精滑脫屬虛 <仲景>曰 失精家 小腹弦急 陰頭寒 目眩 髮落 脉極虛芤遲 爲淸穀 亡血失精
男子失精 女人夢交 桂枝龍骨牡蠣湯主之.
정활탈속허 중경왈 , 정을 잃는 이는 아랫배가 몹시 땅기고 음두가 차며 눈이 어지럽고 머리털이 빠진다. 맥이 허하고 더디며 음식을 그대로 내보서 혈정을 망실하고 남자는 정액을 흘리고, 여인은 꿈속에서 교접하는 데 계지용골모려탕을 쓴다.
○ <靈樞>曰 恐懼而不解則傷精 精傷則骨痠痿厥 精時自下
○ <영추>왈, 무서운 일을 겪고 풀지 않으면 정을 상한다. 정을 상하면 뼈가 저리고 시큰해서 정을 수시로 흘린다.
<又>曰 精脫者 耳聾
<우>왈, 정을 흘리면 귀도 먹는다.
○ <內經>曰 思想無窮 所願不得 意淫於外 入房太甚 宗筋弛縱 發爲筋痿 及爲白淫 夫腎藏天一 以慳爲事 志意內治則精全而澁 若思想外淫 房室太甚 則固有淫泆不守 輒隨溲尿而下 然本於筋痿者 以宗筋弛縱也(謙甫).
○ <내경>왈, 생각이 무궁한데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고 음란한 생각을 하며 방사를 심하게 하면 종근이 풀어져 버려서 근위증이 발병하여 백음에까지 미친다. 무릇 신장은 천일을 저장하여 아낌으로 일을 삼아 의지를 안으로 다스리면 정이 온전하고 삽해진다. 만약 음탕한 생각만 하여 방사가 심하면 진실로 음일하여 지키지 못하고 갑자기 수시로 소변을 따라서 흘러 나온다. 그러나 본래 근육이 나약한 이는 종근이 풀어져 버려서다.(겸보).
○ 其不御女漏者 或聞淫事 或見美色 或思想無窮 所願不得 或入房太甚 宗筋弛縱 發爲筋痿 而精自出者謂之 白淫宜乎 滲漏而不止也 宜加減珍珠粉丸方見小便.
○ 교접하지 않고도 정이 흐르는 것 곧 음사를 듣거나 미색을 보거나 생각이 무궁하여 원하는 것을 이루지 못하거나 방사가 심하면 종근이 풀어져 버리고 근육이 나약해져서 정이 저절로 흐는 것을 일러 백음이라 하는데 정이 끊임없이 흘러 그치지 않는 증세다. 가감진주분환(처방은 소변을 보라)을 써야 한다.
○ <又>曰 慾心一動精隨念去 凝滯久則莖中痒痛 常如欲小便然 或從小便而出 或不從便出 而流者謂之遺精 比之夢遺尤甚 八物湯加減 呑珍珠粉丸方見上.
○ <우>왈, 욕심이 일단 동하면 정이 생각을 따라가서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 음경 속이 가렵고 아파서 늘 소변이 마려운 것 같거나 소변을 따라 정이 나오거나 소변과 관계없이 흐르는 것을 유정이라 한다. 몽유에 비해서 더 심하다. 팔물탕가감과 진주분환(위를 보라)을 먹는다.
○ 少時慾過 陽脫而遺泄者 宜 金鎖正元丹方見入門 秘眞丹方見上(入門).
○ 젊었을 때 성욕이 지나쳐서 양이 줄어서 유설하는 데는 응당 금쇄정원단(처방은 입문을 보라) 비진단(처방은 위를 보라)을 쓴다.(입문).
○ 精滑 專主濕熱 用黃栢 知母 牡蠣 蛤粉(丹溪).
○ 정활은 오로지 습열처럼 치료하니 황백 지모 모려 합분을 쓴다.(단계).
○ 一人 虛而泄精 脈弦大 服諸藥不效 後用五倍子37.5g 白茯苓75g 爲丸服之良愈 五倍澁脫之功 敏於龍骨蛤粉也(綱目).
