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氣

<黃帝>問曰 余知 百病生於氣也 怒則氣上 喜則氣緩 悲則氣消 恐則氣下 寒則氣收 炅則氣泄 驚則氣亂 勞則氣耗 思則氣結 九氣不同 何病之生? <岐伯>對曰 怒則氣逆 甚則嘔血 及飱泄 故氣上矣. 喜則氣和 志達 榮衛通利 故氣緩矣 悲則心系急 肺布葉擧而上焦不通 榮衛不散 熱氣在中 故氣消矣 恐則精却 却則上焦閉 閉則氣還 還則下焦脹 故氣不行矣 寒則腠理閉 氣不行 故氣收矣 炅則腠理開 榮衛通 汗大泄 故氣泄矣 驚則心無所椅 神無所歸 慮無所定 故氣亂矣 勞則喘息汗出 內外皆越 故氣耗矣 思則心有所存 神有所歸 正氣留而不行 故氣結矣(內經)

<황제>문왈, 온갖 병이 기에서 생긴다고 알고 있다. 성내면 기가 올라가고 기뻐하면 기가 늘어지고 슬퍼하면 기가 가라앉고 두려워하면 기가 내려가고 추우면 기가 졸아들고 더우면 기 세고 놀라면 기가 어지러워지며 피곤하면 기가 소모되고 생각하면 기가 뭉치게 되는 등 9기가 같지 않다. 그런데 어찌해서 병이 생기는가?

<기백>대왈, 성내면 기가 치밀어 오르는데 심하면 피를 토하고 소화되지 않은 설사를 하기 때문에 기가 올라가는 것이다. 기뻐하면 기가 고르게 되고 뜻이 통하여 영위가 잘 돌아가기 때문에 기가 부드러워진다. 슬퍼하면 심계가 당기고 폐엽이 들떠서 상초가 잘 통하지 않으며 영위가 흩어지면서 열기가 속에 있기 때문에 기가 가라앉게 된다. 두려워하면 정기가 없어지고 정기가 없어지면 상초가 닫히고 상초가 닫히면 기가 되돌아온다. 기가 되돌아오면 하초가 불러오기 때문에 기가 돌아가지 못한다. 추우면 주리가 막히고 기가 돌아가지 않아서 기가 줄어든다. 더우면 주리가 열리고 영위가 통하고 땀이 많이 나서 기가 새게 된다. 놀라면 마음에 의지할 곳이 없어지고 정신이 돌아갈 곳이 없어지며 생각하는 것이 일정치가 않아서 기가 어지러워진다. 피곤하면 숨이 차고 땀이 나서 안팎으로 넘쳐나기 때문에 기가 소모된다. 생각하면 마음 붙일 곳이 있고 정신이 돌아갈 곳이 있고 정기가 머물러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기 뭉친다.(내경)

又有九氣 一曰膈氣 二曰風氣 三曰寒氣 四曰熱氣 五曰憂氣 六曰喜氣 七曰驚氣 八曰怒氣 九曰山嵐瘴氣. 積聚如盃 心腹刺痛 發則欲死 宜神仙九氣湯 正氣天香湯(得效)

또 아홉 가지 기가 있는데, 하나는 격기, 둘은 풍기, 셋은 한기, 넷은 열기, 다섯은 우기, 여섯은 희기, 일곱은 경기, 여덟은 노기, 아홉은 산람장기다. 모이고 쌓여서 술잔 같고 배가 찌르는 듯이 아픈데 발작하면 죽을 것 같다. 마땅히 신선구기탕 정기천향탕을 쓴다.(득효)

九氣治法 高者抑之 下者擧之 寒者熱之 熱者寒之 驚者平之 勞者溫之 結者散之 喜者以恐勝之(心法).

9기요법 오르는 것은 억제하고 내려가는 것은 들어올리며 찬 것은 덥게 하고 더운 것은 차게 하며 놀란 것은 편안하게 하고 노곤한 것은 따뜻하게 하며 뭉친 것은 풀어주고 기뻐하는 것은 두려운 것으로 이겨내게 한다.(심법)

神仙九氣湯治九氣作痛 香附子 片子薑黃 甘草灸 各等分爲末 每服7.5g 塩湯點服(得效)

신선구기탕9기로 인해 생긴 통증을 치료한다. 향부자 편자강황 감초구 각각 같은 분량을 가루내어 매번 2전씩 소금 끓인 물에 타 먹는다.(득효)

正氣天香湯治九氣作痛 治婦人氣痛者 香附子12g 烏藥 陳皮各8g 蘇葉 乾薑各4g 甘草3g 爲剉水煎服 或爲末鹽湯點服二錢亦佳(丹溪).

정기천향탕9기로 인해 생긴 통증을 치료하며, 기 때문에 아픈 부인을 치료한다. 향부자12g 오약 진피 각8g 소엽 건강 각4g 감초3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거나, 가루내어 2전씩 소금 끓인 물에 타서 먹어도 좋다.(단계)

 

中氣

<本事>曰 凡人暴喜傷陽 暴怒傷陰 憂愁怫意 氣多厥逆 便覺涎潮昏塞 牙關緊急 若槪作中風用藥 多致殺人 若有此證 急化蘇合香元灌之醒後 隨證調治.

<본사>, 대개 사람은 갑자기 기뻐하면 양이 상하고 갑자기 성내면 음이 상하며 우수는 발끈하게 되어 흔히 기가 위로 치밀어서 갑자기 목으로 담이 올라와 막히는 것같이 느끼다가 까무러치고 이를 악문다. 이때 중풍으로 알고 약을 쓰면 흔히 사람을 죽일 수 있다. 만약 이런 증상이 있으면 급히 소합향원을 풀어 먹여서 정신이 들게 한 다음에 증상에 따라 치료를 해야 한다.

<得效>曰 中風則脈浮身溫 口多痰涎 中氣則脈沈身凉 口無痰涎 中風而以中氣藥治之 亦無所傷 中氣而中風藥投之禍 不旋踵先用蘇合香元 次用七氣湯加石菖蒲.

<득효>, 중풍이면 맥이 뜨고 몸이 따뜻하며 입에는 담연이 많이 나온다. 중기면 맥이 가라앉고 몸이 차며 입에 담연이 없다. 중풍은 중기에 쓰는 약으로 치료를 해도 상하지 않지만, 중기를 중풍 약으로 치료를 하면 해가 된다. 돌지 않으면 먼저 소합향원을 쓰고 다음에는 칠기탕에 석창포를 더 넣어서 쓴다.

<方氏>曰 中風多不能治 中氣須臾便醒 其故何歟 夫中風中氣一源流也 皆由忿怒所致 人之五志 惟怒爲甚 所以爲病之暴也 盖少壯之人 氣血未虛 眞水未竭 火畏於水 不能上升 所以身凉無痰涎 須臾便醒也 老衰之人 氣血俱虛 眞水已竭 火寡於畏 得以上升 所以身溫有痰涎 多不能治也.

<방씨>, 중풍은 잘 치료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중기는 잠시면 곧 깨어난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대개 중풍과 중기의 원인은 한 가지다. 모두 몹시 성을 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사람의 5지에서 유독 성내는 것이 가장 심하다. 그러므로 병도 갑자기 생긴다. 대개 젊은 사람은 기혈이 허하지 않고 진수가 마르지 않으므로 화기가 물에 눌려 올라갈 수가 없어서 그 때문에 몸이 차져서 담염이 없고 잠깐 사이에 깨어난다. 그러나 노쇠한 사람은 기혈이 모두 허하여 진기가 이가 고갈되었으므로 화기가 눌리는 데가 없이 올라갈 수 있어서 그 때문에 몸은 따뜻하고 담연이 많아서 치료하지 못한다.

<入門>曰 中氣虛者 八味順氣散 實者四七湯.

<입문>, 중기가 허한 사람은 팔미순기산을 쓰고 실한 사람은 사칠탕을 쓴다.

<回春>曰 中氣者因與人相爭 暴怒氣逆而暈倒也. 先用薑湯灌救甦 後用木香順氣散.

<회춘>, 중기는 남과 서로 다투다가 갑자기 성내는 기가 올라가서 까무라치는 것이다. 이때는 먼저 생강탕을 먹여 정신이 들게 한 다음 목향순기산을 쓴다.

<醫鑒>曰 內經曰 無故而瘖脈不至 不治自己 謂氣暴逆也 氣復則已 審如是 雖不服藥亦可.

<의감>, 내경에는 까닭없이 벙어리가 되고 맥이 뛰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않아도 저절로 그치는 것은 기가 갑자기 치솟아 그런 것인데 기가 회복되면 그친다고 했다. 이처럼 비록 약을 먹지 않아도 된다.

八味順氣散治中氣 人蔘 白朮 白茯苓 靑皮 白芷 陳皮 烏藥各3g 甘草2g 爲剉水煎服(得效)

팔미순기산중기를 치료한다. 인삼 백출 백복령 청피 백지 진피 오약 각3g을 감초2g과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득효)

木香順氣散治中氣 烏藥 靑皮 香附子 陳皮 厚朴 半夏 枳殼各4g唐木香 砂仁各3g桂皮 乾薑 甘草各2g 生薑4g 爲剉 水煎服(回春)

목향순기산중기를 치료한다. 오약 청피 향부자 진피 후박 半夏 지각 각4g 당목향 사인 각3g 계피 건강 감초 각2g 생강4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脈法

<仲景>曰 脈浮而汗出如珠者 衛氣衰也. <>曰 寸口脈 微而澁 微者 衛氣衰 澁者 榮氣不足. <脈經>曰 寸口脈 瞥瞥如羹上肌者 陽氣微縈 縈如蜘蛛絲者 陰氣衰也. <>曰 代者 氣衰 細者 氣少 浮而絶者 氣欲絶. <>曰 趺陽脈 浮而澁 澁則衛氣虛 虛則短氣. <脈訣>曰 下手脈沈 便知是氣沈極則伏濇弱難治 其或沈滑 氣兼痰飮. <>曰 沈弦細動 皆氣痛證 心痛在寸 腹痛在關 下部在尺脈象顯然 <仲景>曰 趺陽脈 微而緊 緊則爲寒 微則爲虛 微緊相搏則爲短氣.

<중경>, 맥이 뜨면서 구슬 같은 땀이 흐르는 것은 위기가 쇠한 것이다. <>, 촌구맥은 미할 때와 삽할 때가 있는데, 삽한 것은 위기가 쇠한 것이고, 삽한 것은 영기가 부족한 것이다. <맥경>, 촌구맥이 벌벌 떨어서 고기국 위의 고기 같은 것은 양기가 작게 얽힌 것이고 얽힌 것이 거미줄 같은 것은 음기가 쇠한 것이다. <>, 대맥은 기가 쇠한 것이며, 세맥은 기가 적은 것이고 뜨면서 끊어지는 것은 기가 끊어지려는 것이다. <>, 부양맥이 부한 것과 삽한 것이 있는데, 삽하면 위기가 허하고 허하면 숨결이 가쁘다. <맥결>, 하수맥이 침하면 곧 이는 기가 침한 것을 알아야 하고 심하면 복색이 약해져서 치료하기가 어렵다. 그 맥이 침활하면 기가 담음을 겸한 것이다. <>, 침현하여 가늘게 움직이면 모두 기가 아픈 증상이며 심통은 마디에 나타나고 복통은 관맥 부위에 나타난다. 아랫도리는 척맥에 나타나고 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부양맥은 미와 긴이 있는데 긴하면 한증이고 미하면 허증이며 미맥과 긴맥이 서로 어울리면 숨이 차게 된다.

 

氣爲諸病

<丹溪>曰 周流乎一身 以爲生者 氣也 苟內無所傷 外無所感 何氣病之有哉. 今者 冷氣 滯氣 逆氣 上氣 皆是肺受火邪 氣得炎上之化 有升無降 熏蒸淸道 甚而轉成劇病. <局方>例用辛香燥熱之劑 是以火制火也.

<단계>, 온 몸을 돌아 흘러, 살게 하는 것이 기다. 진실로 안으로 상한 것이 없고 밖으로 느끼는 바가 없으면 어찌 기병이 있겠는가? 오늘날의 냉기 체기 역기 상기라는 것들은 모두 이 폐가 화사를 받아서 기가 타오르면서 바뀌어 얻은 것들이다. 올라가기만 하고 내려오지 않거나 요도가 훈증되어 심하면 병이 심하게 되는 수가 있다. 국방에는 보통 맵고 향기롭고 조열한 약을 쓰는데 이는 불로써 불을 끄자는 것이다라 했다.

<張子和>曰 諸病 皆生於氣 諸痛 皆因於氣.

<장자화>, 모든 병은 다 기에서 생기고 모든 통증은 다 기로 말미암아서다.

<回春>曰 風傷氣者 爲疼痛 寒傷氣者 爲戰慄 暑傷氣者 爲熱悶 濕傷氣者 爲腫滿 燥傷氣者 爲閉結

<회춘>, 풍이 기를 상하면 통증이 되고, 한사가 기를 상하면 전율이 되고, 더위가 기를 상하면 열이 나고 답답하고, 습이 기를 상하면 종만이 되고 조한 것이 기를 상하면 폐결이 된다.

<序例>曰 人生氣中如魚在水 水濁則魚瘦 氣昏則人病 邪氣之傷人 最爲深重 經絡旣受 此氣傳入藏府隨 其虛實冷熱結以成病 病又相生 故流變遂廣矣.

<서례>, 사람이 기 안에서 사는 것은 물고기가 물에서 사는 것과 같아서 물이 탁하면 물고기가 여위고 기가 흐리면 사람이 병든다. 사기가 사람을 상하는 것이 가장 심중한 것이다. 경락이 이미 사기를 받으면 이 기가 장부의 골수에 들어가는데 그 허실과 냉열이 맺혀 병이 된다. 병 또한 상생하므로 흐름이 변하고 마침내는 넓어진다.

