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飮通治藥담음통치약
○ 通用二陳湯 茯苓半夏湯 芎夏湯 蠲飮枳實丸 千金指迷丸 敵痰丸 小胃丹 痰飮冷證 宜五飮湯 破痰消飮元 濕熱痰飮 宜滾痰丸 木香和中丸 食積痰飮 宜淸氣化痰丸 虛人老人痰飮 宜竹瀝枳朮丸 霞天膏方見上.
이진탕 복령반하탕 궁하탕 견음지실환 천금지미환 소위단을 두루 쓴다. 담의 냉증에는 오음탕 파담소음원을 쓴다. 습열로 인한 담음에는 곤담환 목향화중환을 쓰고, 식적으로 인한 담음에는 정기화담환을 쓴다. 허약한 사람이나 노인의 담음에는 죽력지출환 한천고를 쓴다처방을 위를 보라.
【二陳湯이진탕】
通治痰飮諸疾 或嘔吐 惡心 或頭眩 心悸 或發寒熱 或流注作痛 半夏製8g 橘皮 赤茯苓各4g 甘草灸2g 爲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正傳) 方氏曰 半夏 豁痰燥濕, 橘紅 消痰利氣, 茯苓 降氣滲濕, 甘草 補脾和中. 盖補脾 則不生濕 燥濕 滲濕 則不生痰 利氣降氣 則痰消解 可謂體用兼解 標本兩盡之藥 用者隨證加減(丹心)
담음으로 인한 모든 병을 치료한다. 혹 토하거나 메슥거리거나 머리가 어지럽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한열이 있거나 여기저기 옮겨다니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반하법제한 것8그램 귤피 적복령각4그램 감초구운 것2그램을 썰어 한 첩을 만들고 생강 세 쪽과 물에 끓여 복용한다정전. 방씨가, 반하는 담을 소통시키고 습을 말리며, 귤홍은 담을 삭이고 기를 잘 통하게 하며, 복령은 기를 내리고 습을 나가게 하며, 감초는 비를 보하고 중기를 조화시킨다고 했다. 비를 보하면 습이 생기지 않고 습을 말리고 내리면 담이 생기지 않으며, 기를 잘 통하게 하고 기를 내려 담이 없어진다. 이는 체용을 모두 풀어내고 표본에 양쪽에 약이라고 할 수 있다. 쓸 때는 증상에 따라 가감해야 한다단심.
【茯苓半夏湯】
通治停痰留飮發爲諸病 半夏製12g 赤茯苓8g 右剉作一貼 薑七片 煎服(宣明) 直指方 小半夏茯苓湯同
정담과 유음이 생겨 여러 가지 병이 된 것을 두루 치료한다. 반하법제한 것 12그램 적복령8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일곱 쪽을 넣고 끓여 복용한다선명. 직지방의 소반하복령탕과 같다.
【大半夏湯대반하탕】
治同上 半夏製 陳皮 赤茯苓各10g 爲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丹心)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한다. 반하법제한 것 진피 적복령각10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끓여 복용한다단심.
【芎夏湯궁하탕】
逐水利飮通用 川芎 半夏製 赤茯苓各4g 陳皮 靑皮 枳殼各2g 白朮 甘草灸各1g 爲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直指)
물을 내보내고 담음을 내리는 데 두루 쓴다. 천궁 반하법제한 것 적복령각4그램 진피 청피 지각각2그램 백출 감초구운 것각1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끓여 복용한다직지.
【蠲飮枳實丸견음지실환】
逐飮消痰導氣淸膈 黑牽牛子取頭末120g 枳實麴炒 半夏製 橘紅各40g 爲末 麵糊和丸梧子大 每取五十丸 薑湯下(東垣)
음을 내보내고 담을 삭이며 기를 소통시키고 흉격을 맑게 한다. 흑견우자처음 나온 가루를 취해 120그램 지실밀기울로 볶은 것 반하법제한 것 귤홍각40그램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50알씩 생강탕으로 먹는다동원.