○ 어쩐 이가 허해서 정을 흘리면서 맥이 세고 크며 이약저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어서 다음에 오배자37.5g 백복령75g을 환을 지어 먹었더니 잘 나았다. 오배자의 삽탈효과는 용골합분보다 신속하다.(강목)
○ 童男 陽盛情動 於中志有所慕 而不得遂成 夜夢而遺精 愼不可補 淸心乃安 朝服淸心蓮子飮方見消渴 暮服定志丸方見神部(醫鑑).
○ 동남이 양이 성하고 정이 동해서 심중에 사모하는 바가 있어도 이룰 수가 없어서 밤에 꿈속에서 몽정을 하면 보하는 것을 삼가고 청심해야 편안해진다. 아침으로 청신연자음(처방은 소갈을 보라) 저녁으로는 정지환(처방은 신부를 보라)을 먹인다.(의감)
○ <戴氏>曰 不因夢而自泄者謂之精滑 皆相火所動也.
○ <대씨>왈, 꿈을 꾸지 않고도 저절로 흐르는 것을 정활이라 하는데 모두 상화가 움직인 것이다.
○ 精滑脫 宜巴戟丸 補眞玉露丸 固精丸 芡實丸 鎖陽丹 玉鎖丹 秘元丹 約精元 九龍丹皆可選用
○ 정이 저절로 나오는 데는 파극환 보진옥로환 고정환 검실환 쇄양단 옥쇄단 비원단 약정원 구룡단 중에서 응당 모두 골라서 쓸 수 있다.
【巴戟丸】治面色白而不澤 悲愁欲哭 脈按之空虛 是爲脫精脫神 宜峻補肝腎 收斂精氣 補益元陽 五味子 巴戟 肉蓯蓉 兎絲子 人蔘 白朮 熟地黃 骨碎補 茴香 牡蠣 龍骨 覆盆子 益智仁 各等分 爲末蜜丸梧子大 每30丸 米飮呑下日三服 虛甚八物湯方見下呑下(東垣).
【파극환】얼굴빛이 창백하여 윤기가 없고 슬픔과 걱정 때문에 울고 싶어하고 맥을 살피면 빈 것을 치료한다. 이는 정기와 신기가 허탈된 것으로 응당 간과 신을 보하여 정기를 수렴하고 원양을 보익해야 한다. 오미자 파극 육총용 토사자 인삼 백출 숙지황 골쇄보 회향 모려 용골 복분자 익지인을 각 등분하여 가루내어 꿀로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30알을 미음으로 하루 세 번 먹고 허가 심하면 팔물탕(처방은 아래를 보라)을 먹는다.(동원)
【補眞玉露丸】治陽虛精脫不禁 白茯苓 白龍骨水飛 韭子酒浸炒 兎絲子酒浸煮 各等分 爲末蜜丸梧子大 每50丸 空心溫酒 或塩湯呑下後 以美饍壓之 宜火日修合(寶鑑).
【보진옥로환】양이 허해서 정액이 흘러나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복령 백용골은 수비하고 구자는 주침해서 초하고, 토사자는 주침하여 삶아서 등분해서 가루내어 꿀로 오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50알을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삼킨 후에 좋은 반찬으로 내려가게 한다. 응당 화일에 약을 만드는 것이 좋다.(보감).
【桂枝龍骨牡蠣湯】治失精 桂枝 白芍藥 龍骨煆 牡蠣煆 生薑 各120g 甘草75g 大棗12枚 右剉 以水七升 煮至三升 分三服(仲景).
【계지용골모려탕】암 때난 정이 나가는 것을 치료한다. 계지 백작약 용골하 모려하 생강 각120g 감초75g 대조12매를 썰어서 물 7되를 세 되가 될 때까지 끓여서 세 번으로 나누어 먹는다.(중경)
【固精丸】治腎虛精泄 能秘精收脫 知母 黃栢竝鹽水炒 各37.5g 牡蠣煆 芡實 蓮花蘂 白茯苓 遠志 各11.25g 龍骨7.5g 山茱萸18.75g 爲末山藥糊和丸梧子大 朱砂爲衣 空心塩湯下50丸(心法).
