치지 않으면 사향산과 여러 가지 약으로 코를 막은 후에 또 지혈하는 여러 처방을 써야 한다.

傷寒當汗 不汗熱盛迫血必爲衄 宜麻黃升麻湯 麻黃桂枝湯 滑石丸 鼻流涕 久成衄 宜犀角地黃湯(入門)

상한에는 응당 땀를 내야 한다. 땀을 내지 않으면 열이 성해서 혈을 압박하기 때문에 반드시 코피가 나온다. 응당 마황승마탕 마황계지탕 활속환을 쓴다. 콧물이 오랫동안 나오다가 코피가 나오는 데는 서각지황탕이 좋다.(입문)

莎芎散

治衄血 香附子160g 川芎80g 右爲末 每8g 茶淸調下不以時 丹溪心法 芎附飮同

사궁산

코피를 치료한다. 향부자160g 천궁80g을 가루내어 매 8g을 맑은 차에 타서 아무 때나 먹는다. 단계심법의 궁부음과 같다.

香附開鬱行氣 使邪火散於經絡 川芎和血通肝 使血歸於肝臟 血歸火散 其血立止(入門)

향부자는 울체를 열고 기를 잘 돌아가게 하여 사화를 경락에서 흩어지게 한다. 천궁은 피를 고르게 하고 간경을 통하게 해서 피가 간장으로 잘 돌게 한다. 피가 돌아가면 화가 흩어지고 그 피도 곧 멎는다.(입문)

三黃補血湯

治六脈虛芤 而衄 吐血 升麻 白芍藥8g 熟地黃4g 當歸 川芎3g 生地黃 柴胡 黃芪 牧丹皮2g

剉作一貼 水煎服(丹溪)

삼황보혈탕

육혈이 허하고 막혀서 코피를 흘리고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승마 백작약8g 숙지황4g 당귀 천궁3g 생지황 시호 황기 목단피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단계)

鷄蘇散

治衄血不止 乃肺金受相火 所制然也 鷄蘇葉 黃芪 生地黃 阿膠珠 白茅根4g 麥門冬 桔梗 蒲黃貝母 桑白皮 甘草灸各2g 生薑6g剉作一貼 水煎服. 兼以黃丹 吹入鼻(正傳)

계소산

코피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폐금이 상화를 받아서 그런 것이다. 계소엽 황기 생지황 아교주 백모근4g 맥문동 길경 포황패모 상백피 감초구각2g 생강6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 황단을 겸해서 코에 불어넣어야 한다.(정전)

陶氏生地芩蓮湯

治鼻衄 成流不止 失血過多 譫語失神 閉目撮空 不省人事 生地黃 黃芩 黃連 梔子 川芎 赤芍藥 柴胡 桔梗 犀角 甘草4g 大棗4g 水煎 臨服 以藕汁 磨墨汁調服(入門)

도씨생지금련탕

코피가 멎지 않고 계속 흐르는 것과 피를 지나치게 흘려서 헛소리를 하며 정신을 잃고 눈을 감고 헛손질을 하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황금 황련 치자 천궁 적작약 시호 길경 서각 감초4g 대조4g을 물에 달여 먹을 때 연뿌리즙에 먹물을 타서 복용한다.(입문)

淸衄湯

治衄血 當歸 赤芍藥 生地黃 香附子 黃芩 梔子 側柏葉4g 黃連3g 赤茯苓 桔梗2g 甘草1g 藕節5剉作一貼 水煎 入童便 調服(回春)

청뉵탕

코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적작약 생지황 향부자 황금 치자 측백엽4g 황련3g 적복령 길경2g 감초1g 우절5를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로 달여 아이오줌에 넣어 타서 먹는다.(회춘)

解鬱湯

治衄血 柴胡 黃芩 黃連 生地黃 地骨皮 黃芪 熟地黃 白芍藥4g 爲剉 水煎服(入門)

해울탕

코피가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황금 황련 생지황 지골피 황기 숙지황 백작약4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입문)

