終南叢志

 

金得臣

 

1) 魚無迹蠶夫 向嶺南 行至鳥嶺 日午 䣃짐부릴사鞍 憩于樹下 有一行客 衣藍縷 騎款段 亦至其處 無迹易之 不爲禮 時 秋景政佳 無迹苦吟覓句 良久未就 客曰 余粗解作句 願得紙筆 要經郢땅이름영匠之一斤也 卽書而進 其詩曰 秋風黃葉落粉粉 主屹山高半沒雪 二十四橋鳴咽水 一年三度客中聞 無迹見而大驚 遂閣筆而去 其人蓋玄風鄕所李孝則也 古語云 相馬失之瘦 相人失之貧 此之謂也

 

잠부 어무적이 영남에 가다가 조령에 이르렀다. 한낮이 되어 안장을 내리고 나무 아래서 쉬는데, 남루한 옷을 입은 한 길손이 조랑말을 타고 역시 그곳에 이르렀다. 무적이 그 사람을 쉽게 보고는 예를 차리지 않았다. 그때는 가을 경치가 아주 빼어났었는데 무적이 애써 읊조리며 글구를 찾는데도 오래도록 이루지를 못했다. 길손이 내가 조악하나마 싯구를 아니 원컨대 지필묵을 주시어 정교한 솜씨로 다듬어 주십시오라 하고서는 즉석에서 써서 올렸는데, 그 시.

 

가을 바람에 누런 잎들은 분분히 휘날리고

주흘산은 높아 반남아 구름 속에 묻혀 있네.

스물네 개 다리 아래 콸콸 흐르는 물소리

해마다 세 차례 나그네 길에서 듣는구나.

 

무적이 보고서는 크게 놀라 드디어 붓을 던지고서는 가버렸다. 그 사람은 아마도 현풍 향소의 이효직이었을 것이다. 옛말에, 말을 살피는 데는 마른 말은 무시하고 사람을 살피는 데는 가난하면 무시한다고 했는데 이를 두고 한 말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3  (0) 2019.06.11
終南叢志 2  (0) 2019.06.05
祖孫  (0) 2019.05.29
谿谷漫筆 3  (0) 2019.05.29
谿谷漫筆 2  (0) 2019.05.28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2  (0) 2019.06.05
終南叢志 1  (0) 2019.06.02
谿谷漫筆 3  (0) 2019.05.29
谿谷漫筆 2  (0) 2019.05.28
谿谷漫筆 1  (0) 2019.05.26



3) 昔歲 余在隱若 守申夜 有詩結句曰 任爾三彭饒赤舌 此心元自有天知 今日 偶觀唐萬首絶句 程紫霄詩曰 玉京已自知行止 任汝三彭說是非 詩人暗合往往有如是者 恐觀者謂余詩似此語 謾爲志之

 

옛날에 내가 시골에 있으면서 경신일 밤을 새우며 쓴 시의 결구.

 

삼팽이 네가 요사스런 말이 많아도

이 마음을 원래 하늘이 알고 있으리.

 

이제 우연히 당의 만수절구라는 책에서 본 정자소의 시.

 

옥경이 이미 내 행동거지를 알고 있으니

삼팽이 너는 시비를 멋대로 말하려므나.

 

시인의 생각이 가끔 우연히 합치되는 것이 이와 같다. 보는 이들이 혹 내 시가 이 말과 비슷하다고 할까 봐 염려하여 뜻을 남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1  (0) 2019.06.02
祖孫  (0) 2019.05.29
谿谷漫筆 2  (0) 2019.05.28
谿谷漫筆 1  (0) 2019.05.26
霽湖詩話 25  (0) 2019.05.22

2) 溫庭筠渭上題詩有曰呂公榮達子陵歸萬古煙波遶釣磯橋上一通名利迹至今江鳥背人飛我朝金悅卿詠渭川垂釣圖曰風雨蕭蕭拂釣磯渭川魚鳥亦忘機如何老作鷹揚將空使夷齊餓采薇二詩俊爽頗相類然溫詩直以名利譏太公殊無意致悅卿之詩用意深遠有關世敎識者自能辨之世謂古今人不相及眞影響語耳

 

온정균이 위수 가에서 지은 시.

 

여상은 영달했고 엄광은 돌아갔는데

만고에 내 낀 물결 낚싯돌 둘러있네.

다리 위 명리 자취 한 번 지난 뒤

지금은 물새 사람을 등지고 나네.

 

우리 조선의 김시습도 위천수조도를 읊조렸다.

 

비바람 쓸쓸히 낚싯돌을 스쳐가는데

위천 물고기와 새도 세상 일 잊었네.

어쩌다가 늙어서도 날랜 장수 되어서

괜히 이제에게 굶주려 고사리 캐게 했느뇨.