【고정환】신허와 정설을 치료하고 정액을 간직하고 나오는 것을 거두어들인다. 지모 황백소금과 물로 초해서各37.5g 모려는 굽고 검실 연화예 백복령 원지 각11.25g을 용골7.5g 산수유18.75g와 가루내어 산약풀에 섞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주사를 입혀서 빈속에 소금물로 50알을 먹는다.(심법)
【芡實丸】治陽虛 未交先泄 及夢泄神效 芡仁500箇 七夕蓮花鬚 山茱萸 各37.5g 白蒺藜187.5g 覆盆子75g 龍骨18.75g 爲末 蜜丸 梧子大 空心 蓮肉煎湯 下60-70丸(入門).
【검실환】양허해서 교접 전에 선설하는 것과 몽설을 치료에 신효하다. 검인500개 칠석연화수 산수유 각37.5g 백질려187.5g 복분자75g 용골18.75g을 가루내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연육전탕으로 60-70알을 먹는다.(입문)
【鎖陽丹】治脫精 滑泄不禁 桑螵蛸灸120g 龍骨 白茯苓 各37.5g 爲末糊丸梧子大 煎茯苓塩湯 下70丸(得效).
【쇄양단】정액이 절로 나와서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상표소구120g 용골 백복령 각37.5g을 가루내어 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복령염탕을 끓여 70알을 먹는다.(득효)
【玉鎖丹】治精氣虛滑 遺泄不禁 龍骨 蓮花蘂 芡仁 烏梅肉 各等分 爲末山藥糊和丸小豆大 空心米飮下30丸(得效).
【옥쇄단】정기가 허활하고 정액이 계속 나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용골 연화예 검인 오매육 각등분하여 가루내어 산약풀로 팥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미음으로 30알을 먹는다.(득효)
【秘元丹】治精不禁危急者 龍骨酒煮焙 靈砂水飛 各37.5g 砂仁 訶子小者煨取肉 各18.75g 爲末糯米糊和丸 綠豆大 溫水 下15~30丸(丹心).
【비원단】유정이 그치지 않아 위급한 것을 치료한다. 용골 술로 삶아서 불에 쬐고 영사는 수비해서 각37.5g 사인 가자는 약간 삶아구워고기를 취한 것 각18.75g을 가루내어 찹쌀풀로 녹두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물로 15-30알을 먹는다.(단심)
【約精丸】治小便中泄精不止 新韭子霜後採者600g 酒浸一宿焙 白龍骨75g 爲末酒調糯米粉 爲糊和丸梧子大 空心鹽湯下30丸(直指).
【약정환】소변 중에 정이 흘러서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신구자는 서리 맞은 후에 채취한 것600g을 주침하여 하루 밤을 불에 쬐고, 백용골75g과 가루내어 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소금물로 30알을 먹는다.(직지)
【九龍丹】治精滑 枸杞子 金櫻子 山楂子 蓮子 蓮花蘂 熟地黃 芡仁 白茯苓 當歸 各等分 爲末酒麵糊和丸梧子大 空心溫酒或鹽湯下50丸 如精滑便濁者服2~3日 尿淸如水 飮食倍常 行步輕健(正傳).
【구룡단】정액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구기자 금앵자 산사자 연자 연화예 숙지황 검인 백복령 당귀를 각등분해서 가루내어 술과 밀가루를 섞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50알을, 정액이 절로 나오며 소변이 탁한 사람도 2-3일 복용하면 소변이 물처럼 맑아지고 먹는 것이 보통 때의 배가 되고 행보가 가볍고 건강해진다.(정전)
【治小便白濁出隨條方】酸棗仁炒 白朮 人蔘 白茯苓 破故紙 益智仁 茴香 牡蠣煆 各等分 爲末 加靑鹽酒糊和丸梧子大 空心溫酒或米飮下30丸(心法).
【치소변백탁출수조방】산조인은 초하고 백출 인삼 백복령 파고지 익지인 회향 모려달군 것을 각 등분해서 가루내고 청람을 더해서 주호에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미음으로 30알로 먹는다.(심법)
白淫 <內經>(痿論篇 第四十四)曰 思想無窮 所願不得 或入房太甚 宗筋弛縱 發爲筋痿 及爲白淫.
