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 내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사  (0) 2024.01.18
쓰쓰가무시 유감  (0) 2023.12.31
솟대1  (0) 2023.12.29
세월은 가고  (0) 2023.12.28
설기송  (0) 2023.12.27

'예술 > 내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쓰가무시 유감  (0) 2023.12.31
솟대2  (0) 2023.12.30
세월은 가고  (0) 2023.12.28
설기송  (0) 2023.12.27
우리 아버지  (0) 2023.12.26

臍배꼽

 

臍居一身之中

배꼽은 몸의 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臍者, 齊也. 言其上下齊也. 身之半, 正謂臍中也. 當伸臂指天, 舒足至地, 以繩量之, 則中正當臍. 天樞之穴, 正當臍兩傍各二寸, 是爲身半也. 《內經》

제는 제다. 말하자면 위아래가 같다는 말이다. 몸의 반을 일러 바로 제중이라고 한다. 팔을 하늘로 펴고 발을 펴서 땅을 디디고 끈으로 재보면 바로 한가운데 배꼽이 있다. 천추혈은 바로 각기 양옆 2치에 있고 이는 몸의 반이 된다.내경

 

臍下有丹田배꼽 아래에 단정이 있다

下丹田, 在臍下三寸, 方圓四寸, 着於脊梁, 兩腎之間. 左靑右白, 上赤下黑, 中央黃色, 名曰大海, 貯其精血. 《正理》

하단전은 배꼽 3치 아래 둘레가 4치다. 척추에 붙어 있고 두 신장 사이에 있다. 왼쪽은 푸르고 오른쪽은 희며, 위는 붉고 아래는 검고, 가운데는 누렇다. 이를 대해라 하는데 정혈을 갈무리한다.정리

十二經脉, 皆係於生氣之源. 所謂生氣之源者, 謂腎間動氣, 卽下丹田也. 此五藏六府之本, 十二經脉之根, 呼吸之門, 三焦之源也. 《難經》

12경맥은 다 생기의 근원과 이어져 있다. 생기의 근원이란 소위 신간의 동기를 이르는 것이니 곧 하단전이다. 이는 오장육부의 근본이고 12경맥의 뿌리로 호흡의 문이고 삼초의 근원이다.난경

 

煉臍延壽배꼽 단련이 수명을 늘린다

宜長生延壽丹ㆍ小接命熏臍秘方ㆍ接命丹ㆍ灸臍得延年.

장생연수단 소접명훈제비방 접명단 배꼽에 뜸을 떠서 수명을 늘이는 방법을 써야 한다.

長生延壽丹장생연수단

夫人之臍也, 受生之初, 父精母血, 相受凝結以成. 胞胎在母腹中, 母呼兒呼, 母吸兒吸, 是一身臍帶, 如花果在枝而通蔕也. 旣生之後, 從口呼吸, 臍門自閉. 旣長之後, 外耗精神, 內傷生冷, 眞氣不得條暢, 所以蒸臍固蔕, 如水灌土培, 草木自茂壯也. 人常依法熏蒸, 則榮衛調和, 安魂定魄, 寒暑不侵, 身體輕健, 其中有神妙也. 人參ㆍ附子ㆍ胡椒 各七錢, 夜明砂ㆍ沒藥ㆍ虎骨ㆍ蛇骨ㆍ龍骨ㆍ五靈脂ㆍ白附子ㆍ朱砂ㆍ麝香 各五錢, 靑鹽ㆍ茴香 各四錢, 丁香ㆍ雄黃ㆍ乳香ㆍ木香 各三錢. 右爲末, 另用白麪作條, 圈於臍上, 將前藥一料分爲三分, 內取一分, 先塡麝香末五分入臍孔內, 乃將一分藥入麪圈內, 按藥令緊, 中揷數孔, 外用槐皮一片盖於藥上, 以艾火灸之無時, 損則易壯. 其熱氣透身, 患人必倦沈如醉. 灸至五六十壯, 遍身大汗, 苟不汗則病未除, 再於三五日後又灸, 至汗出爲度. 愼風寒, 戒生冷油膩, 保養一月, 百病皆除, 益壽延年. 婦人腹冷無子, 尤宜此灸, 去麝香, 加小腦一錢. 《入門》

사람의 배꼽은 처음 생명을 받았을 때 아버지의 정과 어머니의 혈이 서로 만나 엉겨서 생긴다. 포태가 어머니의 뱃속에 있을 때 어머니가 숨을 내쉬면 태아도 숨을 내쉬고 어머니가 숨을 들이마시면 태아도 들이마신다. 배꼽이 한몸으로 묶인 것은 꽃과 과일의 꼭지가 가지로 묶여 있는 것과 같다. 이미 태어나고서는 입으로 숨을 쉬며 배꼽의 문은 저절로 닫힌다. 자란 후에는 밖으로는 정신을 소모하고 안으로는 생것이나 찬것에 상하며 진기가 뻗어나갈 수가 없다. 그래서 배꼽을 훈증해서 단단하게 이어주는 것은 물을 대고 흙은 붇돋우면 초목이 저절로 무성하게 자라는 것과 같다. 사람이 늘 법대로 훈증하면 영위가 조화롭고 혼백이 안정되어 추위와 더위가 침범하지 못하여 몸이 가볍고 튼튼해지니 그 안에 신묘함이 있는 것이다. 인삼 부자 호초 각7돈, 야명초 몰약 호골 사골 용골 오량지 백부자 주사 사향 각5돈, 청람 회향 각4돈, 정향 목향 각3돈을 가루내어 따로 밀가루를 길죽하게 반죽해서 배꼽 위에 두른다. 앞의 약들을 셋으로 나누어 하나를 먼저 사향가루5푼과 함께 배꼽 구멍 속을 메우고, 다시 하나는 밀가루를 두른 속에 넣고 약을 눌러 단단하게 하고 중간에 몇 개의 구멍을 내서 겉에는 괴피1조각으로 약을 덮고 쑥으로 무시로 뜸을 뜨되 타버리면 새것으로 바꾼다. 그 열기가 몸에 배어들면 환자는 반드시 취한 듯 몸이 가라앉고 뜸을 50-60장 뜨면 몬몸에서 땀이 많이 난다. 만약 땀이 나지 않으면 병이 제거되지 않은 것이니 다시 3-5일 후에 땀이 날 정도로 뜸을 뜬다. 풍한을 조심하고 생것 찬것 기름진 것을 피하면서 한 달 보양하면 모든 병이 없어지고 수명을 늘릴 수 있을 것이다. 부인이 배가 차서 자식이 없으면 더욱더 이 뜸을 떠야 하는데 사향을 빼고 소뇌1돈을 넣는다.입문

小接命熏臍秘方소접명운제비방

夫人賴精血而成形, 其在胞胎, 惟有臍帶與母氣相通, 隨母呼吸. 十月脫胎, 漸長成人, 七情六慾, 內外交侵, 喪失眞元, 殞軀喪命, 良可惜也. 余哀悶世人, 特傳良方, 壯固根蔕, 保護形軀, 熏蒸本源, 除却百病, 其效如神. 每年中秋日, 熏蒸一次, 却病延年. 乳香ㆍ沒藥ㆍ猳鼠糞ㆍ靑鹽ㆍ兩頭尖ㆍ續斷 各二錢, 麝香 一分. 右爲末, 令人食飽仰臥, 用蕎麥麪水和, 捏一團, 徑過寸餘, 臍大則徑二寸. 內入藥末, 安臍上, 用槐皮一片覆圈藥之上, 以豆許艾壯灸之. 百脉和暢, 冷汗如雨. 不可令痛, 痛則反泄眞氣. 灸至行年歲數而止, 無病者連日灸之, 有病則三日一次. 灸至腹內作聲作痛, 大便有涎沫等物出爲止. 只服米湯, 兼食白肉, 黃酒以助藥力. 若患風氣, 有鬱熱在腠理者, 加女子紅鉛拌藥, 則汗易出, 而疾隨愈矣. 《入門》