 

氣逸則滯

<臞仙>曰 人之勞倦 有生於無端 不必持重執輕仡仡終日 惟是閑人多生此病. 盖閑樂之人 不多運動氣力 飽食坐臥 經絡不通 血脈凝滯 使然也 是以貴人貌樂而心勞, 賤人心閑而貌苦 貴人嗜慾不時 或昧於忌犯 飮食珎羞 便乃寢臥 故常須用力但不至疲極 所責榮衛流通 血脈調暢 譬如流水不汚 戶樞不蠹也.

<구선>, 사람에게 나른해지는 병이 까닭 없이 생기는데 꼭 무겁거나 가벼운 것을 가지고 종일 바쁜 사람뿐 아니라, 이는 한가한 사람에게 더 많이 생긴다. 대개 한가하고 편안한 사람은 운동을 많이 하지 않고 배불리 먹고 앉아 있거나 누워 있기 때문에 경락이 불통하고 혈맥이 응체해서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귀인의 모습은 즐거운 듯 하나 마음이 괴롭고, 천인은 마음은 한가하나 모습은 고통스러워 보인다. 귀인은 때도 없이 성생활을 하거나 꺼려야 할 것을 지키지 않는다. 진수성찬을 먹고 곧바로 잠자리에 들기 때문에 늘 피로가 극에 이르지 않을 정도로 힘을 쓰고 영위가 물 흐르듯이 유통하고 혈맥이 잘 조화되게 해야 한다. 흐르는 물이 썩지 않으며 문지방이 좀을 먹지 않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入門>曰 逸則氣滯 亦令氣結輕者 行動卽愈 重者橘皮一物湯

<입문>, 안일하면 기가 막히는데 기가 막혀 몰린 것이 가벼우면 움직이면 낫지만 무거우면 귤피일물탕을 써야 한다.

橘皮一物湯橘皮洗淨一兩 新汲水煎服

귤피일물탕깨끗이 씻은 귤피 한 냥중을 깨끗한 물에 달여 먹는다.

 

七氣

七氣者 喜, 或以爲 寒愁 皆通也(直指).

7기란 기뻐하는 것, 성내는 것, 걱정하는 것, 생각하는 것, 슬퍼하는 것, 놀라는 것, 무서워하는 것인데, 추워하는 것, 열이 나는 것, 원망하는 것, 성내는 것, 기뻐하는 것, 근심하는 것, 걱정하는 것이라고도 하며 모두 통한다.(직지)

<直指>曰 人有七情 病生七氣. 氣結則生痰 痰盛則氣愈結 故調氣必先豁痰 如七氣湯 以半夏主治 而官桂佐之 盖良法也.

<직지>, 사람에게는 7정이 있고 병은 7기에서 생긴다. 기가 맺히면 담이 생기고 담이 성하면 기가 더욱 맺힌다. 그러므로 기를 조절하려면 반드시 먼저 담을 삭혀야 한다. 칠기탕처럼 반하를 주약으로 하고 관계를 보조약으로 하면 좋은 치료법이다.

<>曰 七氣相干 痰涎凝結 如絮如膜 甚如梅核 窒碍於咽喉之間 咯不出嚥不下 或中滿艱食 或上氣喘急 曰氣隔 曰氣滯 曰氣秘 曰氣中 以至五積六聚 疝癖 癥瘕 心腹塊痛 發則欲絶 殆無往而不至矣 宜服七氣湯 四七湯 分心氣飮 香橘湯.

<>, 7기가 서로 간섭을 해서 담연이 뭉쳐서 솜 같기도 하고 막 같기도 하며 심하면 매화씨 같기도 하다. 이것이 목구멍을 막아서 토하려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으며 혹 속이 가득차서 음식을 먹기 어렵거나 기가 올라와서 숨이 차게 된다. 이런 증상을 기격 기체 기비 기중이라 한다. 심하면 오적 육취 산증 벽증 징가가 되어 명치와 배에 덩어리가 생겨 아프다. 발작하면 숨이 끊어지는 것 같고 가지 않는 곳이 없고 이르지 않는 곳이 없어 위태롭다.

七氣湯治七情鬱結 心腹絞痛 半夏製12g 人蔘 肉桂 甘草灸各七分右剉 生薑三片 水煎服(局方)

칠기탕7기가 울결되어 명치와 배가 비트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법제한 반하 12g 덖은 인삼 육계 감초 각 2.8g 생강 6g을 물에 끓여 먹는다.(국방)

四七湯治七氣凝結 狀如破絮 或如梅核 窒碍咽喉 咯不出嚥不下 或胸膈痞滿 痰涎壅盛

半夏製8g 赤茯苓7g 厚朴製5g 蘇葉4g 右剉 生薑七片 大棗6g 煎服(局方).

사칠탕7기가 엉켜서 생김새가 마치 솜 같거나 매화씨 같은 것이 목구멍에 막혀 있으면서 토해도 나오지 않고 삼기려 해도 내려가지 않으며 가슴이 더부룩하고 그득하며 가래가 성한 것을 치료한다. 반하제8g 적복령7g 후박제5g 소엽4g 생강12g 대조6g을 달여 먹는다.(국방)

分心氣飮治七情痞滯 通利大小便淸而疎快 蘇葉6g 甘草灸5g 半夏製 枳殼 靑皮 陳皮 大腹皮 桑白皮 各4g 唐木香 赤茯苓 檳榔 蓬朮 麥門冬 桔梗各3g 桂皮 香附子 藿香 各2g 燈心6g 右剉 生薑三片 大棗二枚 登心十莖 水煎服(直指)

분심기음7정이 몰리고 막힌 것을 치료한다. 대소변을 통리시켜서 맑게 하여 시원하게 나가게 한다. 소엽6g 감초구5g 반하제 지각 청피 진피 대복피 상백피 각4g 당목향 적복령 빈랑 봉출 맥문동 길경 각3g 계피 향부곽향각2g 등심6g 생강6g 대조4g 등심십경을 끓여 먹는다.(직지)

香橘湯治七情所傷 中脘腹脇脹滿 香附子米炒 半夏製 陳皮各6g 甘草灸2g 生薑12g 大棗6g 水煎服(直指).

향귤탕7정에 상해서 중완이나 옆구리가 불러오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미초 반하제 진피 각6g 감초구2g를 썰어서 생강 다섯 조각과 대추 두 알을 넣고 끓여 먹는다.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榮衛異行

<綱目>曰 榮氣之行 自太陰始 至足厥陰終 一周於身也. 詳其一周於身 外至身體四肢 內至五臟六腑無不周遍 故其五十周 無晝夜陰陽之殊. 衛氣之行則不然 晝但周陽於身體四肢之外 不入五臟六腑之內 夜但周陰於五臟六腑之內 不出於身體四肢之外 故必五十周 至平旦 方與榮大會於肺手太陰也.

<강목>, 영기는 태음에서 시작해서 족궐음에서 마치는 것으로 몸을 한 번 돈다. 그 몸을 도는 것을 상세히 보면, 겉으로는 신체사지에 이르고, 안으로는 5장육부에 두루 이르지 않는 곳이 없다. 그러므로 그것이 50번을 도는데 밤낮도 음양의 차이도 없다. 그러나 위기가 돌아가는 것은 그렇지 않다. 낮에는 다만 신체사지의 밖으로 양을 돌며 오장육부의 안으로는 들어가지 않고, 밤에는 단지 오장육부로 음의 주위를 돌며 신체사지의 밖으로는 나오지 않는다. 그러므로 반드시 50번을 돌아서 아침에 이르러서야 영기와 더불어 폐와 수태음에서 만난다.

 

生氣之原

<難經䟽>曰 十二經脈者 皆係於生氣之原 所謂生氣之原者 謂腎間動氣也 此五臟六腑之本 十二經脈之根 呼吸之門 三焦之原 <一名> 守邪之神 故氣者 人之根本也.

<난경소>, 12경맥은 모두 기가 생기는 근원과 연계되어 있다. 소위 기가 생기는 근원이라는 것은 신장 사이에 있는 동기를 말한다. 이는 오장육부의 근본이며 12경맥의 뿌리고 호흡의 문이며 삼초의 근본이다. 일명 사를 지키는 신이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기는 사람의 근본인 것이다.

<>曰 氣海丹田 實爲生氣之原 氣海一穴 在臍下一寸半 丹田一穴 <一名>關元 在臍下三寸.

<>, 기해와 단전은 실로 생기의 근원이 된다. 기해혈은 배꼽 아래 한 치 반에 있고 단전혈은 일명 관원이라고 하며 배꼽 아래 세 치에 있다.

 

氣爲呼吸之根

<正理>曰 人受生之初 在胞胎之內 隨母呼吸及乎生 下剪去臍帶 則一點眞靈之氣聚于臍下

凡人唯氣最先 莫先於呼吸 眼耳鼻舌意是謂六慾 皆由是氣 非是氣 則聲色香味觸法 都不知覺 氣之呼接于天根 氣之吸接于地根 氣之在人身 一日周行八百一十丈.

<정리>, 사람이 처음 생명을 받을 때는 포태 안에 있으면서 어머니와 호흡을 같이 하며 태어나서 탯줄을 자르고 나면 한 점 진령이 배꼽 아래에 모이게 된다. 사람에게 있어서 오직 기가 최우선으로 호흡보다 먼저인 것은 없다. 눈 귀 코 혀 의식(이것을 6욕이라 이른다)이 모두 이 기로 인한 것이며, 이 기가 아니면 빛깔 소리 냄새 맛 촉감 예법을 모두 알지 못하게 된다. 숨을 내쉴 때에는 천근과 맞닿고 숨을 들이마실 때에는 지근과 맞닿는 것이다. 사람의 몸에 있어서 기는 하루에 810장을 돌고 있다.

<>曰一闔一闢 謂之變 往來不窮 謂之通

<>, 한 번 닫히고 한 번 열리는 것을 변이라 하며, 끊임없이 오가는 것을 통이라 한다.

<程伊川>曰 涵養之道出入之息者 閤闢之機而已

<정이천>, 수양하는 방법에서, 숨을 내쉬고 들이쉬는 것은 열고 닫고 하는 작용일 뿐이다.

<>曰 閤闢往來 見之鼻息

<>, 열리고 닫히고 오고 가는 것은 코로 숨쉬는 것에서 볼 수 있다.

<張橫渠>曰 人之有息 盖强柔相摩 乾坤閤闢之象也.

<장횡거>, 사람이 숨을 쉬는 것은 대개 강한 것과 부드러운 것이 서로 부딪치는 것과, 건곤이의 합벽을 상징하는 것이다.

<朱紫陽調息箴>曰 氤氳開闔 其妙無窮 誰其尸之不宰之功

<주자양조식잠>, 기운이 왕성하고 열렸다 닫혔다 하는 것은 그 묘리가 무궁하니 누가 그것을 무시하겠는가, 저절로 되는 것이다.

<參同契>曰 二用無爻位 周流行六虛 六虛卽卦之六劃也 以喩一呼一吸 往來上下 久之則神凝息定 所以成變化也 呼則氣出陽之闢也 吸則氣入陰之闔也. 盖人身之陰陽 與天地陰陽相似 若能御呼吸於上下 使之周流不息 則闔闢往來之妙 盡在吾身中. <元和子>曰 人身大抵同天地是也.

<삼동계>, 두 효는 정해진 방위가 없이 6허로 두루 돌아간다. 6허는 곧 6획이니 한 번 내쉬고 한 번 들이마시고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오래 되면 신이 맺히고 숨이 안정되어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숨을 내쉬면 기가 나오는데 양이 열리는 것이고, 들이마시면 기가 들어오는데 음이 닫히는 것이다. 대개 사람의 음양은 천지음양과 유사해서 만약 상하로 호흡을 조절해서 쉬지 않고 돌릴 수 있다면 천지의 합벽왕래의 묘가 내 몸에 있어서 다함이 없을 것이다. <원화자>, 사람의 몸은 대저 천지와 같다는 것이 이것이다.

<莊周>曰 眞人之息 息之以踵 衆人之息 息之以喉 盖氣在下焦其息遠 氣在上焦其息促 義亦類此.

<장주>, 진인의 숨은 발꿈치까지 내려가게 하고, 보통사람의 숨은 목구멍에서 쉰다. 대개 기가 하초에 있으면 그 숨은 멀고, 기가 상초에 있으면 그 숨이 촉급하다는 뜻도 역시 이와 같은 부류이다.

 

胎息法

<眞詮>曰 人在胎中 不以口鼻呼吸 惟臍帶繫于母之任脈 任脈通于肺 肺通于鼻 故母呼亦呼 母吸亦吸 其氣于臍上往來 天台謂識神托生之始 與精血合 根在于臍 是以人生時 惟臍相連 初學調息 須想其氣出從臍 出入從臍滅 調得極細 然後不用口鼻 但以臍呼吸 如在胞胎中 故曰 胎息 初閉氣一口 以臍呼吸數之至81120 乃以口吐氣出之 當令極細 以鴻毛着于口鼻之上 吐氣而鴻毛不動爲度 漸習漸增數之 久可至千 則老者更少 日還一日矣.

葛仙翁每盛暑輒 入深淵之底 十日許乃出 以其能閉氣 胎息耳 但知閉氣不知 胎息無益也.