백음 내경왈, 생각이 한이 없어도 생각대로 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하여 종근이 늘어져버려서 근위증과 백음증이 된다.
○ <張子和>曰 莖中作痛 痛極則痒 或陰莖挺縱不收 或出白物如精隨溲而下 得之於房室勞傷 及邪術所使 宜以降心火之劑下之 宜服瀉心湯方見五藏 淸心蓮子飮方見 消渴.
○ 장자화에 왈, 음경 속이 아프고 또 몹시 아프다가 가려우며 음경이 늘어져서 일어나지 못하거나 정액 같은 흰 물이 흘러나오는 것은 방사가 지나쳐서 몸이 상했거나 사술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 마땅히 심화를 내리는 약제를 써야 하는데 사심탕(처방은 오장을 보라) 청심연자음(처방은 소갈을 보라)을 써야 한다.
○ 白淫 宜珍珠粉丸方見上 金箔丸 白龍丸.
○ 백음에는 마땅히 진주분환(처방은 위를 보라) 금박환 백룡환을 쓴다.
○ 白淫 宜與精滑脫條 同參治之.
○ 백음에는 마땅히 마땅히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조항을 참고해서 치료한다.
【金箔丸】治白淫 亦治夢泄 晩蠶蛾炒 破故紙炒 韭子炒 牛膝酒浸 肉蓯蓉酒浸 龍骨 山茱萸 桑螵蛸灸 兎絲子酒浸 各37.5g 爲末蜜丸梧子大 空心酒下30丸(寶鑑).
【금박환】치백음을 치료하고 몽설도 치료한다. 만잠아초 파고지초 구자초 우슬주침 육총용주침 용골 산수유 상표소구 토사자주침 각37.5g 가루내어 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술로 30알을 먹는다.
【白龍丸】治虛勞 腎損 白淫 滑泄 鹿角霜 牡蠣煆 各75g 龍骨生37.5g 爲末 酒麵糊和丸 梧子大 空心 溫酒 鹽湯 下30~50丸 不惟治遺精 且能固精壯陽 神效(醫鑑).
【백룡환】허로로 신기가 상해서 생긴 백음 몽설을 치료한다. 녹각상 모려하 각75g 용골생37.5g 가루내엉 술과 밀가루풀을 섞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30-50알을 먹는다. 오직 유정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또 능이 정액을 간직하고 양기를 세게 하는 데 신효하다.(의감)
濕痰滲爲遺精 宜服加味二陳湯 及樗根白皮丸(醫鑒).
습담삼위유정 응당 가미이진탕과 저근백피환울 복용한다.(의감)
【加味二陳湯】治濕痰遺精 半夏薑製 赤茯苓鹽水炒 梔子炒黑各5.625g 陳皮 白朮 桔梗 升麻酒炒 柴胡酒炒 甘草各3.75g 石菖蒲2.625g 黃栢 知母 各1.125g 剉作 一服 生薑8g 水煎 空心服(醫鑑).
【加味二陳湯】습담과 유정을 치료한다. 반하강제 적복령염수초 치자초흑각5.625g 진피 백출 길경 승마주초 시호주초 감초각3.75g 석창포2.625g 황백 지모 각1.125g 剉썰어서 한 번 복용하는 데 생강 세 조각과 물에 끓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樗根白皮丸】治濕熱傷脾 遺精 韭子炒37.5g 白芍藥炒18.75g 黃栢 知母竝鹽水炒 牡蠣煆 各11.25g 白朮 枳實 茯苓 柴胡 升麻 各7.5g 爲末 神麴糊和丸梧子大 空心鹽湯下50丸(醫鑑).
【저근백피환】습열로 상한 비와 유정을 치료한다. 구자초37.5g 백작약초18.75g 황백 지모병염수초 모려하 각11.25g 백출 지실 복령 시호 승마 각7.5g 가루내어 약누룩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소금물로 50알을 먹는다.(의감).
