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鄭東溟晚出 莫有能抗之者 張谿谷毎云 聞鄭詩來 則有如雷霆霹靂 令人自怕 自寫東溟警句于壁上 而觀之 孝廟濳邸時 亦以天山月初海雲深之絕句 付壁省覽 五律 七絕 皆其所長 而至若七言歌行 則彷彿李杜 我國前古所未有也 余嘗挽東溟詩一絕曰 工部之詩太史文 一人兼二古無聞 雷霆霹靂來驚耳 谿谷先生昔所云 盖記實也 其行文儷文 亦奇健可畏

 

정동명은 늦게 출사했지만 그를 당할 사람이 없었다. 장계곡이 늘 말하기를, “정의 시를 들으면 뇌성벽력이 치는 것 같아서 사람들에게 저절로 두렵게 만든다.”라 하고서는 스스로 동명의 놀랄 만한 시구를 벽에 써 놓고 이를 보았다. 효종이 아직 잠저에 있을 때, 역시 천산월초해운심이라는 절구의 시구를 벽에 붙여놓고 살펴보았다. 오언율시와 칠언절구 모두가 그가 잘 짓는 것인데 칠언가행에 이를 것 같으면 이백이나 두보를 방불케 하니, 우리나라에는 없던 일이다. 내가 일찍이 동명의 만시 절구 한 수를 지었다.

 

두보와 같은 시, 사마천의 문장

한 사람이 겸했으니 예도 못 듣던 일

뇌성벽력이 귀를 놀라게 한다니

계곡 선생이 옛날에 이르시던 말씀

 

대개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그의 문장과 변려문 또한 기이하고도 강건하여 두려워할 만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42  (0) 2019.11.03
壺谷詩話 41  (0) 2019.11.02
壺谷詩話 39  (0) 2019.10.30
壺谷詩話 38  (0) 2019.10.29
壺谷詩話 37  (0) 2019.10.27

39) 丙寅東槎之役 鄭東溟以白衣從而不善於酬唱 故一行皆輕之 然統軍亭前江作池一律 可壓諸公累篇 第未知與東岳 六月龍灣積雨啨 優劣何如也 白馬千夫擁 黃雲六鎭陰 一句 可壓北行諸人

 

병인년 일본 사신에, 정동명은 백의로 따라가서 수창을 잘하지 못해서 일행이 다 그를 업신여겼다. 그러나 통군정전강작지라는 율시 한 수는 여러 사람들의 시를 압도할 만했다. 다만 동악의 유월용만적우청이라는 시와 우열이 어찌 될지는 알 수가 없다.

 

흰 말은 많은 사람들이 에워싸고

누런 구름은 육진에 어둡기도 하구나.

 

라는 한 구절은 북쪽을 여행했던 사람들을 압도할 만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41  (0) 2019.11.02
壺谷詩話 40  (0) 2019.11.01
壺谷詩話 38  (0) 2019.10.29
壺谷詩話 37  (0) 2019.10.27
壺谷詩話 36  (0) 2019.10.26

38) 任侍郞有後題北塞一聯曰 人逢塞外皆靑眼 山到天涯亦白頭 靑眼 白頭 自是尋常之對 而人此鑪錘則甚妙

 

시랑 임유후가 북쪽 변방에서 지은 시 한 연

 

사람은 변방에서 만나니 모두가 반갑고

하늘가 산들도 모두 흰 눈이 덮였도다.

 

청안과 백두는 평범한 대구인데도 이 시에 들어오니 아주 절묘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40  (0) 2019.11.01
壺谷詩話 39  (0) 2019.10.30
壺谷詩話 37  (0) 2019.10.27
壺谷詩話 36  (0) 2019.10.26
壺谷詩話 35  (0) 2019.10.25

37) 余之妻祖蔡蓴塘亨震早登上舍 值昏朝 避世于常山 一生攻詩 嘗得一聯曰 畏蛇防燕壘 憐蝶壞蛛絲 信乎 窮者之語 妻父知非公詩格不凡而世無知者 亂後 過山城有吟曰 三綱已斁國垂傾 公議千秋愧汗靑 忍背神宗皇帝德 何顏宣祖大王庭 寧為北地王諶死 不作東窓賊檜生 野老呑聲行且哭 穆陵殘日照微誠 此詩膾炙當時 而亦不知為作者之作也 又到漢江,題曉霧曰 也疑商女惱春愁 曝盡輕紗夜未收 喚却兒童看仔細 白雲無事宿沙頭 乂題北關曰 大嶺以東天與海 咸原之北地皆山

 

내 처조부 순당 채형진은 일찍 진사에 급제했으나 광해군 때여서 세상을 피해 상산에 살면서 평생 시를 전공하였다. 일찍이 얻은 한 연.

 

뱀이 무서워 제비집을 가려주고

나비를 불쌍히 여겨 거비줄을 걷네.

 

궁한 이의 시어라는 것이 확실하다. 처의 아버지 지비공의 시는 격조가 비범하지만 세상에 알아주는 이가 없었다. 난리 후에 산성을 지나면서 읊조린 시.

 

삼강은 이미 무너졌고 나라는 거의 기울어,

공론은 천 년 후 청사에 부끄럽도다.