<진전>, 사람은 태중에 있을 때는 입과 코로 호흡을 하지 않고 오직 탯줄을 통해서 어머니의 임맥에 매달려 숨을 쉰다. 임맥은 폐와 통해 있으며 폐는 코와 통해 있기 때문에 어머니가 내쉬면 태아도 내쉬고 어머니가 들이마시면 태아도 들이마신다. 이 기가 배꼽 위에서 오간다. 천태가 식신과 탁생이 시작될 때 정혈과 합하면 그 근본이 배꼽에 있다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태어날 때는 오직 탯줄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처음으로 조식을 배우려면 모름지기 그 기가 배꼽으로부터 나오며 배꼽에서 들어가서 사라진다고 생각해서 조식을 극히 적게 하다가 그런 다음에는 입과 코를 사용하지 않고 다만 배꼽으로 호흡하되 태중에 있을 때처럼 하기 때문에 태식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한 번 들이마신 다음 숨을 쉬지 않고 배꼽으로 호흡하되 수를 세어서 81에 이르거나 120에 이르렀을 때 곧 입으로 내쉬어 공기가 나가게 하되 당연히 몹시 적게 하여 기러기 털을 입과 코 위에 올려놓아도 토하는 공기가 기러기 털을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한다. 점차 연습하여 점차 수를 늘리고 오래되어 천에 이르게 되면 늙은이가 다시 젊어지며 하루가 지나면 그 하루만큼 젊어진다.

갈선홍이 매번 혹심한 더위에 갑자기 깊은 연못 바닥에 들어갔다가 열흘쯤 되어 나오곤 하였는데 그는 숨쉬는 것을 참고 태식을 했을 뿐이다. 다만 숨을 참을 줄만 알고 태식할 줄을 모르면 아무 소용이 없다.

<養性>曰 胎息者 如嬰兒在母胎中氣息 自在上至氣關 下至氣海 不假口鼻之氣 故能閉氣不息 能入深泉 旬日不出也.

<양성>, 태식은 영아가 태속에 있을 때 숨을 쉬는 것처럼 저절로 위로는 기관에까지 이르게 하고 아래로는 기해에까지 이르게 하며 입과 코로 숨을 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숨을 쉬지 않고도 능히 깊은 샘에 들어가서 열흘씩이나 나오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曰 內觀之要 靜神定心 亂想不起 邪妄不侵 氣歸臍爲息 神入氣爲胎 胎息相合混而爲一 名曰太乙.

<>, 내관하는 요령은 정신과 마음을 안정하고 잡념이 일지 않게 하며 사악하고 망녕된 생각이 들지 않게 하여 기가 배꼽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을 식이라 하고, 신이 기에 들어가는 것을 태라 한다. 태와 식이 서로 혼합하여 하나가 되는 것을 태을이라 한다.

 

調氣訣

<彭祖>曰 和神導氣之道 當得密室閉戶 安床煖席枕高二寸半 正身偃臥瞑目 閉氣於胸膈中 以鴻毛着鼻上 而不動 經三百息 耳無所聞 目無所見 心無所思 如此則寒暑不能侵 蜂蠆不能毒 壽蔘百六拾歲 此隣於眞人也. (: 전갈)

<팽조>, 신을 화평하게 하고 기를 인도하는 방법은 응당 밀실에 문을 닫고 누워서 침상을 편안하고 따뜻하게 하고 베개 높이를 두 치 반으로 하고 몸을 바로 하고 편안히 누워 숨을 들이쉬고 멈추는데 기러기 털을 코 위에 붙이고 움직이지 않게 숨을 300번 쉬고 귀로는 아무것도 듣지 말고 눈으로는 아무것도 보지 말며 마음으로는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다. 이같이 하면 추위도 더위도 침범하지 못하며 벌이나 전갈도 독이 되지 못해서 360살을 살며 진인에 가까워진다.

<養性>曰 人身虛無 但有遊氣 氣息得理 卽百病不生 故善攝養者 須知調氣方焉 調氣之法 夜半後日中前 氣生得調 日中後夜半前 氣死不得調 調氣之時 則仰臥床 鋪厚軟枕高下 共身平舒 手展脚兩手握固 去身四五寸 兩脚相去四五寸 數數叩齒飮玉漿 引氣從鼻入腹足則停止 有力更取久住氣悶 從口細細吐出盡遠 以鼻細細引入出氣一准前法 閉口以心中數數 令耳不聞 能至千則去仙不遠矣 若天陰風雨 大寒暑勿取氣但閉之

<양성>, 사람의 몸은 아무 것도 없고 다만 돌아다니는 기가 있을 뿐이다. 숨쉬는 기가 잘 조절되면 온갖 병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섭양을 잘 하는 사람은 모름지기 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기를 조절하는 법은 이렇다. 밤후반과 오전은 기가 생기므로 조절할 수 있으나 오후와 밤전반은 기가 죽으므로 조절할 수가 없다. 기를 조절할 때는 하늘을 보고 누워서 포단의 두께와 베개의 고하를 함께 평평하게 펴고 팔다리는 쭉 펴고 두 손은 꽉 쥐고 몸에서 4-5치 떨어지게 놓고 양 다리는 서로 4-5치 떨어지게 벌리고 자주 이를 마주치고 입에서 나오는 침을 삼킨다. 코로 공기를 끌어들이어 배와 발에 들어가면 그치고 힘이 있으면 다시 취해서 오랫동안 머물다가 숨이 답답해지면 입으로 천천히 끝까지 토해내고서는 코로 천천히 앞의 방법에 따라 숨쉬기를 다시 해서 입을 다물고 마음속으로 수를 세되 귀에는 들리지 않게 하고 천에 이르면 머지 않아 신선이 된다. 만약 날씨가 음침하고 비바람이 불고 몹시 차거나 더우면 공기를 마시지 말고 단지 숨만 참는다.

<>曰 凡吐者出故氣 亦名死氣 納者取新氣 亦名生氣 故<老子>云 玄牝之門鼻曰牝門口曰牝戶 天地之根 綿綿若存 用之不謹 言口鼻 天地之間 可以出納 陰陽死生之氣也

<>, 토하는 것은 공기를 내보내는 것이므로 역시 사기라 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새로운 공기를 취하는 것이므로 역시 생기라고 한다. 그러므로 노자는 현빈의 문(코를 빈문이라고 하고 입을 빈호라 한다)은 천지의 근본이어서 면면히 존재하는 것 같으면서도 써도 써도 삼가지 않는다고 했다. 말하자면 입과 코로써 천지간의 음양사생의 기를 들이고 낼 수 있는 것을 말한 것이다.

<正理>曰 守氣之妙 在乎全精 尤當防其睡眠 夫人遇行走 則氣急而嗄甚 睡則氣麤而齁 惟坐靜 則氣平而緩. (: 목잠길) (: 성글疎也) (: 코골)

<정리>, 기를 간직하는 묘리는 정을 온전히 하는 데 있고 더욱이나 응당 수면을 막는 것이다. 무릇 사람이 달리게 되면 숨이 가쁘고 목이 잠기며 잠들면 숨결이 가빠지면서 코를 곤다. 오직 고요히 앉아 있어야 숨이 고르고 부드러워진다.

<醫鑑>曰 人自十六歲 精氣漸減 不但男女之慾 足以損敗一 與事應則視聽言動 皆耗散精氣之原 故釋氏面壁 仙家坐關 皆築基煉已苦行 以防耗此神氣 便是長生之術.

<의감>, 사람은 16살부터 정기가 점차 줄어드는데, 남녀간의 정욕이 지나친 데서 정기가 줄어들 뿐 아니라 한결같이 일에 응할 때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것 모두가 정기의 근원이 흩어지는 까닭에 석씨의 면벽과 선가의 좌관이 모두 몸을 단련하고 고행을 함으로써 기초를 쌓아서 이 신기의 소모를 방지하는 것이니 이것이 곧 장생의 술법이다.

 

肺主氣

<內經>曰 肺主氣 <>(五藏生成篇 第十)曰 諸氣者 皆屬於肺 <>曰 肺有六葉兩耳 葉中有二十四孔 行列分布 陰陽淸濁之氣.

<내경>, 폐는 기를 주관한다. <>, 모든 기는 다 폐에 속해 있다. <>, 폐는 6엽과 두 귀로 되어 있으며 엽에는 24공이 줄을 지어 있어 음기 양기 청기 탁기가 나누어 분포되어 있다.

<>曰 肺藏氣 氣有餘 則喘咳上氣 不足 則息利少氣

<>, 폐는 기를 갈무리하는데 기에 남음이 있으면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부족하면 숨을 쉴 수 있으나 기운이 적다.

<靈樞>曰 顫中爲氣之海顫中者肺室也 有餘則胸面俱赤 不足則少氣力不多言

<영추>, 젖가슴이 기의 바다가 되는데(단중은 폐의 방이다) 기가 지나치게 많으면 가슴과 얼굴이 붉고 부족하면 기력이 없어 말을 많이 하지 못한다.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氣爲精神之根蔕 기는 정과 신의 근본이다.

東垣曰 氣者 神之祖 精乃氣之子 精神者 氣之根蔕也. 茅眞君曰 氣是添年藥 心爲使氣神 若知行氣主 便是得仙人(養性).

동원 왈, 기는 시의 조상이고 정은 기의 아들이다. 정과 신은 기의 근본이다. 모진군 왈, 기는 오래 살게 하는 약이고 심은 기의 신을 주관한다. 만약 기가 주가 되어 행해지는 것을 안다면 이는 곧 신선이 될 것이다.(양성)

 

氣生於穀

<靈樞>曰 人受氣於穀 穀入於胃 以傳與肺 五臟六腑 皆以受氣 其淸者爲榮 濁者爲衛 榮在脈中 衛在脈外 榮周不休五十度而復大會 陰陽相貫如環無端

<영추>, 사람은 곡식에서 기를 받아 폐에 전하며 오장육부는 모두 이 기를 받는다. 그 맑은 것은 영이 되고 탁한 것은 위가 되며 영은 맥 안에 있고 위는 맥 밖에 있다. 영은 쉬지 않고 50번 돌아 다시 만난다. 음양이 서로 관통하여 고리처럼 끊어짐이 없다.

<>曰 上焦開發 宣五穀味 熏膚充身澤毛 若霧露之漑 是謂氣.

<>, 상초가 작용하여 오곡의 맛을 고루 퍼지게 하여 피부를 덥게 하고 몸을 충실하게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과 이슬이 축여주는 것과 같다. 이를 기라고 한다.

<正理>曰 日啖飮食之精熟者益氣 此氣生於穀 故從氣從米 人身之中 全具天地陰陽造化之氣 得謹而用之 人年二十而氣壯 節慾少勞 則氣壯而緩 多慾勞倦 則氣少而端 氣少則身弱 身弱則病生 病生則命危矣.

<정리>, 매일 먹는 음식의 정이 익어서 기를 도와준다. 이 기는 곡식에 생기는 까닭에 기를 따르고 미를 따른 것이다. 사람의 몸 안에는 천진음양의 조화의 기가 온전히 갖추어져 있는데, 응당 삼가서 써야 한다. 사람이 나이가 20이 되면 기운이 왕성해지는데 욕망을 억제하고 피로를 적게 하면 기운이 왕성하면서도 숨이 고르게 되지만 욕망에 빠지고 권태롭게 하면 기운이 적어지고 끊어진다. 기가 적어지면 몸은 약해지고 몸이 약해지면 병이 생기고 병이 생기면 생명이 위험하게 된다.

 

氣爲衛 衛於外

<靈樞> 曰 衛氣者 所以溫分肉 而充皮膚 肥腠理 而司開闔 故衛氣溫 則形分足矣

<영추> , 위기는 분육을 따뜻하게 하므로 피부가 충실해지고 주리가 살지게 하며 개폐를 맡았기 때문에 위기가 따뜻하면 몸이 충족해진다.

<內經>曰 衛者 水穀之悍氣也 其氣慓疾活利 不能入於脈也 故循皮膚之中 分肉之間 熏於肓膜 散於胸腹

<내경> , 위란 수곡의 날랜 기다. 그 기가 날래고 미끄러워서 혈맥에 들어가지 못하므로 살갗 속과 분육 사이를 돌면서 황막을 훈증하고 가슴과 배로 흩어진다.

<>曰 陽氣者 一日而主外 平旦人氣生 日中而陽氣隆 日西而陽氣虛 氣門乃閉 是故暮而收去 無擾筋骨無見霧露 反此三時形乃困薄

<>, 양기는 온 종일 몸의 밖을주관한다. 아침에는 사람의 기가 생기고 낮에는 양기가 왕성하고 저녁에는 양기가 허해져서 기문이 닫히게 된다. 그러므로 저녁에는 거두어들이고 근골을 어지럽히지 말며 우로를 맞지 말아야 한다. 이 세 가지에 반하면 몸이 곧 피곤하고 약해진다.

<>曰 陽氣若天與日 失其所則折壽而不彰 故天運當以日光明 是故陽因而上衛外者也 <>曰 陽主動 凡人之知覺運動 耳目視聽言嗅 皆陽氣熏膚充身澤毛 若霧露之漑 而充之耳 若陽氣一失其所 則散解不行而熏充澤漑之道澁 所以九竅閉塞于內 肌肉壅滯于外 而知覺運動視聽言嗅之靈 皆失也. 人之陽氣 猶天地日光 人失陽氣 則壽命易折 猶天失光明 則萬物無以發生也.

<>, 양기란 하늘과 해와 같아서 그 자리를 잃으면 요절하고 빛나지 못한다. 그러므로 하늘이 돌아가야 일광이 밝은 것처럼 양으로 인해 위로 올라가 밖을 호위하는 것이다. 석 왈, 양은 동을 주관한다. 사람이 지각하는 것, 움직이는 것, 보고듣는 것, 말하고 냄새 맡는 것 모두 양기가 살갗을 훈증하고 몸을 충실케 하며 널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우로가 축여서 채워주는 것과 같은 것이다. 만약 양기가 그 소임을 잊어버리면 흩어져 풀려서 돌지 못하기 때문에 훈증하고 충실하게 하는 작용이 막혀 안으로는 9규가 막히게 되고 밖으로는 기육이 막히게 되어 지각하는 것, 운동하는 것, 보고듣는 것, 말하는 것, 냄새맡는 것 등의 기능을 모두 잃게 된다. 사람의 양기는 천지의 일광과 같아서 사람이 양기를 잃으면 수명이 쉽게 짧아지는 것이 마치 하늘에 해가 없으면 만물이 생장할 수 없는 것과 같다.