補精藥餌 宜服人參固本丸 瓊玉膏 斑龍丸 地黃元 延年益壽不老丹 延齡固本丹 固眞飮子
보정약이 인삼고본환 경옥고 반룡환 지황원 연년익수불노단 연령고본단 고진음자를 복용한다.
【人蔘固本丸】補精生血方見身形
【인삼고본환】정을 보하고 피를 생기게 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瓊玉膏】生精補氣方見身形
【경옥고】生정을 생기게 하고 기를 보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斑龍丸】補精血方見身形
【반룡환】정혈을 보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地黃元】 卽 錢氏方 六味地黃元也 專補腎水能生精補精滋陰方見虛勞
【지황원】 곧 정씨 처방의 육미지황원이다. 주로 신수를 보하며 정을 생기게 하고 정을 보하기도 하며 음을 불려 준다.(처방은 허로를 보라)
【延年益壽不老丹】能生精補腎方見身形
【연년익수불노단】정기를 생기게 하고 신을 보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延齡古本丹】能補精益血氣方見身形
【延齡固本丹】能정기를 보하고 혈기를 더하게 한다.(처방은 신형을 보라)
【固眞飮子】治補氣滑脫將成勞證能補腎精滋陰方見虛勞
【고진음자】정기가 절로 흘러나와 허로증이 되려는 것을 치료하는데 신정을 보하고 음을 불려 준다.(처방을 허로를 보라)
單方 或煎服 或丸服 或作末服 或酒浸服 ○凡二十一種
단방 끓여 먹거나,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술에 담갔다가 먹는다. 21종이 있다.
地黃 : 浸汁洒酒 九蒸九曝 謂之熟地黃 不蒸曝而陰乾者 爲之生乾地黃 熟者性溫 能滋腎補血益髓塡精 生乾者 性平亦能補精血 丸服酒浸服皆佳本草
지황 : 즙에 담갔다가 술을 뿌려 구증구포한 것을 숙지황이라 하고, 증포하지 않고 음건한 것을 생건지황이라 한다. 숙지황은 성질이 따뜻하고 신기를 늘리고 혈을 보하고 골수를 다하고 정을 채워준다. 생건지황은 성질은 평순하며 역시 정혈을 보하고 한으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갔다가 먹어도 다 좋다.(본초)
兎絲子 : 添精益髓 治莖中寒精自出 亦治鬼交泄精 爲末服作丸服皆佳(本草).
토사자 : 정기를 더해주고 골수를 더하며, 음경 속이 찬 것과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헛것과 교접하여 정액을 흘리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복용하는 것, 환을 지어 복용하는 것이 다 좋다.(본초)
肉蓯蓉 : 益精髓 治男子泄精 又治精敗面黑 肉蓯蓉150g 水煮令爛細硏 入精羊肉 分爲四度 和五味 及米煮粥 空心服本草
육총용 : 정수를 더하고 남자의 정액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고 정액이 부패하여 얼굴이 검게 된 것을 치료한다. 육총용150g 水을 물에 끓여 보드랍게 잘 간 것에 양의 살코기를 넣어서 넷으로 나누어 양념과 쌀을 섞어 죽을 쑤어 빈속에 먹는다.(본초)
五味子 : 益男子精本草
오미자 : 男남자의 정을 보한다.(본초)
【五味子膏】澁精氣 治夢遺滑脫 五味子600g 洗淨水浸一宿 挼取汁去核以包濾過入鍋內 入冬蜜120g 慢火熬成膏 取1~2匙 空心白湯 調服(本草).
【오미자고】정액이 잘 나가지 않게 하는데 몽유와 유정을 치료한다. 오미자600g 깨끗한 물에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갔다가 주물러서 베자루로 즙을 짜고 씨를 버리고 노구솥에 넣고 겨울에 딴 꿀 120g을 넣고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고를 낸다. 한두 숟갈을 빈속에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何首烏 : 益精髓 取根米泔浸一宿 竹刀 刮去皮 黑豆汁拌曝乾爲末和酒服 或蜜丸服皆佳(入門).