【千金指迷丸천금지미환】
治一切痰飮爲患 半夏麴80g 白茯苓剉 虛人乳汁拌蒸 瘦人縮砂同酒浸蒸去縮砂 又生地黃汁浸蒸 枳殼用麥麩醋水炒 各40g 風化硝10g 爲末 薑汁糊和丸 梧子大 每服30~50丸 薑湯下 旬日以往 大便溏滑 是潛消痰積之驗也(入門)
일체의 담음으로 생긴 병을 치료한다. 반하국80그램 백복령썰어서 허한 사람은 젖에 담갔다가 찌고, 마른 사람은 축사와 함께 술에 담갔다가 쪄서 축사를 제거한 후 또 생지황즙에 담갔다가 찐 것 지각밀기울과 함께 식초를 탄 물에 적셔 볶은 것 각 40그램 풍화초10그램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쑨 풀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30-5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 열흘이 지나면 대변이 묽어지는데 이는 담적이 없어진 증거다입문.
脾胃痰 神麴糊和丸 비위담에는 신국으로 쑨 풀로 반죽하여 환을 짓는다.
血分痰 酒糊丸 혈분의 담은 술로 쑨 풀로 환을 짓는다.
氣分上焦痰 蒸餠糊和丸 기분과 상초의 담에는 증편으로 쑨 풀로 반죽하여 환을 짓는다.
骨節四肢痰 鹽酒入薑汁糊和丸 관절과 사지의 담에는 술과 소금에 생강즙을 넣어 쑨 푸로 반죽하여 환을 짓는다.
足痰 牛膝膏和丸 다리의 담에는 우슬고로 반죽하여 환을 짓는다.
痰病深痼 牛膏和丸 담병이 심하면 소기름으로 반죽하여 환을 짓는다.
多服可以 汗吐下 如倒倉法(入門)
많이 먹으면 땀을 내거나 토하게 하거나 설사할 수 있으니 도창법을 쓴 것과 같다입문.
【敵痰丸적담환】
治痰飮通用 담음 치료에 두루 쓴다.
黑牽牛子取頭末120g 皂角酥灸80g 白礬枯 半夏麴 陳皮去白各40g 爲末 水丸梧子大 薑湯 下40~50丸(奇效)
흑견우자처음 나온 가루 120그램 조각연유를 발라 구운 것80그램 백반구운 것 반하국 진피속껍질을 벗긴 것를 가루내어 물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탕으로 40-50알을 먹는다기효.
【神仙墜痰元신선추담원】
通治痰飮諸病 黑牽牛子取頭末120g 皂角酥灸64g 白礬生40g 爲末 水丸梧子大 酒下30~50(瑞竹)
담음으로 생긴 여러 병을 두루 치료한다. 흑견우자처음 나온 가루120그램 조각연유를 발라 구운 것 백반생 것 40그램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술로 30-50알씩 먹는다서죽.
【小胃丹】
取膈上濕痰熱積 上可取胸膈之痰 下可利腸胃之痰 惟胃虛少食者 忌用 又云 治風痰 熱痰 濕痰 食積痰 芫花醋浸一宿炒黑 甘遂麵裹煨熟水浸半日晒乾 大戟長流水煮晒乾各20g 大黃濕紙裹煨再用酒浸炒熟40g 黃柏炒80g
爲末粥丸 麻子大 每10丸 臨臥 津嚥下(丹心) 一方 白朮膏 和丸蘿葍子大 臨臥津液嚥下20~30丸 白湯送下
흉격에 있는 습담 열담을 치료한다. 위로는 흉격의 담을 없애고 아래로는 위장의 담을 내려가게 한다. 오직 위가 허해서 적게 먹는 이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 또, 풍담 열담 습담 식적담을 치료한다도 한다. 원화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볶은 것 감수밀가루로 싸서잿물에 묻어 구운 후 물에 한나적 동안 담갔다 볕에 말린 것 대극장류수에 달여 볕에 말린 것 대황촉촉한 종이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운 후 다시 술에 담갔다가 볶은 것40그램 황백볶은 것80그램을 가루내어 죽으로 반죽하여 삼씨 크기로 환을 지어 10알씩 자기 전에 침으로 삼킨다단심.
【五飮湯오음탕】
治五飮 一曰留飮 二曰癖飮 三曰痰飮 四曰溢飮 五曰流飮 旋覆花 人蔘 陳皮 枳實 白朮 茯苓 厚朴 半夏 澤瀉 猪苓 前胡 桂心 白芍藥 甘草各3g 爲剉作一貼 薑10片 水煎服 取效(海藏)
오음 즉 유음 벽음 담음 일음 유음을 치료한다. 선복화 인삼 진피 지실 백출 복령 후박 반하 택사 저령 전호 계심 백작약 감초각3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각 열 쪽과 물에 끓여 복용하면 신효하다해장.