<入門>曰 人身之氣流行 每子時 自左脚心涌泉穴起陽 循左足腹脇手 而上至頭頂顖門 午位而止 午時 自頂門循右手脇腹足而下至右脚心而止 是坎离 爲陰陽消息也.

<입문>, 사람 몸의 기는 돌아가는데, 매일 자시에 왼쪽 발바닥 가운데 용천혈에서 양기가 일어나 왼쪽 다리와 배 옆구리와 팔을 돌아서 정수리와 숨구멍까지 올라가고 오의 위치레서 멎었다가 오시에 숨구멍으로부터 오른쪽 옆구리, , 다리를 지나 오른쪽 발바닥 가운데 이르러 멎는다. 이것은 감리와 음양의 소식이 되는 것이다.

 

衛氣行度

○『靈樞曰 衛氣之行 一日一夜 50周於身 晝日行於陽25周 夜行於陰25周 是故平旦陰盡 陽氣出於目 目張則氣上行於頭 循項下足太陽循背下 至小指之端 其散者 別於目銳眥下 手太陽下 至手小指之間外側 其散者 別於目銳眥下 足少陽注 小指次指之間 以上循手少陽之分側 下至小指之間 其別者 以上至耳前 注足陽明 以下行至跗上入五指之間 其散者 從耳下 下手陽明 入大指之間 入掌中 其至於足也 入足心出內踝下行陰分復合於目 故爲一周 二十五周於身 陽盡於陰 陰受氣矣 其始入於陰 常從足少陰注於腎 腎注於心 心注於肺 肺注於肝 肝注於脾 脾復注於腎 亦如陽行之二十五周而復合於目矣

○『영추, 위기의 운행은 일주야에 몸을 50번 돈다. 낮에는 25회를 양으로 돌고, 밤에는 25회를 음으로 돈다. 그러므로 아침에 음기가 다하면 양기가 눈으로 나오니 눈을 뜨면 기가 머리 위로 올라가서 정수리를 돌아 등을 거쳐 족태양으로 내려가 소지의 끝에 이른다. 거기서 흩어진 기운이 별도로 눈초리로부터 수태양을 거쳐서 소지 사이의 밖에까지 이르고, 또 흩어진 한 가닥은 별도로 눈초리를 따라 족소양을 거쳐서 소지와 차지 사이에 이르며 수소양의 분측으리 따라서 소지의 사이에 이른다. 또 별도로 한 가닥은 귀의 앞은 거쳐서 족양명을 돌아 발등을 지나 내려가서 다섯 발가락 사이에 들어간다. 또 흩어진 한 가닥은 귀밑으로부터 수양명으로 내려가 대지의 사이에 들어가고 손바닥으로 들어간다. 발에 도달한 것이 발 한가운데로 들어가서 안쪽으로 나와 음분을 돌아 눈에서 다시 합해지기 때문에 일주가 되니, 25번 몸을 돌면 양은 음에서 사라지고 음이 기를 받는다. 처음 음에 들어갈 때는 항상 족소음을 따라 신에 들어가고 신은 심에 따라들어가고 심은 폐에 따라들어가고 폐는 간에 따라들어가고 간은 비에 따라들어가고 비는 다시 신에 따라들어가게 되니, 역시 양이 가는 것처럼 25주하여 다시 눈에서 합치는 것이다.

<>曰 人經脈上下左右前後28脈 周身162尺 以應28宿 漏水下百刻 以分晝夜 故一萬三千五百息 氣行五十 營於身矣.

<>, 사람의 경맥은 상하좌우전후 28맥인데, 온몸 돈 길이가 162척이고, 28수에 상응하며 누수의 백각으로 1주야을 나누었으므로 135백 번 숨을 쉬고 기는 50번을 돌아서 몸을 영위한다.

<東垣>曰 元氣之來也 徐而和細 細如線 邪氣來也 緊而强 如巨川之水 不可遏也.

<동원>, 원기가 오는 것은 느리고 고르며 실처럼 가늘며, 사기가 오는 것은 빠르고 강한 것이 큰 시내의 물과 같아서 막아내지 못한다.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精滑脫屬虛 <仲景>失精家 小腹弦急 陰頭寒 目眩 髮落 脉極虛芤遲 爲淸穀 亡血失精

男子失精 女人夢交 桂枝龍骨牡蠣湯主之.

정활탈속허 중경왈 , 정을 잃는 이는 아랫배가 몹시 땅기고 음두가 차며 눈이 어지럽고 머리털이 빠진다. 맥이 허하고 더디며 음식을 그대로 내보서 혈정을 망실하고 남자는 정액을 흘리고, 여인은 꿈속에서 교접하는 데 계지용골모려탕을 쓴다.

<靈樞>曰 恐懼而不解則傷精 精傷則骨痠痿厥 精時自下

<영추>, 무서운 일을 겪고 풀지 않으면 정을 상한다. 정을 상하면 뼈가 저리고 시큰해서 정을 수시로 흘린다.

<> 精脫者 耳聾

<>, 정을 흘리면 귀도 먹는다.

<內經>曰 思想無窮 所願不得 意淫於外 入房太甚 宗筋弛縱 發爲筋痿 及爲白淫 夫腎藏天一 以慳爲事 志意內治則精全而澁 若思想外淫 房室太甚 則固有淫泆不守 輒隨溲尿而下 然本於筋痿者 以宗筋弛縱也(謙甫).

<내경>, 생각이 무궁한데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고 음란한 생각을 하며 방사를 심하게 하면 종근이 풀어져 버려서 근위증이 발병하여 백음에까지 미친다. 무릇 신장은 천일을 저장하여 아낌으로 일을 삼아 의지를 안으로 다스리면 정이 온전하고 삽해진다. 만약 음탕한 생각만 하여 방사가 심하면 진실로 음일하여 지키지 못하고 갑자기 수시로 소변을 따라서 흘러 나온다. 그러나 본래 근육이 나약한 이는 종근이 풀어져 버려서다.(겸보).

其不御女漏者 或聞淫事 或見美色 或思想無窮 所願不得 或入房太甚 宗筋弛縱 發爲筋痿 而精自出者謂之 白淫宜乎 滲漏而不止也 宜加減珍珠粉丸方見小便.

교접하지 않고도 정이 흐르는 것 곧 음사를 듣거나 미색을 보거나 생각이 무궁하여 원하는 것을 이루지 못하거나 방사가 심하면 종근이 풀어져 버리고 근육이 나약해져서 정이 저절로 흐는 것을 일러 백음이라 하는데 정이 끊임없이 흘러 그치지 않는 증세다. 가감진주분환(처방은 소변을 보라)을 써야 한다.

<>曰 慾心一動精隨念去 凝滯久則莖中痒痛 常如欲小便然 或從小便而出 或不從便出 而流者謂之遺精 比之夢遺尤甚 八物湯加減 珍珠粉丸方見上.

<>, 욕심이 일단 동하면 정이 생각을 따라가서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 음경 속이 가렵고 아파서 늘 소변이 마려운 것 같거나 소변을 따라 정이 나오거나 소변과 관계없이 흐르는 것을 유정이라 한다. 몽유에 비해서 더 심하다. 팔물탕가감과 진주분환(위를 보라)을 먹는다.

少時慾過 陽脫而遺泄者 宜 金鎖正元丹方見入門 秘眞丹方見上(入門).

젊었을 때 성욕이 지나쳐서 양이 줄어서 유설하는 데는 응당 금쇄정원단(처방은 입문을 보라) 비진단(처방은 위를 보라)을 쓴다.(입문).

精滑 專主濕熱 用黃栢 知母 牡蠣 蛤粉(丹溪).

정활은 오로지 습열처럼 치료하니 황백 지모 모려 합분을 쓴다.(단계).

一人 虛而泄精 脈弦大 服諸藥不效 後用五倍子37.5g 白茯苓75g 爲丸服之良愈 五倍澁脫之功 敏於龍骨蛤粉也(綱目).

어쩐 이가 허해서 정을 흘리면서 맥이 세고 크며 이약저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어서 다음에 오배자37.5g 백복령75g을 환을 지어 먹었더니 잘 나았다. 오배자의 삽탈효과는 용골합분보다 신속하다.(강목)

童男 陽盛情動 於中志有所慕 而不得遂成 夜夢而遺精 愼不可補 淸心乃安 朝服淸心蓮子飮方見消渴 暮服定志丸方見神部(醫鑑).

동남이 양이 성하고 정이 동해서 심중에 사모하는 바가 있어도 이룰 수가 없어서 밤에 꿈속에서 몽정을 하면 보하는 것을 삼가고 청심해야 편안해진다. 아침으로 청신연자음(처방은 소갈을 보라) 저녁으로는 정지환(처방은 신부를 보라)을 먹인다.(의감)

<戴氏>曰 不因夢而自泄者謂之精滑 皆相火所動也.

<대씨>, 꿈을 꾸지 않고도 저절로 흐르는 것을 정활이라 하는데 모두 상화가 움직인 것이다.

精滑脫 巴戟丸 補眞玉露丸 固精丸 芡實丸 鎖陽丹 玉鎖丹 秘元丹 約精元 九龍丹皆可選用

정이 저절로 나오는 데는 파극환 보진옥로환 고정환 검실환 쇄양단 옥쇄단 비원단 약정원 구룡단 중에서 응당 모두 골라서 쓸 수 있다.

 

巴戟丸治面色白而不澤 悲愁欲哭 脈按之空虛 是爲脫精脫神 宜峻補肝腎 收斂精氣 補益元陽 五味子 巴戟 肉蓯蓉 兎絲子 人蔘 白朮 熟地黃 骨碎補 茴香 牡蠣 龍骨 覆盆子 益智仁 各等分 爲末蜜丸梧子大 每30丸 米飮呑下日三服 虛甚八物湯方見下呑下(東垣).

파극환얼굴빛이 창백하여 윤기가 없고 슬픔과 걱정 때문에 울고 싶어하고 맥을 살피면 빈 것을 치료한다. 이는 정기와 신기가 허탈된 것으로 응당 간과 신을 보하여 정기를 수렴하고 원양을 보익해야 한다. 오미자 파극 육총용 토사자 인삼 백출 숙지황 골쇄보 회향 모려 용골 복분자 익지인을 각 등분하여 가루내어 꿀로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30알을 미음으로 하루 세 번 먹고 허가 심하면 팔물탕(처방은 아래를 보라)을 먹는다.(동원)

 

補眞玉露丸治陽虛精脫不禁 白茯苓 白龍骨水飛 韭子酒浸炒 兎絲子酒浸煮 各等分 爲末蜜丸梧子大 每50丸 空心溫酒 或塩湯呑下後 以美饍壓之 宜火日修合(寶鑑).

보진옥로환양이 허해서 정액이 흘러나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복령 백용골은 수비하고 구자는 주침해서 초하고, 토사자는 주침하여 삶아서 등분해서 가루내어 꿀로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50알을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삼킨 후에 좋은 반찬으로 내려가게 한다. 응당 화일에 약을 만드는 것이 좋다.(보감).

 

桂枝龍骨牡蠣湯治失精 桂枝 白芍藥 龍骨 牡蠣生薑 120g 甘草75g 大棗12 右剉 以水七升 煮至三升 分三服(仲景).

계지용골모려탕암 때난 정이 나가는 것을 치료한다. 계지 백작약 용골 모려생강 120g 감초75g 대조12를 썰어서 물 7되를 세 되가 될 때까지 끓여서 세 번으로 나누어 먹는다.(중경)

 

固精丸治腎虛精泄 能秘精收脫 知母 黃栢竝鹽水炒 各37.5g 牡蠣 芡實 蓮花蘂 白茯苓 遠志 11.25g 龍骨7.5g 山茱萸18.75g 爲末山藥糊和丸梧子大 朱砂爲衣 空心塩湯下50(心法).

고정환신허와 정설을 치료하고 정액을 간직하고 나오는 것을 거두어들인다. 지모 황백소금과 물로 초해서37.5g 모려는 굽고 검실 연화예 백복령 원지 11.25g을 용골7.5g 산수유18.75g 가루내어 산약풀에 섞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주사를 입혀서 빈속에 소금물로 50알을 먹는다.(심법)

 

芡實丸治陽虛 未交先泄 及夢泄神效 芡仁500 七夕蓮花鬚 山茱萸 37.5g 白蒺藜187.5g 覆盆子75g 龍骨18.75g 爲末 蜜丸 梧子大 空心 蓮肉煎湯 下60-70(入門).

검실환양허해서 교접 전에 선설하는 것과 몽설을 치료에 신효하다. 검인500 칠석연화수 산수유 37.5g 백질려187.5g 복분자75g 용골18.75g을 가루내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연육전탕으로 60-70알을 먹는다.(입문)

 

鎖陽丹治脫精 滑泄不禁 桑螵蛸120g 龍骨 白茯苓 37.5g 爲末糊丸梧子大 煎茯苓塩湯 下70(得效).

쇄양단정액이 절로 나와서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상표소120g 용골 백복령 37.5g을 가루내어 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복령염탕을 끓여 70알을 먹는다.(득효)

 

玉鎖丹治精氣虛滑 遺泄不禁 龍骨 蓮花蘂 芡仁 烏梅肉 各等分 爲末山藥糊和丸小豆大 空心米飮下30(得效).