하수오 : 정수를 더해준다. 뿌리를 캐서 쌀뜨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대칼로 잘라 껍질을 긇거버리고 검음콩을 달인 물에 반죽을 해서 햇변에 말려 가루내어 술에 타서 마시거나 꿀로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입문)
白茯苓 : 酒浸與光明砂同用 能秘精東垣湯液 治心虛夢泄 白茯苓細末每30g米飮調下日三(直指)
백복령 : 술에 담갔다가 광명사와 함께 쓰면 정을 굳건히 간직하게 한다.(동원탕액) 심이 허해서 몽설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봉령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매번 4전을 미음에 타서 하루 세 번 먹는다.(직지)
枸杞子 : 補益精氣 作丸服 或浸酒服 皆佳(本草).
구기자 : 정기를 보한다. 환을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서 먹는다.(본초)
金櫻子 : 澁精氣止遺泄. 和雞頭實 作水陸丹方見正傳 補眞秘精甚佳本草
금앵자 : 정액을 나가지 않게 하고 유정을 멎게 한다. 계두실(일명 검인)과 섞어서 수륙단(처방은 정전을 보라)을 지어서 먹으면 진기를 보하고 정을 간직하는 데 아주 좋다.(본초)
山茱萸 : 添益精髓 能秘精 煎服丸服亦佳(本草).
산수유 : 정과 골수를 보충하고 정액을 잘 간직하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牡蠣 : 治鬼交 泄精 又治 精滑不固 火煆醋淬七次 爲末醋糊和丸梧子大 每50丸空心鹽湯下名固眞丸東垣
모려 : 헛것과 교접해서 정액이 흐르는 것을 치료하고 또 정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달군 굴조개껍질을 식초에 담갔다 내기를 일곱 번 한 후 가루내어 식초를 넣어 쑨 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50알씩 빈속에 소금물로 먹는다. 이름이 고진환이다.(동원)
桑螵蛸 : 益精氣 又主漏精. 蒸過搗末 和米飮服 或 作丸服(本草).
상표소(사마귀알집) : 정기를 더해 주고 또 정액이 세는 것을 치료한다. 쪄내서 빻아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원잠아 : 益精氣 止泄精.灸爲末 或散 或丸服 皆佳(本草).
原蠶蛾 : 정기를 더해 주고 정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한다. 구워서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蜻蛉 : 卽蜻蜓(청정 : 고추잠자리) 止泄精. 炒爲末 或散 或丸服(本草).
청령 : 곧 고추잠자리다. 정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한다. 초하여 가루내어 그대롤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鷄頭實 卽天仁也 益精氣能秘精氣 爲末或散或丸或作粥服本草
계두실 곧 천인이다. 정기를 더해주고 정기를 간직하게 한다.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짓거나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覆盆子 主腎精虛竭酒浸蒸乾爲末或散或丸服本草
복분자 신의 정이 허하고 줄어든 것을 치료한다.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려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胡痲 : 卽黑脂麻(참깨) 塡精髓. 酒蒸半日 晒乾爲末或散或丸服 皆佳(本草).
호마 : 곧 검은 참깨로 정기와 골수를 채원준다. 술에 반일 동안 쪄서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 그래도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韭子 : 主夢泄 止泄精. 得桑螵蛸 龍骨 主漏精. 微炒爲末 或散 或丸服 皆佳(本草).
구자 : 몽설을 치료하며 세정을 멈추게 한다. 얻어서 사마귀알집과 용골을 함께 쓰면 정액이 세는 것을 치료한다. 약간 초하여 가루내서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龍骨 : 主夢泄精. 又龍骨韭子 爲泄精要藥 火煆爲末 或散或丸服(綱目).
용골 : 몽설을 치료한다. 용골과 부추씨는 정액이 흐를 때 쓰는 좋은 약이다. 불에 약간 구워서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강목)
鹿茸 : 主夢泄止泄精. 灸去毛爲末 或散或作丸皆佳(本草).
녹용 : 몽설을 치료하고 정액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한다. 구워서 털을 제거하고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黃狗肉 : 塡精髓 和五味 煮熟 空心食(本草).
황구육 : 정액과 골수를 채워주고 양념을 넣고 푹 삶아서 빈속에 먹는다.(본초)
膃肭臍 : 卽海狗腎. 主精冷 精衰. 灸爲末 或散服 或丸服 皆佳(本草).