사람은 정혈을 받아서 형태를 이룬다. 포태 중에는 오직 탯줄을 통해서 어머니의 기와 서로 통하여 어머니를 따라 숨을 쉰다. 열 달이 되면 태를 벗고 점차 자라 성인이 되고 칠정과 육욕이 안팎으로 섞여 들어와 진원을 잃고 목숨을 잃게 되니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내가 세상 사람들을 불쌍히 여겨 특별히 좋은 처방을 전한다. 몸의 근원을 튼튼히 하고 형체를 보호하므로 근원을 훈증하면 온갖 병을 없애는 데 그 효험이 귀신 같을 것이다. 해마다 추석에 한 번 훈증하면 병을 물치치고 수명을 연장할 것이다. 유향 몰약 가서분 청람 양두첨 속단 각2돈, 사향1푼을 가루낸다. 사람을 배불리 먹여 바로눕히고 메밀가루를 물로 반죽해서 지름이 1치 조금 넘게 만드는데 배꼽이 크면 직경을 2치로 만들어 안에 약가루를 집어넣어 배꼽 위에 놓고 괴피1조각을 약 위에 덮고 콩알 만하게 뜸을 뜨면 모든 맥이 조화를 이루며 뚫려 식은 땀이 비오듯한다. 아프게 해서는 안 되며 아프게 하면 도리어 진기가 새나간다. 뜸은 나이에 맞게 뜨고 그친다. 병이 없으면 매일 뜸을 뜨고 병이 있으면 삼일에 한 번씩 뜬다. 뜸을 뜨는데 뱃속에서 소리가 나고 아프며 대변에 거품 같은 것이 있으면 그친다. 오직 미음만 먹고 아울러 기름이 없는 고기와 황주를 먹어서 약효를 돕는다. 만약 환자가 풍기가 있어 울열이 주리에 있으면 여자의 연지와 분을 넣어 약과 함께 쓴다. 그러면 땀이 쉬이 나오고 병이 따라서 낫는다.입문

 

接命丹접명단

養丹田, 助兩腎, 添精補髓, 返老還童, 却病延年. 大附子 一枚(切作八片以布包定), 用甘草ㆍ甘遂 各二兩槌碎, 燒酒二斤, 共浸半日, 文武火煮, 酒乾爲度, 取起附子, 去草遂. 加麝香三分, 槌千餘下, 分作二丸, 陰乾. 納一丸於臍中, 七日一換, 一丸則放盒內養之. 《入門》

단전을 기르고 두 신을 도우며 정수를 더해주고 노인을 젊어지게 하며 병을 없애 수명을 늘린다. 대부자1개8조각으로나누어배로싼것 감초 감수 각2냥망치로부순것을 함께 소주2근에 한나절 동안 담갔다가 적당한 불로 술이 말라 없어질 때까지 졸이고, 감초와 감수는 버린 후 부자만 골라내고 사향3푼을 넣고 절구로 천여 번을 찧어서 환을 2알 만들어 그늘에 말린다. 1알은 배꼽에 넣고 7일이 지나 바꾼다. 1알은 뚜껑이 있는 그릇에 잘 담아둔다.입문

 

灸臍得延年배꼽에 뜸을 떠서 수명을 늘림

詳見身形.

자세한 것은 신형에 있다.

 

臍宜溫煖배꼽을 따뜻하게 해야 함

宜用代灸塗臍膏ㆍ溫臍種子方ㆍ溫臍兜肚方ㆍ封臍艾.

대구도제고 온제종자방 온제두두방 종제애를 써야 한다.

代灸塗臍膏대구조제고

治下元虛寒, 臍腹冷痛. 大附子ㆍ馬藺子ㆍ蛇床子ㆍ木香ㆍ肉桂ㆍ吳茱萸 各等分. 右爲末, 入白麪, 薑汁調成膏作片, 貼臍上, 以帛包繫. 《醫林》

하원이 허한하여 배꼽부위가 차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대부자 마린자 사상자 목향 육계 오수유 같은 양을 가루내어 밀가루를 탄 생강즙에 개어서 고약을 만들어 뚝뚝 떼어내어 배꼽 위에 붙이고 비단으로 묶는다.의림

溫臍種子方온제종자방

五靈脂ㆍ白芷ㆍ靑鹽 各二錢, 麝香 一分. 右爲末, 用蕎麥粉, 水和成條圈, 安於臍上, 以前藥末實於臍中, 用艾灸之. 婦人尤宜, 但覺臍中溫煖卽止. 過數日再灸, 太過則生熱也. 《入門》

오령지 백지 청람 각2돈, 사향1푼을 가루내고, 메밀가루를 물에 개서 걸죽하게 만들어 배꼽 위에 두른 후 앞의 약 가루를 배꼽 속에 채우고 쑥뜸을 뜬다. 부인에게 더욱 좋다. 다만 배꼽이 따뜻해지면 바로 그치고 며칠 지나서 다시 뜬다. 지나치면 열이 생긴다.입문

溫臍兜肚方온제두두방

專主痞積, 遺精白濁, 婦人赤白帶下, 經脉不調, 久不受孕. 白檀ㆍ羚羊角 各一兩, 零陵香ㆍ沈香ㆍ白芷ㆍ馬兜鈴ㆍ木鱉子ㆍ甘松ㆍ升麻ㆍ血竭 各五錢, 丁香皮 七錢, 麝香 九分. 右爲末, 分作三分, 每用一分, 以熟艾, 絮綿裝白綾兜肚內. 初服者, 每三日後一解, 至第五日又服, 一月後常服之. 《入門》

비적, 소변에 정이 새서 부연 것, 부인의 적백대하나 월경이 고르지 못한 것, 오래 임신하지 못한 것을 주로 치료한다. 백단 영양각 각1냥, 영릉향 침향 백지 마두령 목별자 감송 승마 혈갈 각5돈, 정향피7돈 사향9푼을 가루내어 3부분으로 나눈다. 하나씩 묵힌 쑥과 솜을 함께 흰 비단에 넣어 배를 감싼다. 처음에는 삼일에 한 번씩 풀었다가 오일이 되면 다시 두르고 한달 후에는 늘 두른다.입문

封臍艾봉제애

治臍腹冷痛, 或泄瀉. 陳艾葉ㆍ蛇床子 各一兩, 木鱉子 二箇(帶殼生用). 右爲末, 和勻, 用綿包裹, 安在臍上, 以紙圈圍定, 以熨斗火熨之爲妙. 《醫林》

배꼽부위가 차고 아프거나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묵은 애엽 사상자 각1냥, 목별자2개껍질째생것를 가루내어 고루 섞어 솜에 싸서 배꼽 위에 놓은 후 종이로 주위를 둘어 고정하고 인두로 찜질하면 신묘하다.의림

 

臍築證제축증

臍築湫痛, 命將難痊. 湫者, 深也. 盖臍爲生氣之源, 築痛者, 生氣已絶也. 《仲景》

배꼽이 뛰며 심하게 아픈 것으로 목숨을 보전하기 어렵다. 추란 심하다는 뜻이다. 배꼽은 생기의 근원이므로 뛰면서 아프면 생기가 끊어진 것이다.중경

臍下築者, 腎氣動也. 理中湯方見寒門, 去朮, 加桂一兩. 腎惡燥, 故去朮, 恐作奔豚, 故加桂皮. 若悸者, 加茯苓一兩. 《海藏》

배꼽 밑이 뛰는 것은 신기가 움직이는 것이다. 이중탕처방은한문에있다에서 백출을 빼고 계피1냥을 넣어 쓴다. 신은 조한 것을 싫어하므로 백출을 뺀 것이고 분돈이 될까 봐서 계피를 넣은 것이다. 만약 가슴이 두근거리면 복령1냥을 넣는다.해장

白朮閉氣, 故去之, 桂瀉奔豚, 茯苓伐腎邪, 故加之. 《入門》

백출은 기를 막기 때문에 뺀 것이고, 계피는 분돈을 사하고 복령은 신사를 제거하기 때문에 넣은 것이다.입문

臍下發痛者, 腎經也. 非熟地黃不能除. 《湯液》

배꼽 밑이 아픈 것은 신경이니 숙지황이 아니면 없앨 수 없다.탕액

 

臍凶證제흉증

病人臍腫反出者, 死. 臍反出, 此爲脾先死. 《扁鵲》

환자의 배꼽이 붓고 뒤집혀 나오면 죽는다. 배꼽이 뒤집혀 나오는 것은 비가 먼저 끊어져서다.편작

水腫臍突出者, 死. 《丹心》

수종으로 배꼽이 돌출하면 죽는다.단심

凡人膿從臍中出者, 肚癰也. 《集要》

사람의 고름이 배꼽 속에서 나오는 것이 두옹이다.집요

腸癰爲病, 遶臍生瘡, 或膿從臍出. 《東垣》

장옹은 배꼽 주위로 창이 생기거나 고름이 나오는 것이다.동원

 

小兒臍瘡소아 배꼽창

詳見小兒門.