犀角地黃湯

治衄吐血不止 及上焦瘀血 面黃 大便黑 能消化瘀血 生地黃12g 赤芍藥8g 犀角 牧丹皮4g

剉作一貼 水煎服 回春 加當歸 黃芩 黃連4g 尤佳(入門)

서각지황탕

코피와 피를 토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과 상초에 어혈이 있어 얼굴이 누렇고 대변이 검을 것을 치료하며 능히 어혈을 삭일 수가 있다. 생지황12g 적작약8g 서각 목단피4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 회춘에는 당귀 황금 황련4g을 더하면 더욱 좋다고 했다.(입문)

麻黃升麻湯

治傷寒表未解 熱鬱作衄 俗呼謂紅汗 麻黃 升麻 赤芍藥 黃芩 石膏 赤茯 甘草4g 剉作一貼 薑三片 水煎熱服 微汗(入門)

마황계지탕

상한에 땀을 내지 않아서 코피가 나는 것을 치료하고, 또 감기로 코피가 나고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백작약 황기 감초4g 계지 당귀2g 맥문동 인삼1g 오미자5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동원)

麝香散

治衄血不止 枯白礬 白龍骨12g 麝香0.6g爲細末 每用少許 先以冷水洗淨鼻內 然後吹入鼻中 或以濕紙蘸藥 塞鼻尤妙(得效)

百草霜細末二錢水調服名曰黑神散又吹入鼻中

衄不止 蒲黃炒 或血竭末或油髮灰末或人中白末並吹入鼻中(本草)

사향산

코피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고백반 백용골12g 사향0.6g을 곱게 가루내어 매번 조금씩 쓰는데 먼저 찬물로 코 안을 깨끗이 씻어낸 후에 코 속에 불어넣거나 약을 젖은 종이에 묻혀서 코를 막으면 더욱 효과가 있다.(득효)

백초상을 곱게 가루내어 2전을 물에 타서 먹는데 이름이 흑신산이다. 또 코 속으로 불어넣기도 한다.

코피가 멎지 않는 데는 포황초나 혈갈가루나 기름 묻은 머리카락을 태운 가루를 쓰는데 흰가루를 코 속에 함께 불어넣는다.(본초)

滑石丸

治傷寒不得汗 以致鼻衄 纔見血 急用此止之 滑石 飯丸梧子大 每10丸 微嚼破 新水嚥下 立止(綱目)

활석환

상한에 땀을 내지 못해서 코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피가 잠깐 보일 때 재빨리 이 약을 쓰면 멈춘다. 활석을 밥과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열 알씩 잘 씹어서 깨끗한 물로 넘기면 곧 멎는다.(강목)

止衄法】【지육법

治鼻衄久不止 諸藥無效神效 以大白紙一張或二張 作十數摺冷水浸濕 置頂中 以熱熨斗熨之 至一二重紙乾則血立止(東垣)

코피가 오래도록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온갖 약이 효험이 없을 때 신효하다. 큰 백지 한두 장을 열 남짓으로 접어서물에 적셔 머리 꼭대기에 올려놓고 인두로 뜨겁게 한두 겹의 종이가 마를 때까지 하면 피가 곧 멈춘다.(동원)

治衄百藥不止 用線緊扎手中指中節 如左鼻出血 札右手中指 右鼻出血 札左手中指 如兩鼻出血 左右俱札之 一方用色線(種杏)

백약이 듣지 않는 코피를 치료한다. 노끈으로 가운데손가락 가운데 마디를 단단히 동여매는데 왼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오른손 가운데손가락을 동여매고, 오른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왼쪽 가운데손가락을 동여맨다. 양 코에서 피가 나오면 좌우 모두를 동여맨다. 또 다른 처방에는 색실을 쓴다.(종행)

治衄不止 白芨爲末 冷水調塗 山根上兩眉間也立止 仍以冷水調12g服之尤妙

코피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급을 가루내어 찬물에 개어 산근(양 눈썹 사이다) 위에 붙이면 곧 멎는다. 찬물에 6전을 타서 먹으면 더욱 좋다.