 

이 두 시의 호기롭고 시원한 것이 자못 서로 비슷하다. 그러나 온정균의 시는 명리로써 태곡을 직접 기롱한 것이어서 별다른 의치가 없으나, 김시습의 시는 뜻을 깊고도 멀리 써서 세상의 교화에 관계가 있으니,

식견이 있는 이는 스스로 분별할 수 있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이, 오늘날의 사람들이 옛 사람들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한 것은 정말 근거가 없는 말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祖孫  (0) 2019.05.29
谿谷漫筆 3  (0) 2019.05.29
谿谷漫筆 1  (0) 2019.05.26
霽湖詩話 25  (0) 2019.05.22
霽湖詩話 24  (0) 2019.05.21


71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71講.hwp

바랄기, 성팽, 재성, 공손할공, 다스릴치, 인간세, 평평할평, 클태








71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71講.hwp
1.76MB
71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71講.hwp
1.76MB





谿谷漫筆

張維

 

1) 萬曆庚申 余方廢錮 薄遊嶺西 客裡有一絶云 滿地殘花半作泥 夜來風雨暗前溪 望鄕臺上空怊悵 雲樹千重夢也迷 見者謂 此詩結句 語意凄悵 恐涉不祥 頗爲余憂之 或曰 雲樹千重 足見前途逈遠 有不盡之意 非不祥語也 其後數歲 余幸遭遇 宦業通顯 去今已十有五年矣 或者之言 殆驗歟

 

만력 경신에 나는 금고로 갇혀 있어서 영서에 잠깐 유람 중이었는데, 나그네길에 지은 절구 한 수.

 

땅에 가득 진 꽃잎 반쯤은 진흙에 묻혔는데

밤이 오니 비바람으로 앞 시내는 깜깜하네.

망향대 위에서 괜시리 슬퍼지는데

구름 낀 나무 천 겹에 꿈조차 아득하구나.

 

이 시를 본 이가, 이시는 결구가 뜻이 슬퍼 암담하니 상서롭지 못할까 두렵다 하며 자못 나를 위해 걱정하였다. 어떤 이가, ‘구름 낀 나무 천 겹에서 앞길이 멀고 다하지 못한 뜻을 족히 볼 수 있으니 상서롭지 못한 말이 아니다라 했다. 그 후 두어 해를 지나 내가 요행히도 때를 만나 벼슬길에서 현달하여 지금 15년여가 지났으니 어떤 이가 이른 말이 자못 영험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谿谷漫筆 3  (0) 2019.05.29
谿谷漫筆 2  (0) 2019.05.28
霽湖詩話 25  (0) 2019.05.22
霽湖詩話 24  (0) 2019.05.21
霽湖詩話 23  (0) 2019.05.17


25) 成敎官 汝學金南窓之甥也自幼少成癖於詩着力旣久往往有佳句其草露蟲聲濕林風鳥夢危爲人所稱如面唯其友識食爲丈夫哀者窮語也余嘗往來其家每見其破衣矮巾滿鬢衰髮獨依一間書齋盡日授書童子眞一世之窮士詩能窮人者殆爲成敎授而發也

 

교관 성여학은 김남창의 생질이다. 어려서부터 시를 짓는 버릇이 있어 힘을 쏟은 지 오래 되어서 가끔 좋은 구절이 있었다.

 

이슬 내린 풀에는 벌레소리조차 젖었고

바람 부는 숲에는 새의 꿈까지 위태롭네.

 

그의 이 구절은 사람들의 칭찬을 받았다.

 

얼굴로는 오직 그 짝을 알고

먹는 것은 장부의 슬픔이로세.

 

와 같은 구절은 궁핍한 말이다. 내가 일찍이 그 집에 왕래하면서 늘 그가 찢어진 옷과 찌그러진 갓을 쓴 것을 보았는데, 귀밑머리는 더부룩하고 머리카락은 세었어도 유독 한 간의 서재에서 종일토록 아이들에게 글을 가르치고 있었으니 참으로 한 세상의 곤궁한 선비였다. 시가 사람을 궁하게 한다는 것도 자못 성교관 때문에 나온 것인가 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谿谷漫筆 2  (0) 2019.05.28
谿谷漫筆 1  (0) 2019.05.26
霽湖詩話 24  (0) 2019.05.21
霽湖詩話 23  (0) 2019.05.17
霽湖詩話 22  (0) 2019.05.16