자세한 석은 소아문에 나온다.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外形篇卷之三 - 脋옆구리  (0) 2024.03.03
外形篇卷之三 - 腰허리  (3) 2024.01.01
外形篇卷之三 - 腹배  (2) 2023.12.26
外形篇卷之三 - 乳젖가슴  (0) 2023.12.16
外形篇卷之二 - 背등  (2) 2022.10.02

'예술 > 내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솟대2  (0) 2023.12.30
솟대1  (0) 2023.12.29
설기송  (0) 2023.12.27
우리 아버지  (0) 2023.12.26
불쌍한 설기  (0) 2023.12.24

'예술 > 내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솟대1  (0) 2023.12.29
세월은 가고  (0) 2023.12.28
우리 아버지  (0) 2023.12.26
불쌍한 설기  (0) 2023.12.24
산자고  (0) 2023.12.23

腹배

 

腹圍度數배둘레의 치수

𩩲骬以下至天樞, 長八寸, 天樞二穴, 正當臍兩傍各二寸. 天樞以下至橫骨, 長六寸半, 橫骨長六寸半. 《靈樞》

갈우에서 천추까지의 길이는 8치고, 양 천추혈은 바로 배꼽 양쪽으로 각각 2치 되는 곳에 있다. 천추에서 황골까지 길이는 6.5치고 황골의 길이는 6.5치다.영추

 

腹有大小윗배와 아랫배

臍之上曰大腹, 臍之下曰小腹.

배꼽의 위를 윗배라 하고 배꼽의 아래를 아랫배라 한다.

小腹, 謂臍下兩傍髎骨內也. 《內經註》

아랫배는 배꼽 아래 양쪽 곁 골반 안쪽을 말한다.내경주

脾胃主中州, 大腹小腹, 是其候也. 《類聚》

비위는 중주를 주관하니 윗배아랫배 이것이 그 징후다.유취

 

腹痛有部分복통의 부위

大腹屬太陰, 臍腹屬少陰, 小腹屬厥陰. 《入門》

윗배는 태음에 속하고 배꼽부위는 소음에 속하며 아랫배는 궐음에 속한다.입문

腹痛有部分. 中脘痛, 太陰也. 理中湯方見寒門ㆍ加味小建中湯ㆍ草豆蔲丸方見胸部之類主之. 臍腹痛, 少陰也. 四逆湯ㆍ薑附湯, 或五積散三方幷見寒門ㆍ加吳茱萸主之. 小腹痛, 厥陰也. 當歸四逆湯方見寒門ㆍ加吳茱萸主之. 《東垣》

복통에는 부분이 있는데, 중완통은 태음이니 이중탕처방은한문에있다 가미소건중탕 초두구환처방은흉부에있다 같은 부류를 주로 쓴다. 배꼽부위가 아픈 것은 소음이니 사역탕 강부탕이나 오적산세처방은모두한문에있다에 오수유를 넣은 것을 주로 쓴다. 아랫배가 아픈 것은 궐음이니 당귀사역탕처방은한문에있다에 오수유를 넣은 것을 주로 쓴다.동원

大腹痛, 多食積外邪, 臍腹痛, 多積熱痰火, 小腹痛, 多瘀血及痰與尿澁. 《入門》

윗배가 아픈 것은 대부분 식적이나 외사고, 배꼽부위가 아픈 것은 대부분 적혈이나 담화고, 아랫배가 아픈 것은 대부분 어혈 담음 요삽이다.입문

從心下至小腹, 皆硬滿而痛者, 是邪實也. 須以大陷胸湯方見寒門下之. 若小腹硬滿而痛, 小便利, 則是蓄血之證, 小便不利, 則尿澁之證也. 《正傳》

명치에서 아랫배까지 모두 단단하고 더부룩하면서 아픈 것은 사기가 실해서다. 반드시 해함융탕처방은한문에있다으로 설사를 시켜야 한다. 아랫배가 단단하고 더부룩하면서 아프면서도 소변이 잘 나오면 축혈증이고 소변이 나오지 않으면 요삽증이다.정전

 

脉法맥법

尺脉弦則腹痛. 《醫鑑》

척맥이 현하면 배가 아프다.의감

脉細小緊急, 腹中刺痛.

맥이 세소하고 긴급하면 뱃속이 찌르는 듯이 아프다.

陰弦則腹痛.

음맥이 현하면 배가 아프다.

弦急小腹痛.

현급하면 아랫배가 아프다.

尺脉緊, 臍下痛.

척맥이 긴하면 배꼽아래가 아프다.

尺脉伏或實, 小腹痛. 《脉經》

척맥이 복하거나 실하면 아랫배가 아프다.맥경

心腹痛, 不得息, 脉細小遲者生, 堅大疾者死.

명치가 아파서 숨을 쉴 수 없을 때 맥이 세소지하면 살고, 견대질하면 죽는다.

腹痛, 脉反浮大而長者死. 《脉經》

배가 아파 맥이 도리어 부대하면서 장하면 죽는다.맥경

心腹痛脉沈細宜, 浮大弦長命必殂. 《脉訣》

명치가 아프면 맥이 침세해야 하는데 부 대 현 장하면 반드시 죽는다.맥결

 

腹痛有六6가지의 복통

有寒, 有熱, 有死血, 有食積, 有痰飮, 有蟲.

한 열 사혈 식적 담음 충통이 있다.

氣, 血, 痰, 水, 食積, 風冷, 諸證之痛, 每每停聚而不散. 惟蟲痛, 則乍作乍止, 來去無定, 又有嘔吐淸沫之爲可驗焉. 《直指》

기 혈 담 수 식적 풍랭 등 여러 증으로 아픈 것은 매번 통증이 정체되어서 흩어지지 않는다. 충복통만은 잠깐 발작했다 잠깐 그쳤다가 해서 통증이 오가는 것이 일정하지 않은데 맑은 거품을 토하는 것으로 알 수있다.직지 

 

寒腹痛한복통

寒氣客於脉外則脉寒, 脉寒則縮綣, 縮綣則脉絀急, 絀急則外引小絡, 故卒然而痛, 因重中於寒則痛久矣. 《內經》

한기가 맥 밖에서 들어오면 맥이 차가워지고, 맥이 차가워지면 오그라든다. 오그라들면 맥이 구부러지고 구부러지면 밖에 있는 작은 낙맥을 당기기 때문에 갑자기 아프다. 이 때 다시 한사가 들면 통증이 오래간다.내경

寒氣客於背兪, 其兪注于心, 故相引而痛. 《內經》

한기가 배수에 들어오면 배수는 심장에 연결되어 있어서 서로 당기면서 아프다.내경

寒氣客於厥陰之脉, 則血澁脉急, 故脇肋與小腹相引痛矣. 《內經》

한기가 궐음맥에 들어오면 혈이 껄그러워 잘 흐르지 못하고 맥이 팽팽해져서 옆구리와 아랫배가 서로 당기면서 아프다.내경

寒氣客於五藏, 厥逆上泄, 陰氣竭, 陽氣未入, 故卒然痛, 死不知人, 氣復反則生矣. 《內經》

한기가 오장에 들어오면 거슬러올라 토하게 된다. 음기가 다하고 양기는 들어가지 못해서 갑자기 아프고 거의 죽게 되어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 그러나 기가 회복되면 살아난다.내경

綿綿痛而無增減者, 寒痛也. 《丹心》

계속 아프면서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것이 한통이다.단심

寒痛, 宜厚朴溫中湯ㆍ桂香散ㆍ溫胃湯方見胸部ㆍ沈香磨脾散ㆍ酒煮當歸丸方見婦人, 代灸塗臍膏方見臍部, 玉抱肚.