又方大蒜一枚 細硏作餠子 如錢大 左鼻出血 貼左脚心 右鼻出血 貼右脚心 如兩鼻出血 貼兩脚心 血止卽洗去

또 다른 처방은 큰 마늘 한 개를 곱게 갈아서 엽전크기로 떡을 만들어 왼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왼쪽 발바닥가운데 붙이고 오른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오른쪽 발바닥가운데 붙이고 양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양쪽 발바닥가운데 붙이고, 피가 멎으면 즉시 씻어서 없앤다.

洪寶膏 治衄血不止 取藥冷水調塗後頂上 最絶血路 方見癰疽(回春)

홍보고 코피가 멎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을 찬물에 개어서 뒷머리에 붙이면 피가 나오는 길이 아주 잘 막힌다.(처방은 옹저를 보라)(회춘)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失血諸證

失血諸證 妄行於上則吐衄 涸於外則虛勞 忘返於下則便紅 積熱膀胱則癃閉尿血 滲透腸間則爲腸風 陰虛陽搏則爲崩中 濕蒸熱瘀爲滯下 熱極腐化則爲膿血 火極似水則血色紫黑 熱勝於陰則發爲瘡瘍 濕滯於血則發爲痛痒 癮疹皮膚則爲冷痺 蓄之在上 其人喜忘 蓄之在下 其人喜狂(丹心)

피를 흘리는 여러 증상. 상초에서 허투루 돌면 토하거나 코피를 흘린다. 겉에서 쇠하고 마르면 허로가 생기고, 아래로 내려와 허투루 돌게 되면 대변이 벌겋다. 방광에 열이 몰리면 오줌이 잘 나오지 않거나 피오줌이 나온다. 장 사이로 스며들면 장풍이 생기고, 음이 허한데 양이 억누르면 자궁출혈이 생긴다. 습열이 훈증해서 몰리면 이질이 생기며 열이 몹시 심해서 썩게 되면 피고름이 된다. 화가 몹시 심해서 물과 비슷해지면 핏빛이 검붉어진다. 열이 음보다 세어지면 창양이 생기고 습이 피에 머물러 있으면 아프고 가려우며 두드러기가 피부에 생기면 차고 저리다. 상초에 머물러 있으면 그 사람은 잊기를 잘하고 하초에 머물러 있으면 그 사람은 기뻐서 미친다.(단심)

其從肺而上溢于鼻者曰衄血 從胃而上溢于口者曰嘔血吐血 咯血唾血者出于腎也 咳血嗽血者出于肺也 其痰帶血絲出者 或從腎或從肺來也 其出于小便者曰尿血血淋 其出于大便者曰腸風血痔(正傳)

피가 폐를 따라 위로 올라와 코로 넘치는 것을 육혈이라고 하며, 위를 따라 위로 올라와서 입으로 넘쳐흐르는 것을 구혈 토혈이라고 한다. 각혈 타혈은 피가 신에서 나오는 것이고 해혈과 수혈은 피가 폐에서 나오는 것이다. 피가 담에 섞여 나오는 것은 신이나 폐를 따라 나온 것이다.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요혈 혈림이라고 하고, 대변에 섞여 나오는 것을 장풍 혈치라고 한다.(정전)

從汗孔出謂之肌衄 從齒齦出謂之齒衄 從舌出謂之舌衄 從委中出謂之膕血 從九竅皆出謂之九竅出血(入門)

피가 땀구멍으로 나오는 것을 기육이라 하고 잇몸에서 나오는 것을 치육이라 하고 혀에서 나오는 것을 설육이라 하며 주중혈에서 나오는 것을 괵혈이라 하고 아홉 구멍 모두에서 나오는 것을 구규출혈이라고 한다.(입문)

 

辨血色新舊

新血鮮紅 舊血瘀黑 又曰風證色靑 寒證色黯 暑證色紅 濕證色如烟煤屋漏水(入門)

새 피는 선홍색이고 오래된 피는 엉키고 검다. 또 왈, 풍증의 피는 퍼렇고 한증의 피는 검으며 서증의 피는 붉고 습증의 피는 그을음이나 지붕에서 새는 물빛과 같다.(입문)

