胃腑위부
胃形象위형상
胃長一尺六寸, 胃紆曲屈, 伸之, 長二尺六寸, 大一尺五寸, 徑五寸. 受水穀三斗五升, 其中之穀, 常留二斗, 水一斗五升. 《靈樞》
위의 길이는 1자6치다. 위는 구부러져 있으니 굴곡을 펴면 길이가 2자6치다. 크기는 1자5치고 직경은 5치다. 수곡 3말5되를 받아들이는데 곡식은 2말, 물은 1말5되가 항상 머무를 수 있다.(영추)
胃重二斤十四兩. 《難經》
위의 무게 2근14냥이다.(난경)
胃爲之市. 註曰, 水穀所歸, 五味皆入, 如市雜, 故爲市也. 《內經》
위는 시장이다. 주에, 수곡이 들어가고 오미가 모두 들어가니 복잡한 시장과 같아서 시장이라고 하는 것이라 했다.(내경)
胃號太倉, 俗呼爲肚. 受水穀三斗五升. 平人日再圊, 一行二升半, 一日五升, 七日則三斗五升而水穀盡矣. 故平人不飮食七日而死者, 胃中水穀津液俱盡也. 《入門》
위를 태창이라고 부르는데 속된 말로는 밥통이다. 수곡 3말5되를 받아들일 수 있다. 보통 사람은 하루에 두 번 변소에 가는데 한 번 가서 2되반 하루에 5되를 배설하는데 7일이며 3말5되를 배설해서 수곡을 다 없앤다. 그러므로 보통 사람은 음식을 7일 동안 먹지 않으면 죽으니, 위 속에 있는 수곡과 진액이 모두 없어지기 때문이다.(입문)
胃部位위부위
咽門至胃, 長一尺六寸. 胃居心蔽骨與臍之中, 上下各四寸. 《難經》
목구멍에서 위까지의 길이는 1자6치다. 위는 심폐골과 배꼽의 중간에 있다. 위아래가 각기 4치다.(난경)
中脘一穴, 胃之募也. 在心蔽骨與臍之中, 上下各四寸, 在背則胃兪, 在脊第十二顀下兩傍, 胃之部位也. 《銅人》
중완혈은 위의 모혈로 심폐골과 배꼽의 중간에 있다. 위아래가 각각 4치로 등에는 위수가 12번째 척추 아래 양쪽에 있다. 이것이 위 부위다.(동인)
胃爲水穀之海위위수곡지해
人之所受氣者穀也. 穀之所注者胃也. 胃者, 水穀氣血之海也. 海之所行雲氣者, 天下也. 胃之所出氣血者, 經隧也. 經隧者, 五藏六府之大絡也.
사람이 기를 받는 것은 수곡이다. 수곡이 들어가는 것은 위니 위는 수곡과 기혈의 바다다. 바다는 구름을 만들어서 세상으로 보내고 위는 기혈을 만들어서 경수로 보낸다. 경수는 오장육부의 큰 낙맥이다.
胃者, 五藏六府之海也. 水穀皆入於胃, 藏府皆稟氣於胃. 五味各走其所喜, 酸先走肝, 苦先走心, 甘先走脾, 辛先走肺, 醎先走腎. 穀氣津液已行, 榮衛大通, 乃化糟粕, 以次傳下. 《靈樞》
위는 오장육부의 바다다. 수곡은 모두 위로 들어가고 장부는 모두 위에서 기를 받는다. 오미는 각기 좋아하는 곳으로 들어간다. 신맛은 먼저 간으로 들어가고, 쓴맛은 먼저 심으로 들어가고, 단맛은 먼저 비로 들어가고 매운맛은 먼저 폐로 들어가고 짠맛은 먼저 신으로 들어간다. 곡기와 진액이 돌면 영위가 크게 통하고 변해서 찌꺼기가 된 것은 차례로 아래로 전해진다.(영추)
胃爲水穀之海, 脾爲消化之器. 水入於經, 其血乃成, 穀入於胃, 脉道乃行. 血不可不養, 衛不可不溫, 血溫衛和, 得盡天年. 《入門》
위는 수곡의 바다고 비는 소화기관이다. 물이 경맥으로 들어가면 혈이 되고, 곡식이 위에 들어가면 맥이 흐르게 된다. 혈은 길러야만 하고 위는 데워져야 하니 혈이 따뜻하고 위가 조화로우면 천수를 다할 수 있다.(입문)
飮食入胃則胃實而腸虛, 食下則腸實而胃虛, 胃滿則腸虛, 腸滿則胃虛, 更虛更實, 故氣得上下而無病矣. 《靈樞》
음식이 위에 들어가면 위는 채워지고 장은 비며, 음식이 내려가면 장은 채워지고 위는 빈다. 위가 가득차면 장은 비고 장이 가득차면 위는 빈다. 채워졌다가 비워지기를 반복하기에 기는 오르내릴 수 있고 병이 없게 된다.(영추)
胃腑大小위부대소
?骬以下至天樞長八寸, 過則胃大, 不及則胃小. 《靈樞》
갈우에서 천추까지의 길이가 8친데, 넘으면 위가 크고 모자라면 위가 작다.(영추)
胃外候위외후
胃爲之海. 廣骸, 大頸, 張胸, 五穀乃容.