한통에는 후박온중탕 계향산 온위탕처방은흉부에있다 침향마비산 주자당귀환처방은부인에있다 대구도제고처방은제부에있다 옥포두법을 써야 한다.

冒寒卒痛, 五積散方見寒門, 加吳茱萸ㆍ葱白. 《入門》

추위에 떨어서 갑자기 아프면 오적산처방은한문에있다에 오수유 총백을 넣어 쓴다.입문

厚朴溫中湯후박온중탕

治客寒犯胃, 心腹虛冷脹痛. 乾薑(炮) 二錢, 厚朴ㆍ陳皮 各一錢半, 赤茯苓ㆍ草豆蔲(煨) 各七分, 木香ㆍ甘草(灸) 各五分. 右剉, 作一貼, 入薑 三片, 棗 二枚, 水煎服.

추위가 위를 침범해서 명치부위가 허랭하면서 불러오르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건강습지에싸서구운것2돈 후박 진피 각1.5돈 적복령 초두구잿불에묻어구운것 각7푼 목향 감초구운것 각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戊火已衰, 不能運化, 又加客寒聚爲滿痛, 散以辛熱, 佐以苦甘, 氣溫胃和, 痛自止矣. 《東垣》

무화가 이미 쇠하여 제대로 운화할 수 없고 또 한사가 모여 그득하면서 아프면 맵고 뜨거운 약으로 흩어주고, 쓰거나 단 약으로 도와주어 기가 따뜻해지고 위가 조화롭게 되면 통증이 저절로 멎는다.동원

桂香散계향산

治脾藏久冷腹痛. 草豆蔲(煨)ㆍ良薑(炒)ㆍ白朮ㆍ縮砂ㆍ甘草(灸)ㆍ生薑煨(切)ㆍ厚朴(薑製)ㆍ大棗肉 各一兩, 靑皮(炒)ㆍ訶子肉 各五錢, 肉桂 二錢半. 右剉, 水一椀同煮令乾, 杵作團, 硏爲麄末, 每三錢, 沸湯入鹽少許, 點服, 空心. 腹痛最難得藥, 此特工止痛, 理不可知. 《得效》

비장이 오랫동안 냉해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초두구잿불에묻어구운것 양강볶은것 백출 축사 감초구운것 생강잿불에묻어구운뒤썬것 후박생강즙에담갔다가말린것 대추살 각1냥 청피볶은것 가자육 각5돈 육계2.5돈을 썰어서 물1사발을 붓고 함께 물이 마를 때까지 졸인 후 찧어서 둥근 덩어리를 만들고 거칠게 갈아서 3돈씩 끓는 물에 소금 약간을 넣어서 빈속에 타 먹는다. 복통은 약을 얻기가 아주 어려운데 이 약은 통증을 아주 잘 멎게 하는 이유는 잘 모르겠다.득효

沈香磨脾散침향마비산

治脾胃虛寒, 腹中脹痛. 藿香 一錢, 丁香ㆍ白檀ㆍ木香ㆍ白豆蔲ㆍ縮砂ㆍ半夏麴ㆍ辢桂ㆍ烏藥 各七分, 甘草(灸) 五分, 人參ㆍ沈香 各三分. 右剉, 作一貼, 入薑 三片, 棗 二枚, 水煎服. 《直指》

비위가 허한해서 뱃속이 불러오르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곽향1돈 정향 백단 목향 백두구 축사 반하국 육계매운것 오약 각7푼 감초구운것5푼 인삼 침향 각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를 넣고 물에 달여서 먹는다.직지

 

玉抱肚法옥포두봅

治心腹冷痛. 鍼砂四兩炒似烟出, 入白礬 五錢, 䃃砂ㆍ粉霜 各半錢. 右新水拌勻微濕, 裹以皮紙, 貼安懷中, 候熱發, 置臍中, 或氣海, 關元, 大補元氣. 置于他冷處, 亦汗出立差. 此藥燥則不熱, 再以新水拌再熱, 可用十餘次. 如藥力盡, 却曬乾, 再入礬末, 則如舊. 或只用鍼砂ㆍ白礬亦效. 《資生》

명치부가 차갑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침사4냥을 연기가 날 정도로 볶고 백반5돈 망사 분상 각0.5돈을 넣은 다음 이것을 새로 길어온 물에 넣고 고루 섞어 약간 축축해지면 피지로 싸서 가슴속에 붙인다. 열이 나면 배꼽이나 기해혈 관원혈에 붙여서 크게 원기를 보하며 차가운 곳에 붙여 땀을 내도 곧 낫는다. 이 약이 말라 열이 나지 않으면 다시 새로 길어온 물에 섞고 다시 뜨겁게 하여 10여 차례 사용한다. 약기운이 다하면 볕에 쬐어 말려서 백반가루를 넣으면 전과 같아지는데 혹 침사와 백반을 써도 효과가 있다.자생

 

熱腹痛열복통

熱氣留於小腸, 小腸中痛, 癉熱焦渴, 則堅乾不得出, 故痛而閉不通矣. 《內經》

열기가 소장에 머무르면 소장 속이 아프고, 열이 심하여 바싹 말라 굳게 건조해져 나오지를 않으므로 아프고 막히는 것이다.내경

時痛時止者, 熱也. 《丹心》

때로는 아프다가 때로는 멎었다가 하는 것이 열이다.단심

腹中常覺有熱, 而暴痛暴止, 此爲積熱, 宜調胃承氣湯方見寒門下之. 《正傳》

뱃속에 늘 열감이 있으면서 갑자기 아팠다가 갑자기 멎는 것은 열이 쌓였기 때문이다. 조위승기탕처방은한문에있다으로 설사를 시켜야 한다.정전

積熱腹痛, 時作時止, 痛處亦熱, 手不可近, 便閉喜冷, 宜調胃承氣湯ㆍ四順淸涼飮方見火門. 《入門》

적열복통은 때때로 발작하고 때때로 멎는데 아픈 곳에서 열이 나서 손을 댈 수 없고, 변이 막히고 찬것을 좋아한다. 조위승기탕 사순청량음처방을화문에있다을 써야 한다.입문

熱痛, 宜黃芩芍藥湯方見大便.

열통에는 황금작약탕처방은대변에있다을 써야 한다.

 

死血腹痛사혈복통

瘀血腹痛有常處, 或跌撲傷損, 或婦人經來, 産後惡瘀未盡下而凝, 四物湯方見血門, 去地黃, 加桃仁ㆍ大黃ㆍ紅花. 《入門》

어혈복통은 늘 아픈 곳이 있는데, 넘어지거나 맞아서 손상을 입었거나 부인이 월경을 하게 되거나 산후에 어혈이 다 나오지 않고 엉겨서 생긴다. 사물탕처방은혈문에있다에서 지황을 빼고 도인 대황 홍화를 넣어 쓴다.입문

其痛有常處而不移動者, 是死血也. 《丹心》

아픈 곳이 늘 일정하며 옮겨가지 않는 것은 사혈이다.단심

如打撲墜墮而腹痛, 乃是瘀血. 宜桃仁承氣湯方見寒門, 加當歸ㆍ蘇木ㆍ紅花, 入童便幷酒煎服下之. 《丹心》

두들겨맞거나 떨어져서 아픈 것은 어혈이 있어서다. 도인승기탕처방은한문에있다에 당귀 소목 홍화를 넣고 아이오줌과 술을 함께 넣어서 달여 먹여 설사를 시켜야 한다.단심

血痛, 宜失笑散方見婦人ㆍ消瘀飮ㆍ萬靈散.