陽證溢出鮮血 陰證下如豚肝(綱目)

양증일 때는 선홍색의 피가 넘쳐 나오고 음증일 때는 돼지간빛과 같은 피가 나온다.(강목)

初便褐色者重 再便深褐色者愈重 三便黑色者爲尤重 色變者以其火燥也 如羊血在日色中 須臾變褐色 久則漸變而爲黑色 卽此意也(海藏)

처음 나오는 대변이 갈색이면 중한 것이고, 그 다음에 나오는 대변이 더욱 진한 갈색이면 더욱 중한 것이고, 세 번째 나오는 변이 흑색이면 더욱더 중한 것이다. 색이 변하는 것은 화기에 마른 것이다. 양의 피를 잠깐 햇볕에 두면 금방 갈색으로 변하고 오래 되면 점차 변해서 까맣게 되는 이치와 같다.

 

蓄血證

蓄血 卽瘀血積蓄也

축혈이란 곧 어혈이 쌓인 것이다.

傷寒熱病 身黃屎黑 如狂喜忘者 爲蓄血(仲景)

상한열병으로 몸이 누렇고 대변이 까맣고 미친 것 같고 잊기를 잘 하는 것은 축혈 때문이다.(중경)

<海藏>曰 喜忘發狂 身黃屎黑 疾已甚也 但小腹滿 小便不利者輕也

<해장>, 잊기를 잘 하고 발광함며 몸이 누렇고 대변이 검으면 이미 병이 깊은 것이다. 단지 아랫배가 그득하고 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은 병이 가벼운 것이다.

血蓄外證 痰嘔燥渴 昏瞶迷妄 常喜湯水漱口(直指)

축혈이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가래가 나오고 갈증이 나고 귀가 먹고 눈이 멀며 정신이 어떨떨하고 늘 잊어버리고 더운 물에 양치하기를 좋아한다.(직지)

凡病日輕夜重 便是瘀血 又常喜潄水 而不欲下咽(入門)

대개 병은 낮에는 우선했다가 밤에 위중한 것은 곧 어혈이고 또 늘 양치질하기는 좋아하나 목에 넘기려고는 하지 않는다.(입문)

凡蓄血 有上中下之別 以衄 嘔 唾 吐血 爲上部 血結胸中 爲中部 蓄血下焦則爲下部 血蓄 上焦則善忘 宜犀角地黃湯方見衄血 血蓄中焦 胸滿 身黃潄水 不欲嚥 宜桃仁承氣湯方見傷寒 血蓄下焦 則發狂 糞黑 小腹硬痛 宜抵當湯丸 須取盡黑物爲效方見傷寒 生地黃湯 通治三焦蓄血(海藏)

대개 축혈은 상 중 하의 구별이 있다. 육 구 타 토혈을 상부로 삼고, 혈결이 가슴 곳에 있으면 중부로 삼고, 축혈이 하초에 에 있으면 하부로 삼는데, 축혈이 상초에 있으면 잘 잊어버린다. 마땅히 지각지황탕(처방은 육혈을 보라), 축혈이 중초에 있으면 가슴이 그득하며 몸이 누렇고 물로 양치질을 하나 삼키려고는 하지 않으니 마땅히 도인승기탕(처방은 상한을 보라), 축혈이 하초에 있으면 발광하고 대변이 검으며 아랫배가 딱딱하고 아프니 마땅히 저당탕환을 써야 하는데 모름지기 검은 빛이 다 없어질 때까지 써야 효과가 있다.(처방은 상한을 보라) 또 생지황탕은 삼초의 축혈을 두루 치료한다.(해장)

<綱目>曰 瘀血燥結 宜用玉燭散方見胞門 下焦蓄血 桃仁 五靈脂 生地黃 大黃 甘草 利以逐之(直指)

<강목>, 어혈이 말라붙었을 때는 마땅히 옥촉산(처방은 포문을 보라), 하초에 축혈이 있을 때는 도인 오령지 생지황 대황 감초로 설사를 시켜서 내몰아야 한다.(직지)

沒藥 蘇木 水蛭 蝱蟲 五靈脂 留尖桃仁 皆破瘀血(本草)