옥쇄단정기가 허활하고 정액이 계속 나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용골 연화예 검인 오매육 각등분하여 가루내어 산약풀로 팥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미음으로 30알을 먹는다.(득효)

 

秘元丹治精不禁危急者 龍骨酒煮焙 靈砂水飛 各37.5g 砂仁 訶子小者煨取肉 各18.75g 爲末糯米糊和丸 綠豆大 溫水 下1530(丹心).

비원단유정이 그치지 않아 위급한 것을 치료한다. 용골 술로 삶아서 불에 쬐고 영사는 수비해서 각37.5g 사인 가자는 약간 삶아구워고기를 취한 것 각18.75g을 가루내어 찹쌀풀로 녹두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물로 15-30알을 먹는다.(단심)

 

約精丸治小便中泄精不止 新韭子霜後採者600g 酒浸一宿焙 白龍骨75g 爲末酒調糯米粉 爲糊和丸梧子大 空心鹽湯下30(直指).

약정환소변 중에 정이 흘러서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신구자는 서리 맞은 후에 채취한 것600g을 주침하여 하루 밤을 불에 쬐고, 백용골75g 가루내어 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소금물로 30알을 먹는다.(직지)

 

九龍丹治精滑 枸杞子 金櫻子 山楂子 蓮子 蓮花蘂 熟地黃 芡仁 白茯苓 當歸 各等分 爲末酒麵糊和丸梧子大 空心溫酒或鹽湯下50丸 如精滑便濁者服23日 尿淸如水 飮食倍常 行步輕健(正傳).

구룡단정액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구기자 금앵자 산사자 연자 연화예 숙지황 검인 백복령 당귀를 각등분해서 가루내어 술과 밀가루를 섞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50알을, 정액이 절로 나오며 소변이 탁한 사람도 2-3일 복용하면 소변이 물처럼 맑아지고 먹는 것이 보통 때의 배가 되고 행보가 가볍고 건강해진다.(정전)

 

治小便白濁出隨條方酸棗仁炒 白朮 人蔘 白茯苓 破故紙 益智仁 茴香 牡蠣煆 各等分 爲末 加靑鹽酒糊和丸梧子大 空心溫酒或米飮下30(心法).

치소변백탁출수조방산조인은 초하고 백출 인삼 백복령 파고지 익지인 회향 모려달군 것을 각 등분해서 가루내고 청람을 더해서 주호에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미음으로 30알로 먹는다.(심법)

 

白淫 <內經>(痿論篇 第四十四)曰 思想無窮 所願不得 或入房太甚 宗筋弛縱 發爲筋痿 及爲白淫.

백음 내경왈, 생각이 한이 없어도 생각대로 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하여 종근이 늘어져버려서 근위증과 백음증이 된다.

<張子和>莖中作痛 痛極則痒 或陰莖挺縱不收 或出白物如精隨溲而下 得之於房室勞傷 及邪術所使 宜以降心火之劑下之 宜服瀉心湯方見五藏 淸心蓮子飮方見 消渴.

장자화에 왈, 음경 속이 아프고 또 몹시 아프다가 가려우며 음경이 늘어져서 일어나지 못하거나 정액 같은 흰 물이 흘러나오는 것은 방사가 지나쳐서 몸이 상했거나 사술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 마땅히 심화를 내리는 약제를 써야 하는데 사심탕(처방은 오장을 보라) 청심연자음(처방은 소갈을 보라)을 써야 한다.

白淫 珍珠粉丸方見上 金箔丸 白龍丸.

백음에는 마땅히 진주분환(처방은 위를 보라) 금박환 백룡환을 쓴다.

白淫 宜與精滑脫條 同參治之.

백음에는 마땅히 마땅히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조항을 참고해서 치료한다.

 

金箔丸治白淫 亦治夢泄 晩蠶蛾 破故紙 韭子 牛膝酒浸 肉蓯蓉酒浸 龍骨 山茱萸 桑螵蛸 兎絲子酒浸 各37.5g 爲末蜜丸梧子大 空心酒下30(寶鑑).

금박환치백음을 치료하고 몽설도 치료한다. 만잠아 파고지 구자 우슬주침 육총용주침 용골 산수유 상표소 토사자주침 각37.5g 가루내어 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술로 30알을 먹는다.

 

白龍丸治虛勞 腎損 白淫 滑泄 鹿角霜 牡蠣煆 各75g 龍骨37.5g 爲末 酒麵糊和丸 梧子大 空心 溫酒 鹽湯 下3050丸 不惟治遺精 且能固精壯陽 神效(醫鑑).

백룡환허로로 신기가 상해서 생긴 백음 몽설을 치료한다. 녹각상 모려하 각75g 용골37.5g 가루내엉 술과 밀가루풀을 섞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30-50알을 먹는다. 오직 유정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또 능이 정액을 간직하고 양기를 세게 하는 데 신효하다.(의감)

 

濕痰滲爲遺精 宜服加味二陳湯 樗根白皮丸(醫鑒).

습담삼위유정 응당 가미이진탕과 저근백피환울 복용한다.(의감)

 

加味二陳湯治濕痰遺精 半夏薑製 赤茯苓鹽水炒 梔子炒黑各5.625g 陳皮 白朮 桔梗 升麻酒炒 柴胡酒炒 甘草3.75g 石菖蒲2.625g 黃栢 知母 1.125g 剉作 一服 生薑8g 水煎 空心服(醫鑑).

加味二陳湯습담과 유정을 치료한다. 반하강제 적복령염수초 치자초흑각5.625g 진피 백출 길경 승마주초 시호주초 감초3.75g 석창포2.625g 황백 지모 1.125g 썰어서 한 번 복용하는 데 생강 세 조각과 물에 끓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樗根白皮丸治濕熱傷脾 遺精 韭子37.5g 白芍藥18.75g 黃栢 知母竝鹽水炒 牡蠣煆 各11.25g 白朮 枳實 茯苓 柴胡 升麻 7.5g 爲末 神麴糊和丸梧子大 空心鹽湯下50(醫鑑).

저근백피환열로 상한 비와 유정을 치료한다. 구자37.5g 백작약18.75g 황백 지모병염수초 모려하 각11.25g 백출 지실 복령 시호 승마 7.5g 가루내어 약누룩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소금물로 50알을 먹는다.(의감).

 

補精藥餌 宜服人參固本丸 瓊玉膏 斑龍丸 地黃元 延年益壽不老丹 延齡固本丹 固眞飮子

보정약이 인삼고본환 경옥고 반룡환 지황원 연년익수불노단 연령고본단 고진음자를 복용한다.

人蔘固本丸補精生血方見身形

인삼고본환정을 보하고 피를 생기게 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瓊玉膏生精補氣方見身形

경옥고정을 생기게 하고 기를 보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斑龍丸補精血方見身形

반룡환정혈을 보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地黃元 卽 錢氏方 六味地黃元也 專補腎水能生精補精滋陰方見虛勞

지황원 곧 정씨 처방의 육미지황원이다. 주로 신수를 보하며 정을 생기게 하고 정을 보하기도 하며 음을 불려 준다.(처방은 허로를 보라)

延年益壽不老丹能生精補腎方見身形

연년익수불노단정기를 생기게 하고 신을 보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延齡古本丹能補精益血氣方見身形

延齡固本丹정기를 보하고 혈기를 더하게 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固眞飮子治補氣滑脫將成勞證能補腎精滋陰方見虛勞

고진음자정기가 절로 흘러나와 허로증이 되려는 것을 치료하는데 신정을 보하고 음을 불려 준다.(처방을 허로를 보라)

 

單方 或煎服 或丸服 或作末服 或酒浸服 凡二十一種

단방 끓여 먹거나,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술에 담갔다가 먹는다. 21종이 있다.

 

地黃 : 浸汁洒酒 九蒸九曝 謂之熟地黃 不蒸曝而陰乾者 爲之生乾地黃 熟者性溫 能滋腎補血益髓塡精 生乾者 性平亦能補精血 丸服酒浸服皆佳本草

지황 : 즙에 담갔다가 술을 뿌려 구증구포한 것을 숙지황이라 하고, 증포하지 않고 음건한 것을 생건지황이라 한다. 숙지황은 성질이 따뜻하고 신기를 늘리고 혈을 보하고 골수를 다하고 정을 채워준다. 생건지황은 성질은 평순하며 역시 정혈을 보하고 한으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갔다가 먹어도 다 좋다.(본초)

 

兎絲子 : 添精益髓 治莖中寒精自出 亦治鬼交泄精 爲末服作丸服皆佳(本草).

토사자 : 정기를 더해주고 골수를 더하며, 음경 속이 찬 것과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헛것과 교접하여 정액을 흘리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복용하는 것, 환을 지어 복용하는 것이 다 좋다.(본초)

 

肉蓯蓉 : 益精髓 治男子泄精 又治精敗面黑 肉蓯蓉150g 水煮令爛細硏 入精羊肉 分爲四度 和五味 及米煮粥 空心服本草

육총용 : 정수를 더하고 남자의 정액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고 정액이 부패하여 얼굴이 검게 된 것을 치료한다. 육총용150g 을 물에 끓여 보드랍게 잘 간 것에 양의 살코기를 넣어서 넷으로 나누어 양념과 쌀을 섞어 죽을 쑤어 빈속에 먹는다.(본초)

 

五味子 : 益男子精本草

오미자 : 남자의 정을 보한다.(본초)

五味子膏澁精氣 治夢遺滑脫 五味子600g 洗淨水浸一宿 挼取汁去核以包濾過入鍋內 入冬蜜120g 慢火熬成膏 12匙 空心白湯 調服(本草).

오미자고정액이 잘 나가지 않게 하는데 몽유와 유정을 치료한다. 오미자600g 깨끗한 물에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갔다가 주물러서 베자루로 즙을 짜고 씨를 버리고 노구솥에 넣고 겨울에 딴 꿀 120g을 넣고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고를 낸다. 한두 숟갈을 빈속에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何首烏 : 益精髓 取根米泔浸一宿 竹刀 刮去皮 黑豆汁拌曝乾爲末和酒服 或蜜丸服皆佳(入門).

하수오 : 정수를 더해준다. 뿌리를 캐서 쌀뜨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대칼로 잘라 껍질을 긇거버리고 검음콩을 달인 물에 반죽을 해서 햇변에 말려 가루내어 술에 타서 마시거나 꿀로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입문)

 

白茯苓 : 酒浸與光明砂同用 能秘精東垣湯液 治心虛夢泄 白茯苓細末每30g米飮調下日三(直指)

백복령 : 술에 담갔다가 광명사와 함께 쓰면 정을 굳건히 간직하게 한다.(동원탕액) 심이 허해서 몽설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봉령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매번 4전을 미음에 타서 하루 세 번 먹는다.(직지)

 

枸杞子 : 補益精氣 作丸服 或浸酒服 皆佳(本草).

구기자 : 정기를 보한다. 환을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서 먹는다.(본초)

 

金櫻子 : 澁精氣止遺泄. 和雞頭實 水陸丹見正傳 補眞秘精甚佳本草

금앵자 : 정액을 나가지 않게 하고 유정을 멎게 한다. 계두실(일명 검인)과 섞어서 수륙단(처방은 정전을 보라)을 지어서 먹으면 진기를 보하고 정을 간직하는 데 아주 좋다.(본초)

 

山茱萸 : 添益精髓 能秘精 煎服丸服亦佳(本草).

산수유 : 정과 골수를 보충하고 정액을 잘 간직하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牡蠣 : 治鬼交 泄精 又治 精滑不固 火煆醋淬七次 爲末醋糊和丸梧子大 每50丸空心鹽湯下名固眞丸東垣

모려 : 헛것과 교접해서 정액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고 또 정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달군 굴조개껍질을 식초에 담갔다 내기를 일곱 번 한 후 가루내어 식초를 넣어 쑨 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50알씩 빈속에 소금물로 먹는다. 이름이 고진환이다.(동원)

 

桑螵蛸 : 益精氣 又主漏精. 蒸過搗末 和米飮服 或 作丸服(本草).

상표소(사마귀알집) : 정기를 더해 주고 또 정액이 세는 것을 치료한다. 쪄내서 빻아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원잠아 : 益精氣 止泄精.灸爲末 或散 或丸服 皆佳(本草).

 

原蠶蛾 : 정기를 더해 주고 정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한다. 구워서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蜻蛉 : 卽蜻蜓(청정 : 고추잠자리) 止泄精. 炒爲末 或散 或丸服(本草).

청령 : 곧 고추잠자리다. 정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한다. 초하여 가루내어 그대롤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鷄頭實 卽天仁也 益精氣能秘精氣 爲末或散或丸或作粥服本草

계두실 곧 천인이다. 정기를 더해주고 정기를 간직하게 한다.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짓거나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覆盆子 主腎精虛竭酒浸蒸乾爲末或散或丸服本草

복분자 신의 정이 허하고 줄어든 것을 치료한다.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려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胡痲 : 卽黑脂麻(참깨) 塡精髓. 酒蒸半日 晒乾爲末或散或丸服 皆佳(本草).

호마 : 곧 검은 참깨로 정기와 골수를 채원준다. 술에 반일 동안 쪄서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 그래도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韭子 : 主夢泄 止泄精. 得桑螵蛸 龍骨 主漏精. 微炒爲末 或散 或丸服 皆佳(本草).

구자 : 몽설을 치료하며 세정을 멈추게 한다. 얻어서 사마귀알집과 용골을 함께 쓰면 정액이 세는 것을 치료한다. 약간 초하여 가루내서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龍骨 : 主夢泄精. 又龍骨韭子 爲泄精要藥 火煆爲末 或散或丸服(綱目).

용골 : 몽설을 치료한다. 용골과 부추씨는 정액이 흐를 때 쓰는 좋은 약이다. 불에 약간 구워서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강목)

 

鹿茸 : 主夢泄止泄精. 灸去毛爲末 或散或作丸皆佳(本草).