혈통에는 실소산처방은부인에있다 소어음 만령산을 써야 한다.

消瘀飮소어음

治瘀血腹痛. 當歸ㆍ赤芍藥ㆍ生乾地黃ㆍ桃仁ㆍ紅花ㆍ蘇木ㆍ大黃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 作一貼, 水煎去滓, 入芒硝一錢, 溫服. 《醫鑑》

어혈복통을 치료한다. 당귀 적작약 생건지황 도인 홍화 소목 대황 각1돈, 감초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찌꺼기는 제거하고 망초1돈을 넣어 데워서 먹는다.의감

萬靈散만령상

治婦人小腹痛, 小便淋澁, 是血也, 氣也, 熱也, 或大小産後, 遺經敗血所致. 當歸 一兩, 乾地黃 六錢, 桂心ㆍ蓬朮 各五錢, 木香 三錢. 右爲末, 每二錢, 空心, 熱酒下二錢. 《類聚》

부인이 아랫배가 아프고 소변이 찔끔거리는 것은 혈 기 열, 혹은 출산이나 유산 후에 경맥에 패혈이 남아서다. 당귀1냥 건지황6돈 계심 봉출 각5돈, 목향3돈을 썰어서 가루내어 2돈씩 빈속에 뜨거운 술2돈으로 먹는다.유취

 

食積腹痛식적복통

脉弦者, 食積痛, 宜溫散之. 《丹心》

맥이 현한 것은 식적통이므로 따뜻하게 해서 흩어주어야 한다.단심

在上者, 多屬食, 食能作痛, 宜溫散之. 如乾薑(炒)ㆍ蒼朮ㆍ川芎ㆍ白芷ㆍ香附ㆍ薑汁之類, 不可妄用峻利藥攻下. 盖食得寒則凝, 得熱則化, 更兼行氣快氣藥助之, 無不愈者. 《丹心》

위에 있는 것은 대부분 식적통에 속한다. 식적으로 아프면 따뜻하게 해서 흩어주어야 한다. 건강볶은것 창출 천궁 백지 향부자 생강즙 같은 것들을 써야지, 함부로 강하게 설사시키는 약을 써서는 안된다. 음식물은 한기를 만나면 엉기고 열기를 만나면 소화가 되기에 기를 잘 돌게 하는 약을 함께 쓰면 낫지 않는 것이다.단심

痛甚欲大便, 利後痛減者, 是食積也. 《丹心》

통증이 심하면서 대변을 누고 싶고 설사한 후에 통증이 줄어드는 것은 식적이다.단심

食積痛, 平胃散方見內傷, 加山査ㆍ神麴ㆍ麥芽ㆍ縮砂ㆍ靑皮, 或加味二陳湯方見痰飮調之, 木香檳榔丸, 或利氣丸下之. 《入門》

식적통에는 평위산처방은내상에있다에 산사 신국 맥아 축사 청피를 넣거나, 가미이진탕처방은담음에있다으로 조리하거나 목향빈랑환을 쓰거나 이기환으로 설사를 시켜야 한다.입문

食物塡塞心胸作痛, 宜吐之, 用瓜蔕散方見吐門ㆍ薑鹽湯. 《入門》

음식물이 가슴에 가득차서 아프면 과체산처방은토문에있다 강염탕을 써서 토하게 해야 한다.입문

食積腹痛, 宜服丁香脾積丸. 《丹心》

식적복통에는 정향비적환을 먹어야 한다.단심

木香檳榔丸목향빈랑환

治食積, 氣滯腹痛. 麥芽 七錢, 枳實 六錢, 白朮ㆍ靑皮ㆍ陳皮 各五錢, 厚朴 四錢, 木香ㆍ檳榔 各三錢. 右爲末, 蒸餠和丸梧子大, 溫水下五七十丸. 《正傳》

식적으로 기체가 되어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맥아7돈 지실6돈 백출 청피 진피 각5돈 후박4돈 목향 빈랑 각3돈을 가루내어 증편에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물로 50-70알을 먹는다.정전

利氣丸이기환

治食積, 酒毒, 幷一切氣滯, 大小便秘澁. 大黃(生)ㆍ黑牽牛(頭末) 各二兩, 香附子(炒) 一兩三錢, 黃柏 一兩, 木香ㆍ檳榔ㆍ枳殼ㆍ靑皮ㆍ陳皮ㆍ蓬朮ㆍ黃連 各三錢. 右爲末, 水丸梧子大, 淡薑湯呑下百丸. 《醫鑑》

식적 주독이나 모든 기체로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생것 흑견우처음가루 각2돈, 황백1냥 목향 빈랑 지각 청피 진피 봉출 황련 각3돈을 가루내어 물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묽은 생강탕으로 100알씩 삼킨다.의감

丁香脾積丸정향비적환

治食積氣滯, 胸滿腹痛. 三稜ㆍ蓬朮 各七錢, 靑皮 三錢半, 良薑(醋煮)ㆍ丁香ㆍ木香ㆍ巴豆霜 各一錢七分, 皂莢 一片(燒灰), 百草霜 一匙. 右爲末, 糊丸麻子大, 白湯下二三十丸. 《東垣》

식적으로 기체가 되어 가슴이 그득하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삼릉 봉출 각7돈, 청피3.5돈 양강식초에달인것 정향 목향 파두상 각1.7돈, 조협1조각태운재 백초상1숟가락을 가루내어 풀로 삼씨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20-30알씩 먹는다.동원

 

痰飮腹痛담음복통

凡腹痛脉滑者, 是痰, 宜導痰解鬱. 《丹心》

배가 아프면서 맥이 활하면 이는 담이니 담을 삭히고 울체를 해소해야 한다.단심

淸痰多作腹痛, 川芎ㆍ蒼朮ㆍ香附ㆍ白芷, 爲末, 薑汁和湯點服. 《丹心》

청담으로 배가 자주 아프면 천궁 창출 향부 백지를 가루내서 생강즙에 타서 먹는다.단심

痰痛者, 必小便不利. 又云, 痛則小便不利者, 痰也. 《丹心》

담으로 아프면 꼭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다. 또 말하기를 아프면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이 담이라 했다.단심

濕痰, 阻滯氣道而作痛, 宜芎朮散. 淸痰作痛, 胸腹有聲, 宜控涎丹方見痰飮. 《入門》

습담이 기의 길을 막아서 아프면 궁출산을 써야 하고, 청담으로 아프면 가슴과 배에서 소리가 나며 공연단처방을담음에있다을 써야 한다.입문

或曰, 痰豈能作痛, 殊不知氣鬱則痰聚, 痰聚則碍氣道, 不得運行故作痛. 宜芎夏湯方見痰飮ㆍ四合湯.

누군가가, 담이 어찌 아프게 할 수 있겠는가? 기가 뭉치면 담이 몰리고, 담이 모이면 기의 길을 막아서 운행을 못하게 하기 때문에 아픈 것을 전혀 알지 못하고 하는 말이라 했다. 당연히 궁하탕처방은담음에있다 사합탕을 써야 한다.