몰약 소목 수질 맹충 오령지 뾰족한 끝이 있는 복숭아씨 등은 모두 어혈을 푼다.(본초)

生韭汁 善治胸膈間瘀血 甚效(丹心)

생 부추즙으로 가슴에 어혈이 진 것을 잘 치료하면 효과가 좋다.(단심)

 

生地黃湯

治蓄血證脈沈細微 膚冷 臍下滿 或狂 或躁 大便色黑 小便自利 老幼氣弱者尤宜 生地黃1無卽用生乾地黃80g 乾漆炒烟盡20g 生藕汁半升無卽用紫蘇汁1升半 生藍葉一握剉無卽用乾末半升 蝱虫20箇炒 水蛭10箇炒 大黃40 桃仁20g 爲水3升 同熬 至2升放冷 分2服先服 至半日許血未下 再服之 此藥 比抵當湯 丸 甚輕 恐抵當丸 下血不止 故以此湯 主之(海箴)

생지황탕

축혈증으로 맥이 침세하면서 약하고 피부가 차며 배꼽 아래가 그득하거나 미쳐서 날뛰고 대변이 검고 소변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기가 약한 노인네 어린이에게 쓰면 더욱 좋다. 생지황1승 없으면 생건지황80g을 쓰고, 건칠초연진20g 생우즙반승 없으면 자소즙1승반을 쓰고, 생남엽일악좌없으면 건말반승을 쓰고, 맹충20개초 수질10개초 대황40썬 것 도인20g을 물 서 되에 넣고 달여서 두 되가 되면 식혀서 둘로 나누어 2번에 먼저 복용하는데 한나절이 지나도 피가 나오지 않으면 다시 먹어야 한다. 이 약은 저당탕이 저당환에 비하면 몹시 약하다. 저당환을 하혈이 멎지 않을 수가 있기 때문에 이 약으로 주로 치료한다.(해잠)

 

血病吉凶

凡血逆行難治 順行易治 無潮熱者輕 有潮熱者重 潮盛脈大者死 又曰九竅出血 身熱不得臥者 卽死 又曰 凡血證 陽盛則身熱多渴 陰盛則身凉不渴 然血陰也 身凉者易愈 又曰 如心肺破血 若湧泉口鼻 俱出者 不治(入門)

대개 피가 거꾸로 흐르면 치료하기 어렵고 제대로 흐르면 치료하기 쉽다. 조열이 없으면 가볍고 조열이 있으면 중하다. 조열이 성하면서 맥이 크면 죽는다. 또 왈, 아홉 구멍에서 피가 나오고 몸의 열이 있으면서 잠을 자지 못하면 죽는다. 또 왈, 대개 혈증은 양이 성하면 신열로 자주 목이 마르고, 음이 성하면 몸이 차서 목이 마르지 않는데 혈이 음이어서 몸이 차면 쉽게 낫는다. 또 왈, 심폐맥이 터져 피가 입과 코로 샘솟듯이 함께 나오면 치료할 수 없다.(입문)

<靈樞> 曰 淫而脫形 身熱色夭然白 及後下血衃血 衃篤重 是爲逆 又曰 衄而不止 大是爲逆 又曰 咳且溲血脫肉 其脈小勁 是爲逆 又曰 嘔血胸滿引背 脈小而疾 是爲逆 又曰 腹脹便血 其脈大時絶 是爲逆 又曰 咳溲血 形肉脫脈搏 是爲逆

<영추> , 음탕해서 살이 빠지고 몸에 열이 나며 안색이 창백하고 뒤로 핏덩어리가 나오는데 핏덩어리는 병이 중한 것으로 이를 역증이라 한다. 또 왈, 코피가 그치지 않고 맥이 큰 것도 역증이고, 또 왈, 기침이 나고 피오줌이 나오며 맥이 약간 굳은 것도 역증이며, 또 왈, 피를 토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등이 켕기고 맥이 작고 빠른 것도 역증이고, 또 왈, 배가 불러오르고 피똥을 누며 맥이 크나 때로 끊어지는 것도 역증이며, 또 왈, 기침이 나오고 피오줌을 누며 살이 빠지고 맥이 박한 것도 역증이다.