【破痰消飮元파담소음환】
治一切痰飮 靑皮 陳皮 三稜炮 蓬朮炮 良薑煨 乾薑炮 草果煨各40g 爲末 水麵糊和 丸梧子大 陰乾 薑湯下50丸(得效)
모든 담음을 치료한다. 청피 진피 삼릉습지에 싸서 구운 것 봉출습지에 싸서 구운 것 건강습지에 싸서 구운 것 초과잿물에 묻어 구운 것을 가루내어 물로 쑨 풀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그늘에서 말린 후 생강탕으로 50알씩 먹는다득효.
【滾痰丸곤담환】
治濕熱痰積變生百病 大黃酒蒸 黃芩去杇各300g 靑礞石40g同焰硝40g 入罐內盖定 塩泥固濟 晒乾火煨紅 候冷 取出 以礞石如金色爲度 沈香20g 爲末 滴水和 丸梧子大 茶淸 溫水任下 40~50丸 服藥必須臨睡 送下至咽 則便仰臥 令藥 在咽膈之間 徐徐而下 漸逐惡物 入腹入腸 方能見效
습열로 적담이 변해서 생긴 모든 병을 치료한다. 대황술에 찐 것 황금썩은 부분을 제거한 것각300그램 청몽석40그램염초40그램과 함께 단지에 넣고 뚜껑을 덮어서 소금기 있는 진흙으로 꼭 발라 볕에 말린 후 벌겋게 구었다가 식혀서 꺼낸 것 침향 20그램을 가루내어 물을 떨어뜨리면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리고 환은 지어 찻물이나 따뜻한 물로 40-50알씩 먹는데, 반드시 잘 때 먹어야 한다. 약을 삼킨 후에도 목구멍에 이르면 곧 반듯하게 위를 보고 누워 약이 목구멍과 흉격 사이에서 천천히 내려가게 한다. 점차 나쁜 것들을 몰아내서 배와 장으로 들어가게 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ː凡喪心失志 癲狂 每服100丸 정신이 나가거나 전광에 200알씩 먹는다.
ː中風癱瘓 痰盛 便秘 常服30~50丸 중풍으로 인한 분신불수나 담이 성하여 생긴 변비에 늘 30-50알씩 복용한다.
ː遍身筋骨疼痛 未能明狀者 每服70~80丸 온몸의 근육과 뼈가 아프지만 증상이 분명하지 않으면 70-80알씩 복용한다.
ː噯氣 呑酸 胸中氣塊閉塞 嘔吐涎飮 每服70~80丸 트림이나 탄산이 있고 가슴 속의 기가 뭉쳐서 막혀 담연을 토할 때는 70-80알씩 복용한다.
ː心下怔忡 陰陽關格 變生怪證 每服70~80丸 명치가 두근거리거나 관경이 되거나 괴이한 증상으로 변할 때는 70-80알씩 복용한다.
ː急喉閉 赤眼 每服70~80丸 갑자기 목구멍이 막히고 눈이 빨개지면 70-80알씩 복용한다.
ː顋頷腫硬 遶項結核 或口糜舌爛 每服50~60丸 뺨과 턱이 단단하게 붓고 목 둘레에 멍울이 맺히거나 입과 혀가 헐 때는 50-60알씩 복용한다.
ː心氣冷痛 如停氷塊 或散入腹中絞痛 上攻頭面腫硬 遍身四肢等處腫起軟浮 或痒或痛 或此消彼長 漸成篤疾 皆係毒痰內攻 或作腸癰內疽 每服70~80丸 명치에 얼음덩어리가 있는 것처럼 차갑고 아프거나, 뱃속으로 흩어져 들어가 비틀 듯 아프고 위를 공격하여 머리와 얼굴이 붓고 단단해지며 온몸과 사지 곳곳이 말랑말랑 부어올라 가렵거나 아픈 겅우, 이쪽은 줄어드나 저쪽은 커져서 점차 위중한 병이 되는 경우는 모두 독한 담이 속에서 공격하기 때문이다. 어떤 때는 장옹이나 내저가 되기도 한다. 70-80알씩 복용한다.
ː痢疾不問赤白 或帶血塊惡物 每服80~90丸 적리나 백리를 막론하고 핏덩어리나 더러운 것이 나올 때는 80-90알씩 복용한다.