芎朮散궁출산

治痰積腹痛. 川芎ㆍ蒼朮ㆍ香附ㆍ白芷 各等分. 右爲末, 薑汁磨木香點熱湯, 調下二錢. 《入門》

담적으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궁 궁출 향부 백지 같은 양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목향을 갈아서 뜨거운 물에 2돈씩 타서 먹는다.입문

四合湯사합탕

治痰積, 氣滯腹痛. 陳皮ㆍ半夏 各一錢半, 厚朴ㆍ枳殼ㆍ赤茯苓ㆍ紫蘇葉ㆍ香附子ㆍ鬱金 各七分, 甘草 五分. 右剉, 作一貼, 薑 五片, 水煎服. 《醫鑑》

담적과 기체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진피 반하 각1.5돈, 후박 지각 적복령 자소엽 향부자 울금 각7푼, 감초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각5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蟲腹痛충복통

詳見蟲門.

자세한 것을 충문에 있다.

 

腹痛有虛實복통유허실

凡腹痛, 按之痛者爲實, 按之不痛爲虛. 《醫鑑》

배가 아플 때 눌러서 아프면 실증이도, 눌러서 아프지 않으면 허증이다.의감

腹痛, 按之痛, 重按却不痛者, 此是氣痛, 乃虛寒證也. 若重按愈痛而堅者, 有積也. 《資生》

배가 아플 때 누르면 아프고 깊이 누르면 아프지 않은 것은 기통으로 허증이다. 깊이 눌러서 더욱 아프고 단단하면 적이다.자생

腹痛時, 有積者, 按之痛愈甚, 無積者, 按之不痛. 《易老》

배가 아플 때 적이 있으면 누를 때 더욱 심하게 아프고 적이 없으면 눌러도 아프지 않다.역로

凡腹痛大便利, 或用手重按之不痛者, 爲虛爲寒, 宜加味小建中湯方見胸部, 加桂ㆍ理中湯方見寒門之類. 其或大便堅, 或用手按之痛甚, 手不可近者, 爲實爲熱, 宜大柴胡湯ㆍ調胃承氣湯幷見寒門之類. 《入門》

배가 아프면서 설사를 하거나 손으로 깊이 눌러서 아프지 않은 것은 허증이나 한증이니, 당연히 가미소건중탕처방은흉부에있다에 계지를 넣거나, 이중탕처방은한문에있다 같은 것을 써야 한다. 혹 대변이 단단하거나 손으로 눌러서 많이 아파서 손을 댈 수 없는 것은 실증이나 열증이니 당연히 대시호탕 조위승기탕둘다한문에있다 같은 것을 써야 한다.입문

腎虛則胸中痛, 大腹小腹痛, 淸厥, 意不樂. 《內經》

신이 허하면 가슴속이 아프고 윗배와 아랫배가 아프며 손발이 차고 마음이 즐겁지 않다.내경

寒氣客於經脉之中, 與炅氣相薄則脉滿, 滿則痛而不可按也. 《內經》

한기가 경맥 속에 들어와 경기와 서로 부딪치치면 맥이 그득해지고 그득해지면 아파서 누르지 못한다.내경

寒氣客於俠脊之脉則深, 按之不能及, 故按之無益也. 《內經》

한기가 척추 옆의 맥으로 들어온 것은 깊어서 눌러도 미치지 못하므로 눌러도 소용이 없다.내경

壯實與初病宜下, 宜備急丸方見救急之類, 虛弱與久病宜和, 宜建中湯方見虛勞之類. 《入門》

몸이 튼튼하거나 병의 초기에는 설사를 시켜야 하니 당연히 비급환처방은구급에있다 같은 것을 쓰고, 허약하거나 오래되었으면 조화를 시켜야 하니 당연히 건중탕처방은허로에있다 같은 약을 써야 한다.입문

 

積冷腹痛적냉복통

有一田夫, 醉飽露宿一枕天明, 自此脾疼攻刺, 百藥罔功. 淹淹數載後, 遇至人, 授以和劑抽刀散, 溫酒調下, 數服頓愈. 則知風露之根入胃. 良薑ㆍ菖蒲, 爲能散其邪, 巴猫借氣, 爲能伐其根也. 故有如是之驗焉. 《直指》

어떤 농부가 취하고 배불리 먹고는 날이 밝도록 길거리에서 자고 나서 배가 찌르는 듯이 아픈데 온갖 약이 효과가 없었다. 그렇게 여러 해가 지나 지인을 만나 화제추도산을 받아서 따뜻한 물에 타서 두세 번 먹고는 나았다. 바람과 이슬의 뿌리가 위에 침범해 들어간 것을 알 수 있었다. 좋은 생강 창포는 사기를 흩을 수 있고 파두와 반묘의 기운을 빌어 그 뿌리를 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처럼 효험이 있었다.직지

和劑抽刀散화제추도산

治積冷腹痛. 白薑 五兩, 入巴豆肉 二錢二分(半同炒黑, 去巴豆), 良薑 五兩(入斑猫二十五箇同炒黑, 去斑猫), 石菖蒲 五兩(不炒), 糯米 六兩(炒黃). 右爲末, 每二錢, 溫酒調下. 《直指》

적랭복통을 치료한다. 파두육을 넣은 백강5냥껍질을벗기고말린것을파두육2.25돈을넣고함께검게볶아서파두는버린것, 석창포5냥볶지않은것 찹쌀6냥누렇게볶은것을 가루내어 2돈씩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직지

 

腹痛嘔泄복통으로 인한 구토와 설사

寒氣客於腸胃, 厥逆上出, 故痛而嘔也. 《內經》

한기가 위장에 들어오면 거슬러올라 나와서 아프면 토한다.내경

寒氣客於小腸, 小腸不得成聚, 故後泄腹痛矣. 《內經》

한기가 소장에 들어오면 소장은 모을 수가 없어서 설사를 하고 배가 아프다.내경

太陰傳少陰, 腹痛甚者, 當變下利不止. 《東垣》

태음에 소음이 전해져서 배가 심하게 아프면 당연히 설사가 멎지 않는다.동원

腹痛作嘔, 欲利大便, 諸藥皆吐. 惟蘇感元方見胸部, 用薑湯呑下, 最妙. 《直指》

복통으로 구토하거나 설사를 할 때 어떤 약을 써도 다 토하면 소감원처방은흉부에있다을 생강 달인 물에 먹는다.직지

腹痛嘔泄, 宜理中湯ㆍ治中湯幷見寒門.

배가 아프면서 구토를 하거나 설사를 하면 이중탕 치중창둘다한문에있다을 써야 한다.

上熱下寒, 腹痛嘔吐, 宜黃連湯. 《入門》

상열하한으로 배가 아파 구토를 하면 황련탕을 써야 한다.입문

黃連湯황련탕

腹痛欲嘔吐者, 上熱下寒也. 以陽不得降, 而胸熱欲嘔, 陰不得升, 而下寒腹痛, 是升降失常也. 黃連 二錢, 人參 一錢半, 半夏 一錢二分, 乾薑ㆍ桂枝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 作一貼, 入薑 三片, 棗 二枚, 水煎服. 《河間》

배가 아프고 구토가 나려고 하는 것은 상열하한이다. 양이 내려오지 못해서 가슴에 열이 뭉쳐 구토하려 하고, 음이 올라가지 못해서 하부가 차면서 배가 아픈 것이다. 이것은 승강이 상도를 잃은 것이다. 황련2돈 인삼1.5돈 반하1.2푼 건강 계지 각1돈 감초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하간

 

腹中窄狹복중착협뱃속이좁아지는것

乃濕痰濁氣, 攻於心脾二藏, 升降失常, 以致自覺腹中窄狹.

습담의 탁기가 심비를 공격해서 오르내리지 못하게 되면 뱃속이 좁아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肥人, 乃濕痰流灌藏府, 宜二陳湯, 加蒼朮ㆍ香附.

살찐 이는 습담이 장부로 흘러들어가니 이진탕에 창출 향부를 넣어서 써야 한다. 

瘦人, 乃濕熱熏蒸藏府, 宜二陳湯, 加黃連ㆍ蒼朮.

마른 이는 습열이 장부를 훈증하니 이진탕에 황련 창출을 넣어서 써야 한다.