녹용 : 몽설을 치료하고 정액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한다. 구워서 털을 제거하고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黃狗肉 : 塡精髓 和五味 煮熟 空心食(本草).

황구육 : 정액과 골수를 채워주고 양념을 넣고 푹 삶아서 빈속에 먹는다.(본초)

 

膃肭臍 : 卽海狗腎. 主精冷 精衰. 灸爲末 或散服 或丸服 皆佳(本草).

올눌제 : 곧 해구신이다. 정액이 차거나 정기가 쇠약한 것을 치료한다. 구워서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導引法 治遺精 以手兜托外腎 一手摩擦臍輪 左右輪換 久久擦之 不惟可以止精 且可以補下元. 更擦腎兪胸前脇下涌泉 但心窩忌擦(入門).

도인법 유정을 치료하는데, 한 손으로 음경을 받들어 들고 한 손으로는 배꼽 주위를 문지르르는데 좌우로 엇바꾸어 가면서 오랫동안 문지른다. 정액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할 뿐만 아니라 하초의 원기를 보할 수도 있다. 또 신유혈 앞가슴 옆구리 용천혈을 문지른다. 다만 명치를 문지르는 것은 금기다.(입문)

又法止遺精 用短床 或蒲蘿內側 身曲腿而臥 不許伸脚 病自安(回春).

또 유정을 멈추게 하는 법이다. 짧은 침대나 포단 위에 옆으로 누워서 다리를 꼬부리고 다리를 펴지 않으면 병이 저절로 낫는다.(회춘)

又法夜半子時分 陽正興時仰臥 暝目閉口舌頂上 將腰拱起 用左手中指頂在尾閭穴 用右手大指頂住無名指根拳着 又將兩腿俱伸 兩脚十指俱摳提起 一口氣 心中存想 脊背腦後上貫至頂門 慢慢直下至丹田 方將腰腿手脚 從容放下 如再行 照前而陽衰矣 如陽未衰 再行兩三遍 此法 不惟速去 先精之疾 久則水火旣濟 永無疾病矣(回春).

또 한 가지 방법은 밤중 자시에 양물이 바로 일어날 때 하늘을 보고 누워서 눈을 감고 입을 다물며 혀끝을 입천장에 닿게 한다. 그리고 허리를 쳐들고 왼손 가운데손가락 끝으로 미려혈을 누르고, 오른손 엄지손가락 끝을 무명지 밑에 넣고 주먹을 쥔다. 또 양쪽 다리를 쭉 펴고 양쪽 발가락 10개를 다 세우고 숨을 한 번 들이쉰다. 이 때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를, 척추로 해서 정수리까지 올라갔다가 천천히 단전으로 내려오게 한다. 그 다음 허리와 다리, 손발을 조용히 내려놓았다가 똑같이 다시 한다. 전에 비추어서 양물이 쭈그러든다. 만일 쭈그러들지 않으면 다시 두세 번 반복한다. 이 방법은 정액이 먼저 나오는 질병을 속히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오래 되면 수화가 이미 가지런해져서 영영 질병이 없다.(회춘)

 

鍼灸法 遺精夢泄 心兪 白環兪 膏肓兪 腎兪 中極 關元 等穴 或鍼或灸(綱目).

침구법 유정과 몽설에는 심유 백환유 고황유 신유 중극 관원 등의 혈에 침을 놓거나 뜸을 뜨기도 한다.(강목)

失精精溢 中極 大赫 然谷 大衝 等穴 皆主之(綱目)

정액이 절로 나오거나 정액이 많아서 흘러넘치는 데는 중극 대혁 연곡 태충 대충 등의 혈에 주로 놓는다.(강목)

虛勞失精 宜取 大赫 中封(綱目).

허로로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응당 대혁 중복 혈에 놓는다.(강목)

遺精五藏虛竭 灸曲骨端一穴四七壯 穴在前陰橫骨中央 曲如月中央是也(綱目).

유정과 오장이 허약하고 마르는 데는 곡골 끝 한 혈에 28장의 뜸을 뜬다. 혈은 음경 위의 치골 중앙에 있다.(강목)

便濁失精取腎兪 夢泄精取三陰交 各灸二七壯 神效(得效).

오줌이 뿌옇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신유혈을 취하고, 몽설에는 삼음교혈에 각각 14장의 뜸을 뜨면 신효하다.(득효)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杏仁欲好聲杏仁一升去皮尖 熬酥一兩 蜜少許 和丸 梧子大 米飮下 1520(本草).

 

주로 폐경·대장경에 작용한다. 효능은 潤肺止咳(폐나 기관지에 생긴 건조한 담을 부드럽게 하여 제거시켜서 기침을 멈추게 함潤腸通便(윤활작용이 있는 약물을 사용하여 변비를 치료하여 대변을 통하게 함)이 있다. 止咳平喘(기침을 멈추게 하고 숨이 찬 것을 없앰)의 상용약이다. 따라서 진해작용(鎭咳作用)으로 감기의 마른 기침에 특히 적합하며, 풍열로 인한 마른 기침에는 상엽(桑葉) 등을 배합한다. 또 천식에 사용하는데 거담·강기(降氣)함으로써 기도의 통과장애를 경감하여 호흡을 편하게 한다. 그리고 지방성이 있기 때문에 노인 또는 허약한 사람의 진액(津液)의 부족으로 인한 변비와 출산 후의 변비에 적당하다. 이때는 마자인(麻子仁당귀 등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다량을 복용하면 가볍게는 어지러움·구토 등이, 심하게는 의식장애·경련·호흡곤란·동공산대(瞳孔散大) 등의 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또 설사할 때는 곤란하다. 사용시에는 씨의 끝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브로테니커>

 

 

節慾儲精 內徑以八八之數 爲精髓竭之年 是當節其慾矣 千金方載 素女論 六十者 閉精勿泄 是慾當絶矣 宜節不知節 宜絶不能絶 坐此而喪生 盖自取之也(資生經).

절욕저정 내경에는 64세의 수로 정수가 고갈되는 해로 치는데 이때는 당연히 절욕을 해야 한다. 천금방에 실린 소녀론에는 60에는 정을 간직하고 흘리지 말라 했는데 이는 응당 욕정을 끊으라는 것이다. 의당 절제할 때 절제할 줄 모르고, 의당 끊어야 할 때 끊을 수 없는 것 이는 앉아서 생을 잃는 것이니 스스로 취한 것이다.(자생론)

人年四十以下 多有放恣 四十以上卽 頓覺氣力衰退 衰退旣至 衆病蜂起 久而不治 遂至不救 若年過六十有數旬 不得交合 而意中平平者 自可閉固也.

사람의 나이가 40이 되기 전에 방자한 생활을 많이 하면 40이 지나자 곧 기력이 쇠퇴하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미 쇠퇴하기 시작하면 이병저병이 생기는데 오래 되어도 낫지 않으며 마침내 구할 수가 없다. 만약 나이가 60이 지나서도 수십 일 동안 교합하지 않아도 아무 생각이 없는 이는 저절로 닫혀서 굳어진 것이 있다.

<>曰 凡覺陽事輒盛 必謹而抑之 不可縱心竭 意以自戕也 若一度制得 則一度火滅 一度增油 若不能制縱慾施瀉 卽是膏火將滅 更去其油 可不深自防也(養生書)

<>, 대체로 양사가 문득 왕성함을 느끼면 반드시 삼가고 억제하고 욕망에 따라 정을 고갈시켜서 뜻이 스스로를 상하게 하는 것은 옳지 않다. 만약 한 번 절제할 수 있으면 한 번 불을 끌 수 있고 한 번 기름을 부은 것이 되고, 만약 억제하지 못하고 흘려보내면 곧 이는 기름불이 꺼리려는데 그 기름을 버리는 것과 같으니, 어찌 스스로 깊이 예방하지 않을 것인가?(양생서)

<仙書>曰 慾多則損精 苟能節精 可得長壽也.

<선서>, 욕정이 많으면 정이 줄어드니 진실로 정을 절제하는 것이 오래 사는 것이다.

靜坐 則腎水自升 獨居 則房色自絶(入門).

고요하게 앉아 있으면 신수가 저절로 올라가고 홀로 거처하면 방색이 저절로 끊어진다.(입문)

縮陽秘方.

의당 쭈그러드는 비방을 쓸지어다.

 

縮陽秘方水蛭尋起九條 入水椀養住至七月七日 取出陰乾 秤有多少 入麝香蘇合香 三味一般細硏爲末 蜜少許爲餠 遇陽興時 卽將少許 擦左脚心 卽時痿縮 過日復興 再擦(醫鑒).

축양비방거머리 아홉 마리를 찾아내서 사발에 넣어 기르다가 77일에 꺼내서 음건하여 무게가 많건 적건 사향과 소합향을 넣어서 세 가지를 곱게 갈아 가루내어 꿀을 조금 넣고 떡을 만들어서 양이 일어날 때 즉시 조금을 왼쪽 발바닥에 붙이면 곧 위축된다. 날이 지나 다시 일어나거든 다시 붙인다.(의람)

 

煉精有訣 全在腎家下手 內腎一竅 名玄關 外腎一竅 名牝戶 眞精未泄 乾體未破 則外腎陽氣 至子時而興 人身之氣 與天地之氣 兩相脗合 精泄體破則吾身 陽生之候 漸晩有丑而生者 次則寅而生者 又次則卯而生者 有終不生者 始與天地不相應矣. 煉之之訣 須半夜子時 卽披衣起坐 兩手搓極熱 以一手將外腎兜住 以一手掩臍 而凝神于內腎 久久習之 而精旺矣(眞詮)

련정유결 이 비결은 신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 내신의 한 구멍을 현관이라 하고 외신의 한 구멍을 빈호라 한다. 진정이 나오지 않으면 외신양기는 자시에 일어나고 사람의 몸의 기는 천지의 기와 서로 합치되는 것인데 정이 새서 몸이 깨지면 내 몸의 양생의 징후가 점점 늦어져서 축시에 되기도 하고, 인시가 되기도 하고 또 묘시가 되기도 하는데 끝내 생기지 않는 이도 있으니 처음부터 천지가 서로 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단의 요결은 모름지기 밤중 자시에 곧 옷을 입고 일어나 앉아 양손을 문질러 열을 내서 한 손으로는 외신 머리를 잡고 한 손으로는 배꼽을 가린 다음 내신에다가 응신을 시키는 것이니 오래오래 익히면 정욕이 왕성해진다.(진전)

西蕃人多壽考 每夜臥常以手掩外腎令溫煖 此亦一術也(彙言).

서번인들이 장수하는 이가 많은데 매번 잠자리에 누워서 늘 외신을 손을 감싸쥐고 따뜻하게 하는 것이니 이 역시 하나의 술법이다.(휘언)

 

補精以味 內經曰 精生於穀 <>曰 精不足者 補之以味. 然醴郁之味 不能生精 惟恬憺之味 乃能補精. 洪範 論味而曰 稼穡作甘 世間之物 惟五穀得味之正 但能淡食穀味 最能養精 凡煮粥飯 而中有厚汁 滾作一團者 此米之精液所聚也 食之最能生精 試之有效(眞詮).

보정이미 내경왈, 정기는 곡식에서 생긴다. <>, 정기가 부족하면 식미로써 보한다. 달고 향기로운 맛은 정을 생성할 수가 없고 오직 담백한 맛이 정기를 보할 수 있다. 홍범에서 맛을 논해서 왈, 곡식에는 단맛이 있으니 세상의 사물은 오직 오곡에서 얻은 맛이 바르다. 단지 담박한 맛의 오곡을 먹는 것이 가장 잘 정을 기를 수 있다. 대개 죽이나 밥을 끓일 때 가운데에 두텁게 흘러 일단을 이루니 이 쌀의 정액이 모인 것이다. 그것을 먹는 것이 가장 잘 정기를 만드는 것이니 시험해 보면 효과가 있을 것이다.(진전)

 

遺泄精屬心 <丹溪>曰 主閉藏者 腎也 司疎泄者 肝也 二藏皆有相火 而其系上屬於心 心君火也 爲物所感則易動 心動則相火亦動 動則精自走 相火翕然而起 雖不交會 亦暗流而疎泄矣 所以聖人只是敎人 收心養心 其旨微矣.

유설정속심 <단계>, 주로 간직하고 갈무리하는 것은 신이다. 소통과 배설을 맡은 것은 간이다. 이 두 장기는 모두 상화가 있어서 그 계통이 심에 속한다. 심은 군화로 외물에 감화되어 움직이기 쉽고 심이 움직이면 상화 역시 움직이고 움직이면 정이 저절로 나온다. 상화가 합해서 일어나면 비록 교합하지 않아도 암암리에 흘러서 소통하고 세는 것이다. 성인이 사람들에게 마음을 거두어들여 마음을 닦으라는 가르침에 미묘한 뜻이 있는 까닭이다.

精之主宰在心 精之藏制在腎 心腎氣虛 不能管攝 因小便而出者曰尿精 因見聞而出者曰漏精(直指)

정의 주재는 심에 있고, 정의 갈무리와 절제는 신에 있으니 심신의 기가 허하면 관섭할 수가 없어 소변에 섞여 나오는 것을 요정이라 하고, 보고 들어서 나오는 것을 누정이라 한다.(직지)

初因君火不寧 久則相火擅權 精元一於走而不固 甚則夜失連連 日亦滑流不已 宜服坎离丸 黃蓮淸心飮(入門).(:제마음데로 할)

처음에는 군화가 편안하지 못해서고, 오래 되면 상화가 멋대로여서 정원이 한 번 달려서 굳지 않고 심하면 밤에 계속 이어지고 낮에도 흘러내려서 그치지 않으니 응당 감리환 황련청심을 먹어야 한다.

