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頃有諸儒生 會話朴淵下 共賦詩 有一客 不知何許人 負筇지팡이공而至 衣冠藍縷 諸儒侮其人 謂曰 汝能作詩乎 曰 諾 遂先書 飛流直下三千尺 疑是銀河落九天之句 諸儒相與冷笑曰 君詩何太功省 盖嘲其全用古句也 客曰 諸君勿笑 第觀結句 卽尾之曰 謫仙此句今方驗 未必廬山勝朴淵 一座大驚曰 朴淵形勢 盡於此詩 吾輩無可更賦 遂閣筆 或云 其客乃士人鄭民秀云 松都朴淵瀑布之奇壯 名於國中 余嘗親見朴淵 始識李白疑是銀河落九天之句 善形容矣 鄭順朋詩云 長恨當年李謫仙 一生廬岳眼終偏 瓊詞錯比銀河落 更把何言賦朴淵 五山車天輅詩云 削立層巒列似屛 半空驚沫吼雷霆 晴虹倒掛潭心黑 白練斜飛石骨靑 雖不用銀河二字 而晴虹白練 亦古語也 盖上詩有意味 而句卒 下詩句豪 而少意味
최근에 여러 유생들이 박연폭포 아래 모여 이야기를 나누면서 함께 시를 짓는데, 어디 사람인지 모르는 한 나그네가 지팡이를 짚고서 이르렀다. 의관이 남루해서 여러 유생들이 그 사람을 업신여기며 말했다. “그대는 시를 지을 줄 아는가?” “그렇다.” 마침내 시를 먼저 지었다.
물줄기 날아 삼천 척 아래로 떨어지니
저 은하수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줄 알았네.
여러 유생들이 서로 냉소하며 말했다. “그대의 시는 어찌 그리도 공을 들이지 않았는가.” 옛 시의 구절을 그대로 사용한 것을 조롱한 것이다. 객이, “여러분들은 웃지 마시고 단지 결구만을 보시오.”라 하고서는 즉시 끝을 맺었다.
이백의 이 구절이 이제 바야흐로 징험이 있으니
여산폭포가 박연폭포보다 낫다고 할 수 없으리.
자리에 있는 사람 모두가 놀라 말했다. “박연의 형세가 이 시에 다 있으니 우리들은 더 쓸 것이 없노라.” 하고서는 마침내 붓을 놓았다. 어떤 이가, “그 나그네가 곧 선비 정민수다.”라 했다. 송도의 박연폭포의 기이한 장관은 중국에까지 이름이 났다. 내가 일찍이 직접 박연폭포를 보고서 비로소 이백의 은하수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줄 알았지라는 싯구가 모습을 잘 표현한 것을 알았다. 정순붕의 시.
옛 이태백을 길이 한하노라.
평생 여산만 알아 안목이 끝내 치우쳤구나.
아름다운 구절로 은하수 떨어지는 것을 잘못 비유했으니.
다시 무엇으로 박연폭포를 읊으려는지.
오산 차천로 시.
겹겹이 깎아 세운 절벽은 병풍처럼 서 있고
반공에 놀란 물줄기 우레처럼 우는도다.
갠 날 무지개는 검푸른 연못 가운데 거꾸로 걸렸고
바위는 푸르른데 흰 비단 비스듬히 날리네.
비록 은하라는 두 글자를 쓰지는 않았으나, 청홍, 백련 들 역시 고어다. 아마도 위의 시는 의미가 있으나 구절이 졸렬하고 아래의 시는 구절이 호방하나 의미가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