神昏性躁, 心神不斂者, 二陳湯, 加遠志ㆍ麥門冬ㆍ酸棗仁. 血氣虛者, 宜以六君子湯方見痰飮, 加芎歸, 養血流濕, 自然平復. 《入門》

정신이 혼미하고 성질이 조급해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면 이진탕에 원지 맥문동 산조인을 넣고, 혈기가 허하면 육군자탕처방은담음에있다에 천궁 당귀를 넣어 혈을 기르고 습을 흐르게 하면 자연히 회복된다.입문

腹中窄狹, 須用蒼朮. 《丹心》

뱃속이 좁아지면 반드시 창출을 써야 한다.단심

 

 

腹皮麻痺或痛뱃가죽이 마비되거나 아픈 것

腹皮麻痺不仁, 多煮葱白吃之, 自愈. 《綱目》

뱃가죽이 마비되어 감각이 없으면 총백을 많이 달여 먹으면 저절로 낫는다.강목

肚皮痛者, 由腎虛不能行水, 加之酒麪無度, 酒與水交, 聚於腹中, 而麪毒復纏滯其氣, 是以水滲於肚皮而作痛矣. 以錢氏宣風散方見小兒, 用蜜水煎, 嚥下神保元方見氣門, 竢其大便流利, 後以靑木香元方見氣門一分, 安腎元方見虛勞倍之, 用二陳湯煎水, 空心, 嚥下, 脾腎氣復, 自然向安. 《直指》

뱃가죽이 아픈 것은 신이 허해서 물을 운행시키지 못하는데 술과 밀가루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다. 이는 술과 물이 뱃속에서 모이고 밀가루 독이 다시 얽어서 그 기를 막이 때문에 물이 뱃가죽에 스며들어 아프게 된 것이다. 전씨선풍산처방은소아에있다을 꿀물에 달인 것으로 신보원처방은기문에있다을 삼켜 내려보낸다. 대변이 잘 나오면 청목향원처방은기문에있다과 안신원처방은허로에있다을 1대2로 섞어 이진탕을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그러면 비신의 기가 회복되면서 자연히 편안해진다.직지

 

腹中鳴뱃속에서 나는 소리

腹中鳴者, 病本於胃也. 《內經》

뱃속에서 소리가 나는 것은 병의 근본이 위에 있다.내경

脾氣虛, 則腹滿腸鳴. 《內經》

비기가 허하면 배가 더부룩하고 뱃속에서 소리가 난다.내경

中氣不足, 腸爲之苦鳴. 《靈樞》

중기가 모자라면 장에서 몹시 소리가 나게 된다.영추

腹中水鳴, 乃火擊動其水也. 二陳湯方見痰飮, 加芩連ㆍ梔子. 《丹心》

뱃속에서 물소리가 나는 것은 화가 그 물을 격동시키는 것이다. 이진탕처방은담음에있다에 할금 황련 치자를 넣어서 쓴다.단심

腸鳴者, 火欲升, 水欲降, 相擊而鳴. 《丹心》

창자에서 소리가 나는 것은 화는 올라가려 하고 수는 내려가려고 하여 서로 부딪쳐 소리가 나는 것이다.단심

亦有藏寒, 有水而鳴者, 宜五積散方見寒門, 或理中湯方見寒門, 加吳茱萸ㆍ赤茯苓. 《丹心》

오장이 춥거나 물이 있어서 소리가 날 때도 오적산처방은한문에있다이나 이중탕처방은한문에있다에 오수유 적복령을 넣어서 써야 한다.단심

 

涌水證용수증

內經曰, 肺移寒於腎, 爲涌水. 涌水者, 按之腹不堅. 水氣客於大腸, 疾行則鳴濯濯如囊裹漿, 水之病也. 宜葶藶丸. 《宣明》

내경에, 폐가 신으로 한기를 옮기면 용수가 된다. 용수는 누르면 단단하지 않고 수기가 대장에 칩입해 빨리 걸으면 물을 담은 주머니속에서 탁탁 소리가 나는데 이것을 수병이라한다고 했댜. 마땅히 정력환을 써야 한다.선명

 

葶藶丸정력환

治涌水病. 葶藶子(隔紙炒)ㆍ澤瀉ㆍ椒目ㆍ桑白皮ㆍ杏仁ㆍ猪苓 各五錢. 右爲末, 蜜丸梧子大, 葱白湯下三五十丸. 《河間》

용수병을 치료한다. 정력자종이위에놓고볶은것 택사 초목 상백피 행인 저령 각5돈을 가루내어 꿀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총백탕으로 30-50알씩 먹는다.하간

 

腹痛諸證복통의 여러 증상

疝氣腹痛, 痢疾腹痛, 積聚腹痛, 霍亂腹痛, 腸癰腹痛, 幷見諸門. 《入門》

선기복통 이질복통 적취복통 곽란복통 장옹복통은 다 그 문에 나온다.입문

 

腹痛宜通利복통은 통하게 해야 한다

凡腹痛, 大抵宜通, 塞則爲痛. 凡痛甚, 須通利藏府乃愈, 隨冷熱, 用巴豆ㆍ大黃ㆍ牽牛, 最爲要法. 《得效》

복통에는 대개 통하게 해야 하는 것은 막히면 아프기 때문이다. 심하게 아프면 장부를 잘 통하게 하면 낫는다. 냉증인가 열증인가에 따라 파두 대황 견우를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득효

初得時, 元氣未虛, 必推蕩之, 此通因通用之法也. 《丹心》

처음 아플 때는 원기가 아직 허하지 않으니 반드시 몰아내야 한다. 이것이 통할 때 통하게 하는 방법이다.단심

實痛, 宜辛寒推蕩. 經曰, 通因通用, 又曰, 痛隨利減, 是也. 《入門》

실증으로 아프면 맵고 차가운 약으로 몰아내야 한다. 경에, 통할 때는 통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고 또, 통증은 잘 통하게 하면 줄어든다고 한 것이 이것이다.입문

宜用備急丸方見救急ㆍ利氣丸方見上.

비급환처방은구급에있다 이기환처방은위에있다을 써야 한다.

 

腹痛通治복통 두루 치료법

凡腹痛, 必用溫散, 此是鬱結不行. 阻氣不運, 故痛也. 《丹心》

배가 아프면 반드시 따뜻하게 흩어야 하는 것은 기가 엉켜서 잘 돌지 않아서다. 기가 막혀 잘 돌지 않아서 아픈 것이다.단심

凡腹痛多屬血澁, 通用芍藥甘草湯, 治四時腹痛. 脉弦傷氣, 加黃芩, 脉洪傷金, 倍芍樂, 脉緩傷水, 加桂枝, 脉濇傷血, 加當歸, 脉遲傷火, 加乾薑, 臍下痛, 加熟地黃. 《入門》

배가 아픈 것은 대부분 혈삽에 속한다. 작약감초탕을 두루 써서 사계절의 복통을 치료한다. 맥이 현하면 기가 상한 것이니 황금을 넣고, 맥이 홍하면 금을 상한 것이니 작약을 2배로 쓴다. 맥이 완하면 수를 상한 것이니 계지를 넣고, 맥이 색하면 혈을 상한 것이니 당귀를 넣고, 맥이 지하면 화를 상한 것이니 건강을 넣고 배꼽 아래가 아프면 숙지황을 넣는다.입문

雜病腹痛, 通用四物苦練湯ㆍ酒煮當歸丸方見胞門ㆍ開鬱導氣湯.

잡병으로 배가 아프면 사물고련탕 주자당귀환처방은포문에있다 개울도기탕을 두루 쓴다.

芍藥甘草湯작약감초탕

白芍藥 四錢, 甘草(灸) 二錢. 右剉, 作一貼, 水煎服.