인종황제의 은덕을 차마 저버릴 수 있으며

무슨 낯으로 선조대왕의 조정에 설까?

차라리 북쪽 땅 왕심처럼 죽을지언정

동창의 역적 진회처럼 살지는 않으리.

시골 노인 소리 죽이고 길 가면서 또 우니

목릉의 지는 해는 내 하찮은 정성을 비추네.

 

이 시는 당시에 회자되었으나 시를 지을 줄 아는 이가 쓴 것이라는 것을 아지 못했다. 또 한강에 이르러 새벽 안개를 읊은 시.

 

기생이 봄 걱정에 쌓여 있는 듯

햇빛 들어도 얇은 비단 드리운 듯 걷히지 않네.

아이 불러 자세히 보라 했더니

흰구름이 일없이 물가에 머문다네.

 

또 술관에서 쓴 시.

 

큰 고개 동쪽에는 하늘과 바다가 있고

함원 북쪽에는 모두가 산이라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39  (0) 2019.10.30
壺谷詩話 38  (0) 2019.10.29
壺谷詩話 36  (0) 2019.10.26
壺谷詩話 35  (0) 2019.10.25
壺谷詩話 34  (0) 2019.10.24

36) 鄭東望泰齊以新恩 往其叔父良弼靈光郡 郡有妓兄弟四人皆名玉者 並擅名 喜筵曰 三玉者請詩曰 去夜夢被雷霆 願題以禳之 鄭卽書扇以贈曰 光山佳妓玉為名 南國爭推四弟兄 人腸斷盡天應怒 故遣雷公夢裡驚 此詩格卑 而以其應卒 故人多稱之

 

동망 정태제가 처음 급제하여 그의 숙부 양필이 있는 영광군에 갔다. 고을에는 기생 네 자매가 있었는데 모두가 이름에 옥자가 들어있었고 함께 이름을 드날렸다. 희연에서 셋째 옥이가 시를 청하면서, 지난밤에 꿈속에서 벼락을 맞았는데 시로써 그것을 물리치고 싶습니다라 했다. 정이 즉시 부채에 써서 주면서,

 

광산의 예쁜 기녀가 옥으로 이름을 지어

남쪽 지방에서 네 자매가 미색을 다투네.

사람들이 애끊는 곳에는 하늘이 응당 성을 내려니

일부러 뇌성을 쳐서 꿈속에서 놀라게 했다네.

 

이 시는 격이 낮으나, 졸지에 응한 것이어서 사람들이 많이 칭찬을 했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38  (0) 2019.10.29
壺谷詩話 37  (0) 2019.10.27
壺谷詩話 35  (0) 2019.10.25
壺谷詩話 34  (0) 2019.10.24
壺谷詩話 33  (0) 2019.10.23

35) 沈尚書詻為高山督郵時 柳塗為文川守 文川有同年生三名姝 而柳皆私之 沈過行 凋悵作詩 姝城二甲総名姬 太守風流亦一時 多少行人膓斷處 敎坊南畔柳如絲 甚有風調

 

상서 심액이 고산 찰방이었을 때 유도는 문천 군수가 되었다. 문천에는 같은 나이의 이름난 예쁜 이들 셋이 있었는데 유가 모두 사통하고 있었다. 심이 길을 가다가 서글퍼서 시를 지었다.

 

미인골의 모두가 이름난 아가씨들인데

태수의 풍류도 당대의 제일이로구나.

수많은 행인들 애끊는 곳인데

교방의 남쪽 버들이 실처럼 늘어졌네.

 

풍자와 격조의 깊이가 있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37  (0) 2019.10.27
壺谷詩話 36  (0) 2019.10.26
壺谷詩話 34  (0) 2019.10.24
壺谷詩話 33  (0) 2019.10.23
壺谷詩話 32  (0) 2019.10.19

34) 金搢咏秦皇曰 不知天下銷兵地 猶着江東學劒人 李元鎭題漢祖曰 莫道人關無所取 祖龍天下勝秋毫 語意俱奇

 

김진이 진시황를 읊은 시.

 

천하의 병장기를 녹여 보습 만든 땅임을 아지 못하고

오히려 강동의 칼 배우는 이를 생각하네.

 

이원진의 세한조.

 

함곡관에 들어가도 얻을 것이 없다고 말하지 마오

진시황의 천하가 조금은 낫다네.

 

말 뜻이 모두 기이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36  (0) 2019.10.26
壺谷詩話 35  (0) 2019.10.25
壺谷詩話 33  (0) 2019.10.23
壺谷詩話 32  (0) 2019.10.19
壺谷詩話 31  (0) 2019.10.18

33) 李觀海遊金剛 得一句曰 千厓駐馬身全倦 老樹題詩字未成 淸陰改未為半 頓生精彩

 

이관해가 금강산에 유람가서 한 구절을 얻었다.

 

무수한 절벽마다 말을 세우고 구경하니 몸은 온통 지쳤고

늙은 나무에 시를 쓰니 글을 이루지 못하네.

 

청음이 미를 반으로 고치니 정채가 되살아났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35  (0) 2019.10.25
壺谷詩話 34  (0) 2019.10.24
壺谷詩話 32  (0) 2019.10.19
壺谷詩話 31  (0) 2019.10.18
壺谷詩話 30  (0) 2019.10.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