 

坎离丸治心腎虛弱 連日遺精 黃栢 知母 等分 童便九蒸九晒九露 爲末 地黃煎膏和丸梧子大 空心塩湯下3050(入門).

감리환심신이 허약해서 연일 유정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백 지모 같은 양을 동변에 구증구포한 다음 아홉 번 이슬을 맞혀서 가루내어 끓여서 고를 만든 지황과 섞어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소금물로 30-50알을 먹는다.(입문)

 

黃蓮淸心飮 治君火旣動 而相火隨之 而精泄 黃蓮 生地黃 當歸 甘草 茯神 酸棗仁 遠志 人蔘 蓮子肉 各等分 剉作五錢 水煎服(入門).

황련청심음 군화가 이미 움직이고 상화가 뒤따라서 정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생지황 당귀 감초 복신 산자인 원지 인삼 연자육을 각각 같은 양을 썰어서 오전씩 물에 끓여 먹는다.(입문)

 

夢泄屬心 <直指>曰 邪客於陰 神不守舍 故心有所感 夢而後泄也. 其候有三 年少氣盛 鰥曠矜持 强制情慾 不自覺知 此泄如甁之 滿而溢者 人或有之 勿藥可也. 心家氣虛 不能主宰 或心受熱邪 陽氣不收 此泄如甁之 側而出者 人多有之 其病猶輕 合用和平之劑 藏府積弱 眞元久虧 心不攝念 腎不攝精 此泄如甁之 罅而出者 人少有之 其病最重 須當大作補湯

몽설속심 <직지>, 사가 음에 들어와서 신이 집을 지키지 못하므로 심에 느끼는 바가 있으면 꿈에 흐르는 것이다. 그 징후는 세 가지가 있는데, 나이가 젊고 기가 성하여 독거하면서 억지로 정욕을 참아서 스스로도 알지 못하는 것이니 이는 마치 병이 가득차서 넘치는 것으로 간혹 있는 일이라 약을 쓰지 않아도 된다. 심장의 기가 허해서 주재할 수가 없고 심장이 열사를 받아서 양기를 거두어들이지 못하는 것이니 이는 병이 기울어져서 흐르는 것과 같으니 이런 이가 많은데 병이 가벼울 것 같으면 화평한 약재를 합해서 쓰면 된다. 장부가 오래 허약해서 진원이 오래 손상이 되어 심장이 생각을 간섭하지 못하고 신장이 정을 간섭하지 못하는 것이니 이는 병이 깨쳐서 나오는 것인데 이런 이는 소수이나 그 병이 가장 심한 것이니 모름지기 응당 대작보탕을 먹어야 한다.

夢遺 不可作虛冷 亦有經絡熱而得之 嘗治一人至夜脊心熱夢遺 珍珠粉丸 猪苓丸 遺止而終服紫雪 脊熱始除 淸心丸 亦佳(本事).

몽유 허냉해서 생기는 것만은 아니다. 역시 경로에 열이 있어서 생길 수도 있다. 일찍이 한 사람이 밤이 되면 등골에 열이 나서 몽유하므로 진주분환과 저령환을 썼더니 몽유가 그치고 끝에는 자설을 먹였더니 등골의 열이 비로소 제거되었다. 청심환도 역시 좋다.(본사)

夢遺 全屬心 盖交感之精 雖常有一點白膜 裹藏於腎 而元精 以爲此精之本者 實在乎心 日有所思 夜夢而失之矣 宜黃蓮淸心飮(入門).

夢遺 심에 속한다. 대개 교접할 때 나오는 정액은 비록 늘 한 점의 백막이 있어 신을 둘러싸는데 원기를 이 정의 근본으로 삼는 것은 실제 심에 있기 때문이다. 낮에 생각하는 바가 밤에 꿈 속에서 흐르는 것이니 응당 황련청심음을 쓴다. (입문)

夢與鬼交而泄精 名曰夢遺 專主於熱 用黃柏 知母 牡蠣 蛤粉 若內傷氣血 不能固守 而夢遺者 當補以八物湯方見虛勞加減 樗根皮丸(入門).

꿈에 귀신과 교접하여 정이 새는 것을 몽유라고 한다. 오로지 열을 다스려야 하는데 황백 지모 모려 합분을 쓴다. 만약 안으로 혈기가 상했으면 고수하지 못하여 흐른다면 응당 팔물탕(처방은 허로를 보라) 가감으로 보하고 저근피환을 먹는다(입문).

<本事>曰 年少壯者節慾而遺泄 宜淸心丸 珍珠粉丸

<본사>, 나이가 젊고 힘이 센 이는 욕망을 절제해서 정이 새는 것이니 응당 청심환 진주분환을 쓴다.

<戴氏>曰 夢遺 精滑皆相火所動 久則有虛而無寒也.

<대씨>, 몽유와 정활은 모두 상화가 움직이는 바 오래 되면 허해지기는 하나 한해지지는 않는다.

<正傳>曰一人夢遺形瘦 服定志珍珠粉丸而效.

<정전>, 일단 사람이 몽유로 몸이 수척해졌는데 정지진주분환을 복용하니 효과가 있었다.

固眞丹 鹿角散 保精湯 歸元散 皆治夢交泄精.

고진단 녹각산 보정탕 귀원산 모두 몽교에서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固眞丹治遺精 夢泄 晩蠶蛾75g 肉蓯蓉 白茯苓 益智仁 37.5g 龍骨18.75g 爲末 鹿角膠 酒浸化開和丸 梧子大 每服30丸 空心溫酒下 乾物壓之(羅謙甫)

고진단유정과 몽서을 치료한다. 만잠아75g 육총용 백복령 익지인 37.5g 용골18.75g을 가루내어 녹각교를 술에 담근 것과 섞어서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30알씩 빈속에 따뜻한 술로 먹는다. 마른 음식으로 내겨가게 하는 것이 좋다.(나겸보)

 

鹿角散治久虛夢泄 鹿角 鹿茸酥灸 各37.5g 白茯苓26.25g 人蔘 白茯神 桑螵蛸 川芎 當歸 破故紙 龍骨 韭子酒浸一宿焙 各18.75g 栢子仁 甘草 9.375g 爲末 每18.75g 生薑12g 大棗6g 粳米100粒 同煎 空心服(直指).

녹각산오래된 허증의 몽설을 치료한다. 녹각 녹용소구 37.5g 백복령26.25g 인삼 백복신 상표소 천궁 당귀 파고지 용골 구자주침일숙배 18.75g 백자인 감초 9.375g 가루내어 매18.75g을 생강12g 대조6g 갱미100립과 함께 끓여 빈속에 먹는다.(직지)

 

保精湯治陰虛火動 夜夢遺精 當歸 川芎 白芍藥 生地黃薑汁炒 麥門冬 黃栢酒炒 知母蜜炒 黃蓮薑汁炒 梔子童便炒 乾薑炒黑 牡蠣 山茱萸肉 1.875g 爲剉 水煎 空心服(醫鑑).

보정탕음이 허하고 화가 동해서 생긴 야몽 유정을 다스린다. 당귀 천궁 백작약 생지황강즙초 맥문동 황백주초 지모밀초 황련강즙초 치자동변초 건강초흑 모려 산수유육 1.875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歸元散治夢遺日久 氣下陷 宜升提腎氣以歸元 人蔘 白朮 白茯苓 遠志 酸棗仁麥門冬 黃栢 知母二味竝童便炒 雞頭實 蓮花蘂 枸杞子 陳皮 川芎 1.875g 升麻 甘草 0.9375g 爲剉 蓮肉三箇 棗子一枚 水煎空心 溫服(回春).

귀원산몽유가 오래 되어 기운이 빠진 것을 치료하는데, 신기를 들어올려 원래대로 되돌린다. 인삼 백출 백복령 원지 산조인맥문동 황백 지모이미병동변초 계두실 연화예 구기자 진피 천궁 1.875g 승마 감초 0.9375g를 썰어서 연육 세 개와 대추씨 한 개 물에 끓여 빈속에 따뜻하게 먹는다.(회춘)

 

진주분환治夢遺泄精及精滑 黃栢新瓦上炒赤黃 眞蛤粉 600g 眞珠120g 上爲末 滴水丸梧子大 每取100丸 空心溫酒送下 法曰 陽盛乘陰 故精泄 黃栢 降心火 蛤粉鹹 而補腎陰 易老方 無珍珠一味(正傳).

珍珠粉丸몽유 설정과 정활을 치료한다. 황백신와상초적황 진합분 600g 진주120g을 가루내어 물에 적셔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100알을 빈속에 따뜻한 술로 먹는다. 법왈, 양이 성하여 음을 승하므로 정이 샌다. 황백은 심화를 내리고 합분은 짜서 신음을 보한다. 이노방에는 진주 하나가 없다.(정전)

 

猪苓丸治年壯氣盛 情慾動中 所願不得意 淫於外以致夢遺 半夏37.5g破如豆大 猪苓末75g 將一半炒 半夏 令色黃 不令焦 出火毒 只取半夏 爲末糊丸梧子大候乾 更用前猪苓末一半 同抄微裂 入砂甁內養之 空心溫酒 或鹽湯下30-50丸 盖半夏 有利性 而猪苓導水 卽腎閉導氣 使通之意 一名 半苓丸(本事).

저령환나이가 젊고 기가 성하여 정욕이 발동하여도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음사가 이르러 몽유를 하는 것을 다스린다. 반하 한 냥중을 콩알만하게 찧어 저령가루 두 냥중과 먼저 반을 초하고, 반하는 누른색으로 초하고 태우지 말며 화독을 뺀다. 반하만을 취하여 가루내어 오자 크기로 풀로 환을 지어 마른 뒤에 다시 저령 나머지 반과 함께 조금 터질 정도로 초하여 항아리에 넣어두고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30-50알을 먹는다. 대개 반하는 잘 나가레 하는 성질이 있고 저령은 물을 끌어들이니 곧 신폐된 것에 기를 이끌어 통하게 한다. 일명 반령환이다.(본사)

 

淸心丸治經絡熱而夢泄 心熱恍惚 厚黃栢37.5g 龍腦3.75g 爲末蜜丸梧子大 每15丸空心 麥門湯呑下(本事)

청심환경락에 열이 있어 몽설하고 심장에 열이 있어 어질어질한 증세를 다스린다. 후황백37.5g 용뇌3.75g을 가루내어 꿀과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15알을 빈속에 맥문동탕에 먹는다.(본사)

 

樗根皮丸治房勞過傷 精滑夢遺 樗根白皮炒 爲末 酒糊和丸 梧子大 然性凉而燥 不可單服 須以八物湯煎水呑下 爲佳(入門).

저근피환방사가 과하여 상해서 생긴 정활 몽유를 다스린다. 저근백피를 초하여 가루내고 술로 풀을 쑤어 오자크기로 환을 짓는다. 그러나 성질이 차고 말라서 단복할 수 없으니 모름지기 팔물탕 끓인 물로 먹으면 좋다.(입문)

 

定志珍珠粉丸治心虛 夢泄 蛤粉 黃栢人蔘 白茯苓 120g 遠志 石菖蒲 靑黛 75g 樗根白皮37.5g 爲末麵糊和丸梧子大 靑黛爲衣 空心薑鹽湯下 50(正傳).

정지진주분환심이 허해서 생긴 몽설을 치료한다. 황백인삼 백복령 120g 원지 석창포 청대 75g 저근백피37.5g를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겉에 청대를 입혀 빈속에 강염탕으로 50알을 먹는다.(정전)

 

夢泄亦屬鬱 本事曰 腎氣閉卽泄精 素問曰 腎者 作强之官 伎巧出焉 又曰 腎藏精 盖腎能攝精氣 以生育人倫者也 或育或散 皆主於腎. 今腎氣衰 則一身之精氣 無所管攝 故妄行而出不時 猪苓丸一方 正爲此設.

몽설역속울 본사 왈, 신기가 닫힌 것이 곧 세정이다. 소문 왈, 신은 강화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기교를 낸다. 또 왈, 신은 정을 갈무리 하는데 대개 신은 정기를 관섭하여 인륜을 생육한다. 육서하는 것도 흩으리는 것도 다 신의 주관이다. 신기가 쇠하면 일신의 정기는 관섭을 받지 않는 까닭에 망령도이 행동해서 설출할 때에는 저령환이 하나의 처방으로 이 증상을 바로잡는 약이다.

<綱目>曰 夢遺屬鬱滯者居太半 庸醫不知其鬱 但用澁劑固脫 殊不知愈澁愈鬱 其病反甚. 嘗治一男子夢遺白濁 小腹有氣衝上 每日腰熱 卯作酉凉 腰熱作則手足冷 前陰無氣 腰熱退則前陰氣耕 手足溫 又朝多下氣 暮多噫氣 一旬二旬必遺 脈且弦滑而大 午則洪大 予知 其有鬱滯 先用沈香和中丸方見痰飮下之 次用加減八味湯方見五藏 滋腎丸方見小便百丸 若與澁藥 則遺與濁 反甚 或一夜再遺 改用導赤散方見五藏大劑 煎服 遺濁皆止.

<강목>, 몽유가 대부분 울대에 속한 것인데 용렬한 의원이 그 울증을 알지 못하고 다만 삽제를 써서 벗어나려 하나 반대로 더욱더 삽울해지는 것을 모르니 병이 반대로 심해진다. 일찍이 어떤 남자의 몽유와 백탁을 치료하는데 소복에 기운이 뻗쳐올라와 매일 허리에 열이 나는데 묘시에 시작해서 유시에 그치고 허리의 열이 시작되면 수족이 차지고 전음에 기운이 없고, 허리에 열이 내리면 전음에 기운이 생기고 수족이 따뜻해진다. 또 아침에는 기가 내려가고 저물녘에는 기를 내뿜고 일이십일 동안 반드시 유실되고 맥도 현활하고 크며 오시가 되면 홍대해졌다. 내 알기에 그것은 울대가 있어서이므로, 먼저 침향화중환(처방은 담음을 보라)을 써서 내리고, 다음에는 가감팔미탕(처방은 오장을 보라)을 쓰고, 자신환(처방은 소변을 보라) 백알을 먹였다. 삽제를 투여했더니 몽유와 백탁이 반대로 심해지고 하루 밤에 두 번이나 유정을 했다. 처방을 바꾸어 도인산(처방은 오장을 보라)대제를 끓여 먹였더니 유탁이 모두 그쳤다.