백작약4돈 감초구운것2돈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

稼穡作甘, 甘者己也. 曲直作酸, 酸者甲也. 甲己化土, 此仲景妙法也. 酸以收之, 甘以緩之. 《東垣》

곡식은 단맛이 나는데 단것은 기다. 굽거나 곧은 것은 신맛이 나는데 신맛은 갑이고 갑과 기는 화합해서 토가 된다. 이것은 중경의 묘법으로서 신맛으로 수렴하고 단맛으로 완화시키는 것이다.동원

四物苦練湯사물고련탕

通治腹痛, 亦治臍下冷痛. 四物湯方見血門, 加玄胡索ㆍ苦練子 各一錢. 右水煎服. 《丹心》

복통을 두루 치료하고 배꼽아래가 차갑고 아픈 것도 치료한다. 사물탕처방은혈문에있다에 현호색 고련자 각1돈씩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開鬱導氣湯개울도기탕

治諸般腹痛, 一服立止. 蒼朮ㆍ香附(便炒)ㆍ白芷ㆍ川芎ㆍ赤茯苓ㆍ滑石ㆍ梔子(炒)ㆍ神麴(炒) 各一錢, 乾薑(炮)ㆍ陳皮 各五分, 甘草(灸) 三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醫鑑》

여러 가지 복통을 치료한다. 한 번만 먹어도 바로 멎는다. 창출 향부동변에축여볶은것 백지 천궁 적복령 활석 치자볶은것 신국볶은것 각1돈, 건강습지에싸서구운것 진피 각5푼, 감초구운것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腹痛凶證복통흉증

太陰連小腹痛甚, 自利不止者, 難治. 《入門》

윗배에서 아랫배까지 심하게 아프고 줄줄 설사가 그치지 않으면 고치기 어렵다.입문

鼻頭色靑, 腹中痛, 舌冷者死. 《靈樞》

코끝이 푸르고 뱃속이 아프며 혀가 차면 죽는다.영추

臍下忽大痛, 人中黑色者, 多死. 《丹心》

배꼽아래가 갑자기 아프고 인중이 검게 되면 대부분 죽는다.단심

 

單方단방

凡十四種.

모두 14종이다.

鹽소금

腹脹痛, 痞悶欲死. 極醎鹽湯頓服一二椀, 吐下卽定. 《本草》

배가 부풀어오르고 아프며 답답하여 죽을 것 같은 데 쓴다. 매우 짜게 끓인 소금물을 단번에 한두 사발 마신 뒤 토하거나 설사를 하면 안정이 된다.본초

竈中熱灰조중열회부엌의뜨거운재

治心腹冷痛. 和醋熨之, 冷則易. 《本草》

명치의 냉통을 치료한다. 식초에 개어 찜질하며 식으면 갈아준다.본초

磁石자석

鐵氣入腹作痛, 以磁石杵爲末, 鋪簟席, 睡其上. 再以磁石煎湯, 調小調氣散服之效.

쇠기운이 배에 들어가서 아프면 자석을 돌절구에 가루내서 돗자리에 깔고 그 위에서 잠을 잔다. 또 자석 달인 물에 소조기산을 타서 먹으면 효험이 있다.

芍藥작약

治腹中㽲痛. 以此爲君, 甘草爲佐, 煎服之.

뱃속이 꼬이는 것처럼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이것을 군약으로 하고 감초를 좌약으로 해서 달여 먹는다.

能治血虛腹痛. 氣分諸痛不宜用也. 《丹心》

혈하복통을 치료할 수 있다. 기분의 여러 통증에는 써서는 안 된다.단심

乾薑건강

治脾冷腹痛嘔吐. 炒薑三錢, 甘草(灸)半錢. 右剉, 棗 一枚同煎服, 或爲末, 和飮服. 《直指》

비가 냉해서 배가 아프면서 구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볶은 건강3돈 감초구운것0.5돈을 썰어서 대추1개와 함께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물에 타서 먹는다.직지

艾葉애엽

心腹惡氣作痛. 擣取汁飮之, 乾則濃煎服之. 《本草》

나쁜 기운으로 명치가 아픈 데 찧어서 즙을 내서 마신다. 마른 것은 진하게 달여서 먹는다.본초

桔梗길경

主腹中滿痛. 剉, 取濃煎服之. 《本草》

뱃속이 그득하며 아픈 데 주로 쓴다. 썰어서 진하게 달여서 먹는다.본초

丁香정향

止腹中冷痛. 剉, 取水煎服, 或爲末, 點湯服. 《本草》

뱃속이 차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끓인 물에 조금씩 타서 먹는다.본초

吳茱萸오수유

主腹痛不可忍. 水煎服之. 《本草》

배가 아파서 참을 수 없는 데 주로 쓰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厚朴후박

主腹痛脹滿雷鳴. 薑製, 水煎服, 或爲末, 薑湯點服. 《本草》

배가 아프고 불풀어오르며 요란한 소리가 나는 데 주로 쓴다. 법제한 생강을 물에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생강탕에 조금씩 타서 먹는다.본초

桂皮계피

治腹內冷痛不可忍. 煎服末服幷良. 秋冬腹痛, 非桂不能止. 《湯液》

참을 수 없는 뱃속의 냉통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어도 좋고 가루내어 먹어도 좋다. 가을과 겨울에 배가 아픈 것은 계피가 아니면 멎게 할 수 없다.탕액

川椒천초

主腹內冷痛. 取四十九粒, 漿水浸一宿, 令口合, 空心, 以井水呑下. 《本草》

뱃속의 냉통에 주로 쓴다. 49알을 좁쌀죽 윗물에 하룻밤 재웠다가 빈속에 입에 머금었다가 우물물로 삼킨다.본초

葱白총백

主腹冷痛, 濃煎湯飮之. 又細切, 和鹽炒, 熱熨之良. 《俗方》

배의 냉통에 주로 슨다. 진하게 달여 먹는다. 또 얇게 썰어서 소금에 넣고 볶아 뜨거운 채로 찝질하면 좋다.속방

狗肉구육

治脾胃冷弱, 腹中刺痛. 肥狗肉半斤, 以椒薑鹽醬, 煮粥喫良. 《本草》

비위가 차고 약하여 뱃속이 찌르는 듯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살진 개고기 반 근을 천초 소금 간장을 넣고 죽을 쑤어 먹으면 좋다.본초

 

鍼灸法침구법

腹痛, 取內關ㆍ支溝ㆍ照海ㆍ巨闕ㆍ足三間. 《綱目》

복통에는 내관 지구 조해 거궐 족삼리를 취한다.강목

臍腹痛, 取陰陵泉ㆍ大衝ㆍ足三里ㆍ支溝ㆍ中脘ㆍ關元ㆍ天樞ㆍ公孫ㆍ三陰交ㆍ陰谷.

배꼽부위가 아프면 음릉천 대충 족삼리 지구 중완 관원 천추 공손 삼음교 음곡을 취한다.

腹中切痛, 取公孫. 《靈樞》

칼로 베는 듯 뱃속이 아프면 공손을 취한다.영추

臍中痛, 溏泄, 灸神闕卽效.

배꼽부위가 아프면서 묽은 변이 나오면 신궐에 뜸을 뜨면 효험을 본다.

積痛, 取氣海ㆍ中脘ㆍ隱白. 《綱目》

식적통에는 기해 중완 은백을 취한다.강목

臍腹痛甚, 灸獨陰, 神效. 《得效》

배꼽부위가 심하게 아프면 독음에 뜸을 뜨면 신효하다.득효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外形篇卷之三 - 腰허리  (3) 2024.01.01
外形篇卷之三 - 臍배꼽  (2) 2023.12.28
外形篇卷之三 - 乳젖가슴  (0) 2023.12.16
外形篇卷之二 - 背등  (2) 2022.10.02
外形篇卷之二 - 頸项경항 목  (2) 2022.09.28

'예술 > 내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은 가고  (0) 2023.12.28
설기송  (0) 2023.12.27
불쌍한 설기  (0) 2023.12.24
산자고  (0) 2023.12.23
설화  (0) 2023.12.21

156강.hwp
1.22MB

 

https://youtu.be/uMg00UQva6w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