24) 權敎官 韠 號石洲成癖於詩不事科業其詩祖老杜襲簡齋語意至到句法軟嫩一時能詩人皆推以爲莫能及近世詩人之得盛名者石洲爲最矣聞中朝人刊行東國詩石洲長律數首與焉其一曰江上嗚嗚聞角聲斗柄揷江江水明早潮侵岸鴨鵝亂遙舍點燈砧杵鳴客子出門月初落舟人挂席風欲生西州千里自此往長路險艱何日平自坡山將向江都時所作也見此一篇足可以知其才美矣當廢朝時柳氏諸人藉內勢橫恣無忌一時朝紳皆諂媚乞哀任持平叔英時以擧子對策多觸諱之言將削科幸而中止石洲有詩曰宮柳靑靑鶯亂飛滿城冠蓋媚春輝朝家共賀昇平樂誰遣危言出布衣其後有別擧朴自興登第自興之父承宗自興之婦翁李爾瞻爲考官人不敢議其循私其時許筠亦以試官取厥姪許所製之文與於榜中被罪遠竄石洲又有詩曰設令科第有私情子壻弟中姪最輕獨使許筠當此罪世間公道果難行及廢朝親鞠逆獄時此二詩出於罪人書札中石洲以詩案受刑竟被塞外之竄擔出東城外人家余與趙玄夫隨往理其行具見主人家板櫺之上以山書書李長吉將進酒篇末四句而變勸爲權實出於誤書其時政當暮春桃花滿庭石洲臨歿連飮三杯酒日欲夕而暝一字之誤偶然成讖豈不異哉

 

교관 권필의 호는 석주인데, 시를 짓는 것이 버릇이 되어 과거를 등한시했다. 그의 시는 두보를 으뜸으로 삼고 간재도 본받아 시어와 시상은 경지에 이르렀으나 구법이 연약했다. 당시 시에 능한 이라 해서 모두 추숭하며 그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여겼다. 근대 시인으로 대단한 이름을 얻은 이는 석주가 최고이다. 듣기에 중국인들이 우리나라 시를 간행했는데 석주의 장편 율시 몇 수가 거기에 들어갔다고 한다. 그 가운데 한 수.

 

강에는 구슬픈 피리소리 들리고

북두칠성 강 속에 있으니 강물이 맑기도 해라.

이른 아침 조수 밀려오는 강가엔 오리 거위 어지러이 날고

아득히 먼 집에선 다듬이 소리 들리네.

나그네 문 나서니 달은 지려 하고

뱃사공 돛을 다니 바람 일어나려 하네.

서주 천리 길 지금 떠나면

험난하고 머나먼 길 어느 날에나 끝나리.

 

파산에서 강도로 갈 때에 지은 것이다. 이 한 편을 보면 그의 재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기에 족하다. 광해군 때 여러 유씨들이 외척을 빙자해서 방자하게 굴고 거리낌이 없었는데, 당시에 조신들은 모두 아첨하고 애걸했다. 지평 임숙영이 그때 과거에 응시해서 대책에 저촉되는 말이 많아서 삭과될 뻔하다가 대행히도 중지되었다. 석주의 시.

 

대궐 버들은 푸르러 꾀꼬리 어지러이 나는데

온 성의 벼슬아치들 봄빛을 사랑하네.

조정에서는 함께 태평성세를 경하하는데

오직 포의에게서 누가 위태한 말이 나오게 했나.

 

그 후에 별시가 있어서 박자흥이 급제했는데, 자흥의 아버지 승종과 자흥의 장인 이이첨이 고시관이 되었으나, 사람들이 감히 그들이 사정을 둔 것을 말하지 못하였다. 그때 허균 역시 시관으로서 그의 조카가 지은 글을 취하여 합격시켰다가 죄를 입어 멀리 귀양갔다. 석주의 시.

 

설령 과거에 사정이 있었더라도

아들사위아우 중 조카가 가장 가벼운데

유독 허균만 이 죄에 걸리니

세상의 공정한 법도는 과연 행하기 어렵네.

 

광해군이 친국한 역옥 시에 이 두 시가 죄인의 서찰 중에서 나와 석주가 시 때문에 형을 받고 끝내 변방으로 귀양가는데, 떠메고 동성 밖 인가로 나오자 내가 조현부를 따라가서 그의 행구를 정리하니, 주인집의 창문 판자에 글씨가 써 있는 것을 보니 이장길의 장진주의 끝 네 구절이 쓰여 있었는데 으로 바꾸었는데, 실은 잘못 쓴 것이었다. 그때는 봄이 한창 무르익었을 때였으므로 복사꽃이 뜰에 가득했다. 석주가 죽을 즈음에 술 석 잔을 연거푸 마셨는데 해는 서쪽으로 지려고 해서 날이 어둑했다. 잘못 쓴 글자 한 자가 우연히 참언이 되었으니 어찌 기이하지 않은가.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谿谷漫筆 1  (0) 2019.05.26
霽湖詩話 25  (0) 2019.05.22
霽湖詩話 23  (0) 2019.05.17
霽湖詩話 22  (0) 2019.05.16
霽湖詩話 21  (0) 2019.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