凡荏苒之疾 內外諸般雜證 百藥無效 方書未嘗載其疾 醫者不能辨其證 服之無不效<王隱君>
오래된 질병으로 안팎의 여러 증상에 백약이 효과가 없고, 방서에도 스 질병이 실려 있지 않아 의원도 그 증상을 밝히자 못할 때 이를 복용하면 효과가 없지 않다왕은군.
按此方 以大黃 黃芩 大瀉陽明胃中 濕熱之盛, 礞石 以墜下積痰, 沈香 則引諸氣 上而至天 下而至泉也(丹心) 一方 加朱砂75g爲衣 이 처방을 살펴보면 대황 황금은 양명위 속에 습영리 성한 것을 크게 줄이고 청몽석은 적담을 내리며 침향은 모든 기를 끌어 위로는 정수리에 이르게 하고 아래로는 발바닥에 이르게 한다단심. 어떤 처방에서는 주사75그램으로 옷을 입혀 쓰기도 한다.
【木香和中丸목향화중환】
化痰涎 除濕熱 利胸膈 和脾胃 黑牽牛子頭末92g 滑石80g 大黃48g 木香 黃芩 靑礞石 枳殼 檳榔 靑皮 陳皮各20g 沈香8g 爲末 水丸梧子大 薑湯 或茶淸 下50丸(御藥) 一方 又名沈香和中丸 治濕熱痰盛 胸膈煩滿
담연을 삭이고 습열을 없매며 흉격을 잘 통하게 하고 비위를 원활하게 한다. 흑견우자처음 나온 가루92그램 활석48그램 대황48그램 목향 황금 청몽석 지각 빈랑 청피 진피각20그램 침향8그램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탕이나 찻물로 50알씩 먹는다어약. 어떤 처방에서는 침향화중환이라 하고 습열로 담이 성하여 흉격이 답답하거나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淸氣化痰丸청기화담환】
治一切痰飮 及食積 酒積 成痰壅盛 南星 半夏以白礬 皂角 生薑各80g 同水浸一宿 並剉 作片同煮 至南星無白點晒乾各80g 神麴炒 麥芽炒各60g 陳皮 枳實 白朮 白茯苓 蘇子 蘿葍子炒 瓜蔞仁 香附米 山査肉 白豆蔲各40g 靑皮 乾葛 黃連各20g 黃芩32g 海粉28g 爲末 以竹瀝薑汁 泡蒸餠 和丸梧子大 薑湯 或茶淸下50~70(醫鑑)
모든 담음과 식적 주적으로 담이 되어 성한 것을 치료한다. 남성 반하백반조각생강각80그램을 함께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썰어서 절편으로 만든 것을 남성의 흰 점이 없어질 때까지 함께 달인 후 볕에 말린 것 각 80그램 신국볶은 것 맥아볶은 것각60그램 진피 지실 백출 백복령 소자 나복자볶은 것 과루인 향부미 산사육 백두구각40그램 청피 건갈 황련각20그램 황금32그램 해분28그램을 가루내어 죽력 생강즙으로 담갔던 증편으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탕이나 찻물로 50-70알씩 먹는다의감.
【竹瀝枳朮丸죽력지출환】
治老人 虛人痰盛 不思飮食 健脾消食 化痰淸火 去眩暈 半夏 南星以白礬皂角生薑同煮半日去皂薑焙乾 枳實 條芩 陳皮 蒼朮泔浸鹽水炒 山査肉 白芥子炒 白茯苓各40g 黃連薑汁炒 當歸酒洗各20g 爲末 神麴240g 作末 以薑汁 竹瀝 各一盞 煮糊和 丸梧子大 淡薑湯 或白湯下100丸(入門)
노인이나 허한 사람이 담이 성하여 음식 생각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비를 튼튼하게 하며 먹은 것을 소화시키며 담을 삭이고 화를 내려 어지럼증을 없앤다. 반하 남성백반조각생강과 함께 한나절 동안 끓인 후 조각과 생강르 없애고 불에 쬐어 말린 것 지실 조금 진피 창출쌀뜨물에 담갔다가 소금물을 축여 볶은 것 산사육 백개자볶은 것 백복령각40그램 황련생강즙에 볶은 것 당귀술에 씻은 것각20그램을 가루내고 신국240그램도 가루내어 생강즙 죽력을 각기 한 잔씩 넣어 쑨 풀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묽은 생강탕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