<>一男子 夢遺 醫與澁藥 反甚 與神芎丸方見入門大下之却服 此猪苓丸亦痊. 可見夢遺 屬鬱滯者多矣.

<> 어떤 남자가 몽유를 하는데 의원이 삽약을 투여했더니 반대로 더욱 심해져서 신궁환(처방은 입문을 보라)을 투여해서 내리고 곧 이 저령환을 먹이니 역시 병이 나았다. 그래서 몽유는 울대에 속하는 것을 잘 알았다.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精爲身本 靈樞曰 兩神相薄 合而成形 常先身生 是謂精 精者 身之本也.

정위신본 영추에 왈, 두 신이 서로 합하여 형체가 생기는데 항상 몸보다 먼저 생기는데 이를 정이라 한다. 정은 몸의 근본이다.

<>曰 五穀之津液 和合而爲膏 內滲入于骨空 補益髓腦 而下流于陰股 陰陽不和則使液溢 而下流于陰下 過度則虛 虛則腰背痛而脛痠.

<>, 오곡의 진액이 합쳐서 고가 되는데 안으로 골속에 스며들면 골수와 뇌수를 보익하여 아래로 내려가 음부로 흐르게 된다. 음양이 고르지 못하면 진액이 넘쳐서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지나치면 허하고 허하면 허리와 등에 통증이 와서 다리가 저린다.

<>曰 髓者 骨之充 腦爲髓海 髓海不足 則腦轉耳鳴胻痠眩冒

<>, 수는 뼛속에 차 있는 것이고 뇌는 수해가 된다. 수해가 부족하면 머리가 핑돌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정강이가 시큰거리고 정신이 아득해진다.

 

精爲至寶 夫精者 極好之稱 人之精 最貴而甚少 在身中通有一升六合 此男子二八未泄之成數 稱得一斤 積而滿者 三升 損而喪之者 不及一升 精與氣相養 氣聚則精盈 精盈則氣盛 日啖飮食之華美者 爲精 故從米從靑 人年十六則精泄 凡交一次 則喪半合 有喪而無益 則精竭身憊 故慾不節 則精耗 精耗 則氣衰 氣衰 則病至 病至 則身危 噫精之爲物 其人身之至寶乎(養性).

정위지보 대개 정은 아주 좋은 것을 일컫는다. 사람의 정은 아주 귀중하면서도 매우 적다. 몸안에 있는 것을 다해도 한 되 육홉이다. 16살된 남자의 아직 내보내지 않은 수치가 1근이라고 한다. 쌓여서 가득차면 3되다. 줄어서 상하면 1되에도 못 미친다. 정과 기는 서로 보양하는데 기가 모이면 정도 차고 정이 차면 기도 성하다. 매일 씹어먹는 음식의 영양분이 정이 되기 때문에 쌀미자와 푸를 청자로 이루어진 것이다. 사람의 나이 16세가 되면 정이 나온다. 한 번 교접을 하면 반 홉을 잃는데 잃기만 하고 보충하지 않으면 정이 고갈되어 몸이 피곤해진다. 그러므로 성욕을 조절하지 않으면 정이 소모된다. 정이 소모되면 기가 쇠하고 기가 쇠하면 병이 나고 병이 나면 몸이 위태롭다. , 정이란 물건됨이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보배로다.(양성)

<仙書>曰 陰陽之道 精液爲寶 謹而守之 後天而老. <經頌>云 道以精爲寶 寶持宜秘密 施人卽生人 留已則生已 結嬰尙未可 何況空廢棄 棄損不覺多 衰老而命墜.

<선서>, 陰陽을 수행에는 精液이 보배일세. 삼가고 지키면 천수보다 늦게 늙네. <경송>에 왈, 도는 정으로써 보배로 여기니 이 보배를 고이고이 간직하게. 남의 몸에 들어가면 남이 살고 자기 몸에 간직하면 자기가 사네. 아이 밸 때 쓰는 것도 좋은 일은 아니어든 하물며 헛되이 버릴손가? 함부로 막 버려 깨닫지 못하면 쉬이 늙어 제 목숨 다 못 살리.

人之可寶者命 可惜者身 可重者精 肝精不固 目眩無光 肺精不足 肌肉消瘦 腎精不固 神氣減少 脾精不堅 齒髮浮落 若眞精耗散 疾病卽生 死亡隨至.

사람에게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숨이며, 아껴야 할 것은 몸이고 귀중하게 여겨야 할 것은 이다. 간의 정이 든든하지 못하면 눈이 어지럽고 정기가 없으며 폐의 정이 부족하면 살이 빠지고 신의 정이 든든하지 못하면 신기가 줄어든다. 비의 정이 견고하지 못하면 이뿌리가 드러나고 머리털이 빠진다. 만약 타고난 정이 줄어들고 흩어지면 질병이 생기고 사망에 이르게 된다.

<象川翁>曰 精能生氣 氣能生神 榮衛一身 莫大於此 養生之士 先寶其精 精滿則氣壯 氣壯則神旺 神旺則身健 身健而少病 內則五藏敷華 外則肌膚潤澤 容顔光彩 耳目聰明 老當益壯矣.

<상천옹>, 정은 기를 생성하고 기는 신을 생성하니 일신의 영위가 이보다 큰 것이 없다. 양생을 하는 이는 먼저 정을 보물로 여겨야 한다. 정이 충만하면 기가 웅장하고 기가 웅장하면 신이 왕성하고 신이 왕성하면 몸이 강건하고 몸이 강건하면 병이 적다. 속으로 오장이 편안하며 밖으로살과 피부가 윤택하면 얼굴에서 광채가 나고 이목이 총명하며 늙어도 더욱 기운이 난다.

<黃庭經>曰 急守精室 勿妄泄 閉而寶之 可長活.

<황정경>, 정액을 잘 간직하여 허투루 쓰지 말아야 한다. 간직해서 보배처럼 아끼면 오래 살 수 있다.

 

五藏皆有精

<難經>曰 心盛精汁三合 脾有散膏半斤 膽盛精汁三合.

<난경>, 심장에는 3홉의 정즙이 있고, 비장에는 산고가 반 근 들어 있고, 담에는 정즙이 3홉 들어 있다.

<內經>曰 腎者主水 受五藏六府之精 而藏之 註云 腎爲都會關司之所 非腎一藏 獨有精也

<내경>, 신은 수를 주관하며 오장육부의 정을 받아 갈무리한다. 주에는 신은 관사의 소임을 도맡은 곳이고 정은 유독 신에만 갈무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五藏各有藏精 竝無停泊于其所 盖人未交感 精涵于血中 未有形狀 交感之後 慾火動極 而周身流行之 血至命門 而變爲精以泄焉 故以人所泄之精 貯于器 伴少鹽酒 露一宿 則復爲血矣(眞詮).

오장에는 각기 장정이 있으나 모두 그곳에 머물러 있지는 않다. 대개 사람이 교접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정이 혈 속에 풀려 있어 아직 그 형상이 없다. 그러나 교접 이후에는 성욕이 몹시 동하여 몸에 흐르는 피가 명문에 이르러 정액으로 변해서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흐른 정액을 그릇에 담아 소금과 술을 조금 넣어서 하룻밤 이슬을 맞히면 다시 피가 된다.(진전)

 

脈法 <脈經>曰 男子脈微弱而澁爲無子 精氣淸冷也

맥법 <맥경>, 남자의 맥이 미약하면서 삽하면 자식이 없게 되며 정기가 멀겋고 차다.

<脈訣>曰 遺精 白濁 當驗於尺結芤動緊 二證之的.

<맥결>, 유정과 백탁은 응당 척맥이 결한가, 규한가, 동한가, 긴한가를 살펴서 두 병증의 과녁으로 삼아야 한다.

<>曰 濇脉 精血不足之候 丈夫脈濇號傷精 <>曰 濇爲精竭血枯.

<>, 색맥은 정혈이 부족한 징후고 장부의 맥이 껄끄러운 것은 정이 상한 것이라 했고, <>, 껄끄럽다는 것은 정액이 고갈되고 혈이 마른 것이다.

<醫鑑>曰 微濇傷精.

<의감>, 가늘고 껄끄러운 것은 정이 상한 것이다.

 

精宜秘密 內經曰 凡陰陽之要 陽密乃固 故曰陽强不能密 陰氣乃絶 陰平陽秘 精神乃治 陰陽離決 精氣乃絶. 註曰 陰陽交會之要 正在於陽氣 閉密而不妄泄爾 密不妄泄 則生氣强固而能久長 此聖人之道也. 陽自强而不能閉密 則陰泄瀉 而精氣竭絶矣. 陰氣和平 陽氣閉密 則精神之用日益治也.

정의비밀 내경에 왈, 대개 음양의 요체는 양기를 내밀히 하고 굳건히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왈, 양이 강하기만 하고 잘 간직할 수 없으면 음기가 곧 끊어지고, 음이 고르고 양이 내밀해야 정신이 온전해진다. 음양이 서로 갈라지면 정기가 끊어진다. 주에 왈, 음양의 섞이는 요체는 바로 양기에 있으니 잘 간직하고 허투루 쓰지 않는 것이다. 잘 간직하고 허투루 쓰지 않으면 생기가 고강하고 오래 살 수 있다. 이것이 성인의 방도다. 양이 저절로 강해져도 잘 간직할 수 없으면 음이 새나와서 정기가 고갈되고 끊어진다. 음기가 고르게 되고 양기가 잘 간직되면 정신의 씀씀이는 날로 더욱 다스려진다.

秘精 宜服金鎖思仙丹 大鳳髓丹 秘眞丸 玉露丸 金鎖丹.

정액을 잘 간직하려면 응당 금쇄사선단 대봉수단 비진환 옥로환 금쇄단을 쓴다.

 

金鎖思仙丹治精氣不固 蓮花蘂 蓮子 芡仁等分 爲末 金櫻子煎膏 和丸梧子大 空心塩湯下30丸 一月見效 卽不走泄 久服 精神完固 能成地仙(入門).

금쇄사선단정기를 굳건히 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연화예 연자 검인을 각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금앵자와 함께 끓여서 고를 내어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소금물로 30알을 먹는다. 한 달이면 효험이 있어 빨리 새나가지 않는다. 오래 먹으면 정신이 좋아져서 지선이 될 수 있다.(입문)

大鳳髓丹一名封髓丹治心火旺盛 腎水不足 心有所欲 速於感動 疾于施泄 黃栢炒75g 縮砂37.5g 甘草18.75g 半夏炒 猪苓 茯苓 紅蓮蘂 益智仁 各9.375g爲末 塩水和丸 梧子大 空心 糯米飮 呑下50丸 或70(海藏).

대봉수단일명 봉수단이라고 하며, 심화가 왕성하고 신수가 부족해서 마음만 먹으면 즉시 발동해서 재빨리 새는 증상을 치료한다. 황백초75g 축사37.5g 감초18.75g 반하초 저령 복령 홍련예 익지인 각9.375g을 가루내어 소금물에 반죽해서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찹쌀미음으로 50-70알을 먹는다.(해장)

 

秘眞丸一名秘元丹治精氣不固 白龍骨37.5g另硏 大訶子皮5箇 朱砂五錢內一分爲衣 縮砂18.75g 爲末 糯米糊 和丸菉豆大 朱砂爲衣 空心 鹽酒 下二丸 臨臥 冷水 下3丸 不可多服太秘(河間).

비진환일명 비원단이라고 하며 정기가 굳건하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백용골37.5g 따로 간다 대가자피5개 주사 오전 절반은 알약 겉에 입힌다 축사18.75g를 가루내어 찹쌀풀로 반죽해서 녹두알 크기로 환을 지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빈속에 소금을 탄 술로 두 알씩 먹는다. 잘 무렵에 찬물로 세 알을 먹는다. 액이 잘 나오지 않을 수 있으니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하간)

玉露丸秘精 白龍骨九蒸九暴 兎絲子酒製 韭子瓦上微炒 各112.5g 爲末 蜜丸 梧子大 空心 塩湯呑下 10丸 初服 忌房事(活人心方).

옥로환정을 잘 간직하게 한다. 백용골구증구포 토사자주제 구자와상미초 각112.5g를 가루내어 꿀로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소금물로 10알을 먹는다. 처음 먹을 때는 방사를 피하라.(활인심방)

金鎖丹秘精 肉蓯蓉187.5g酒浸搗爲膏 破古紙微炒150g巴戟去心 附子炮 各75g 胡桃肉20爲末 和蓯蓉膏 丸如梧子大 每10丸塩湯或溫酒下 食前玉露丸 食後金鎖丹. 服經月雖老弱 下元不衰 永閉精也. 如欲泄精 車前子一合 煎湯服之妙(活人心方).

금쇄단정을 잘 간직하게 한다. 육총용187.5g주침도위고 파고지미초150g파극거심 부자포 각75g 호도육20를 가루내어 총용고와 합하여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10알을 소금물이나 따뜻한 술로 먹는다. 식전에는 옥로환을, 식후에는 금쇄단을 먹는다. 한 달을 먹으면 비록 늙고 허약한 이도 원기가 쇠약해지지 않고 정액이 나오지 않게 한다. 만약 정액을 내보내려 하면 차전자 한 홉을 물에 달여 먹으면 된다.(활인심방)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