올눌제 : 곧 해구신이다. 정액이 차거나 정기가 쇠약한 것을 치료한다. 구워서 가루내어 그대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導引法 治遺精 以手兜托外腎 一手摩擦臍輪 左右輪換 久久擦之 不惟可以止精 且可以補下元. 更擦腎兪胸前脇下涌泉 但心窩忌擦(入門).
도인법 유정을 치료하는데, 한 손으로 음경을 받들어 들고 한 손으로는 배꼽 주위를 문지르르는데 좌우로 엇바꾸어 가면서 오랫동안 문지른다. 정액이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할 뿐만 아니라 하초의 원기를 보할 수도 있다. 또 신유혈 앞가슴 옆구리 용천혈을 문지른다. 다만 명치를 문지르는 것은 금기다.(입문)
○ 又法止遺精 用短床 或蒲蘿內側 身曲腿而臥 不許伸脚 病自安(回春).
○ 또 유정을 멈추게 하는 법이다. 짧은 침대나 포단 위에 옆으로 누워서 다리를 꼬부리고 다리를 펴지 않으면 병이 저절로 낫는다.(회춘)
○ 又法夜半子時分 陽正興時仰臥 暝目閉口舌頂上⺼咢 將腰拱起 用左手中指頂在尾閭穴 用右手大指頂住無名指根拳着 又將兩腿俱伸 兩脚十指俱摳提起 一口氣 心中存想 脊背腦後上貫至頂門 慢慢直下至丹田 方將腰腿手脚 從容放下 如再行 照前而陽衰矣 如陽未衰 再行兩三遍 此法 不惟速去 先精之疾 久則水火旣濟 永無疾病矣(回春).
○ 또 한 가지 방법은 밤중 자시에 양물이 바로 일어날 때 하늘을 보고 누워서 눈을 감고 입을 다물며 혀끝을 입천장에 닿게 한다. 그리고 허리를 쳐들고 왼손 가운데손가락 끝으로 미려혈을 누르고, 오른손 엄지손가락 끝을 무명지 밑에 넣고 주먹을 쥔다. 또 양쪽 다리를 쭉 펴고 양쪽 발가락 10개를 다 세우고 숨을 한 번 들이쉰다. 이 때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를, 척추로 해서 정수리까지 올라갔다가 천천히 단전으로 내려오게 한다. 그 다음 허리와 다리, 손발을 조용히 내려놓았다가 똑같이 다시 한다. 전에 비추어서 양물이 쭈그러든다. 만일 쭈그러들지 않으면 다시 두세 번 반복한다. 이 방법은 정액이 먼저 나오는 질병을 속히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오래 되면 수화가 이미 가지런해져서 영영 질병이 없다.(회춘)
鍼灸法 遺精夢泄 心兪 白環兪 膏肓兪 腎兪 中極 關元 等穴 或鍼或灸(綱目).
침구법 유정과 몽설에는 심유 백환유 고황유 신유 중극 관원 등의 혈에 침을 놓거나 뜸을 뜨기도 한다.(강목)
○ 失精精溢 中極 大赫 然谷 大衝 等穴 皆主之(綱目)
○ 정액이 절로 나오거나 정액이 많아서 흘러넘치는 데는 중극 대혁 연곡 태충 대충 등의 혈에 주로 놓는다.(강목)
○ 虛勞失精 宜取 大赫 中封(綱目).
○ 허로로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응당 대혁 중복 혈에 놓는다.(강목)
○ 遺精五藏虛竭 灸曲骨端一穴四七壯 穴在前陰橫骨中央 曲如月中央是也(綱目).
○ 유정과 오장이 허약하고 마르는 데는 곡골 끝 한 혈에 28장의 뜸을 뜬다. 혈은 음경 위의 치골 중앙에 있다.(강목)
○ 便濁失精取腎兪 夢泄精取三陰交 各灸二七壯 神效(得效).
○ 오줌이 뿌옇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신유혈을 취하고, 몽설에는 삼음교혈에 각각 14장의 뜸을 뜨면 신효하다.(득효)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