<東垣>曰 諸見血身熱脈大者難治 難治者邪勝也 身凉脈靜者易治 易治者正氣復也 又曰 血溢上行 或唾或嘔或吐 皆凶也 若變而下行 爲惡痢者順也 上行爲逆 其治難 下行爲順 其治易 故<仲景>云 蓄血證 下血者 當自愈 若無病之人 忽然下血利者 其病進也 今病血證 上行而復下行 爲惡利者 其邪欲去 是知吉也

<동원>, 모든 혈증을 볼 때, 신열이 있고 맥이 크면 치료하기 어려운데 어려운 것은 사기가 세기 때문이다. 몸이 차고 맥이 고르면 치료하기가 쉬운데 쉬운 것은 정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또 왈, 피가 넘쳐 위로 솟구쳐 생긴 타혈 구혈 토혈은 모두 흉하다. 만약 변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나쁜 이질이 되면 순증이다. 피가 위로 치솟는 것은 역증이므로 그 치료가 어렵고 피가 아래로 내려오는 것은 순증이므로 그 치료가 쉽다. 그러므로 중경에 이르기를, 축혈증으로 피가 내려오면 마땅히 저절로 낫는다. 병이 없는 이가 갑자기 피똥을 누는 것은 그 병이 진행되어 벌써 혈증이 된 것이다. 위로 치솟았다가 다시 오래로 내려와서 나쁜 이질이 되면 그 사기가 없어지려는 것이므로 이는 길함을 알 수 있다고 했다.

<仲景>曰 吐血 咳逆 上氣 脈數 而有熱 不得臥者死

<중경>, 피를 토하고 기침을 하며 기가 치밀어 오르고 맥이 잦으며 열이 나면서 잠을 자지 못하면 죽는다.

無故忽然瀉下惡血 名曰心絶 爲難治

까닭없이 갑자기 나쁜 피를 누는 것은 심절이라고 하는데 치료가 어렵다.

傷寒太陽證 衄血者 病欲愈 熱結膀胱而 血自下者 亦欲愈 以此觀之 則他病伏熱之人 上

焦瘀熱 而作吐者 亦其病之有瘳也 雖然血旣吐 而自止 則可矣(直指)

상한태양증에 코피가 나면 병이 나으려는 것인데 열이 방광에 몰려서 피가 저절로 내려가는 것 역시 나으려는 것이다. 이로 보건대 다른 병으로 열이 잠복되어 있는 이가 상초에 열이 몰려서 토하는 것도 병이 나으려는 것이다. 비록 그러나 피를 이미 토하다가도 저절로 그치면 좋다.(직지)

 

亡血脫血證

<靈樞>曰 鼻頭色白者 亡血也 又曰 衝脈爲血之海 血海不足 則身少血色 面無精光 又曰 血脫者 色白夭然不澤 其脈空虛

<영추>, 코끝이 희면 망혈증이다. 또 왈, 충맥을 혈해라고 하는데 혈해가 부족하면 몸에 핏기가 없고 얼굴에 윤기가 없어진다. 또 왈, 탈혈증은 살이 하얗고 거칠어지며 윤기가 없고 맥이 몹시 허하다.

<內經>曰 臂多靑脈 曰脫血 又曰 安臥 脈盛 謂之脫血

<東垣>曰 六脈弦細而澁 按之空虛 其色必白 而夭不澤者 脫血也. 通用四物湯方見下 三才丸

<동원>, 육맥이 현세하고 삽한데 눌러 보면 공허하며 그 안색이 하얗고 윤택이 없으면 탈혈증이다. 사물탕(처방은 아래를 보라) 삼재환을 두루 쓴다.

三才丸

補血虛 天門冬 熟地黃 人參各等分 上爲末 蜜丸梧子大 每服百丸 酒飮任下(綱目)

삼재환

혈이 허한 것을 보한다. 천문동 숙지황 인삼각등분해서 가루내어 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백 알씩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강목)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