위는 바다다. 관골이 넓고 목이 굵으며 가슴이 벌어지면 오곡이 많이 들어간다.
脾應肉, 肉䐃堅大者胃厚, 肉䐃麽者胃薄. 肉䐃小而麽者胃不堅, 肉䐃不稱身者胃下, 胃下者下脘約不利也. 肉䐃不堅者胃緩, 肉䐃無小裸累者胃急, 肉䐃多少裸累者胃結, 胃結者上脘約不利也. 《靈樞》
기는 육과 상응해서 군육이 튼튼하고 크면 위가 두껍고, 군육이 가늘고 얇으면 위도 얇다. 군육이 작고 가늘면 위가 튼튼하지 못하다. 군육이 몸에 맞지 않으면 위가 처져 있고 위가 처져 있으면 하완이 묶여 잘 통하지 못한다. 군육이 튼튼하지 않으면 위가 느슨하고 군육이 잔주름이 없으면 위가 팽팽하다. 군육에 잔주름이 많으면 위가 뭉쳐 있고 위가 뭉쳐 있으면 상완이 묶여 잘 통하지 못한다.(영추)
䐃, 謂肘膝後肉如塊者
군육이란 팔꿈치와 무릎 뒤쪽의 덩어리를 이른다.
胃傷證위상증
飮食自倍, 腸胃乃傷. 《內經》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장위가 상한다.(내경)
胃傷之證, 不思飮食, 胸腹脹痛, 嘔噦惡心, 噫氣呑酸, 面黃肌瘦, 怠惰嗜臥, 常多自利. 《東垣》
위가 상한 증상은 음식 생각이 없고 가슴과 배가 불러오고 아프며 구역질 딸꾹질을 하며 메스껍고 트림이 나고 탄산이 있고 얼굴이 누렇고 살이 마르며 나른하여 눕기를 좋아하고 자주 설사를 하는 것이다.(동원)
胃病證위병증
胃病者, 腹䐜脹, 胃脘當心而痛, 上支兩脇, 膈噎不通, 飮食不下.
위병은 배가 부풀어 오르고 위완에서 심장에 이르기까지 아프며 양 옆구리가 위로 결리고 흉격이 막혀 통하지 못해서 음식이 내려가지 못한다.
飮食不下, 膈塞不通, 邪在胃脘也.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흉격이 막혀 통하지 않는 것은 사기가 위완에 있기 때문이다.
胃中寒, 則手魚際之絡脉多靑, 胃中熱, 則手魚際之絡脉多赤.
위 속이 차가우면 어제의 낙맥이 대부분 푸르고 위 속에 열이 있으면 어제의 낙맥이 대부분 붉다.
面熱者, 足陽明病, 兩跗之上脉竪堅者, 足陽明病, 此胃脉也. 《靈樞》
얼굴에 열이 나는 것은 족양명의 병이고, 양 발등의 맥이 단단하게 서 있는 것도 족양명의 병이다. 이는 위맥이다.(영추)
胃病虛實위병허실
胃脉實則脹, 虛則泄. 《內經》
위맥이 실하면 부풀어 오르고 허하면 설사를 한다.(내경)
胃中元氣盛, 則能食而不傷, 過時而不飢. 脾胃俱旺, 則能食而肥, 脾胃俱虛, 則不能食而瘦, 或少食而肥, 雖肥而四肢不擧. 《東垣》
위 속의 원기가 왕성하면 잘 먹고 상하지도 않으며 시간이 지나도 배고프지 않고 비위가 모두 왕성하면 잘 먹고 살도 찐다. 비위가 다 허하면 잘 먹지 못해서 마르거나 적게 먹어도 살이 찌지만 살이 찌더라도 사지를 잘 들지 못한다.
胃病治法위병치법
人無根本, 水食爲命. 盖脾胃屬土, 主納水穀, 人之根本也. 《丹心》
사람의 근본이 있는 것이 아니고 음식이 목숨이다. 비위는 토에 속하고 수곡을 받아들이기를 주관하므로 사람의 근본이 된다.(단심)
五味淡薄, 令人神爽氣淸. 《回春》
오미가 담박하면 사람의 정신이 상쾌해지고 기가 맑아진다.(회춘)
胃病治法, 調其飮食, 適其寒溫, 澄心息慮, 從容以待, 眞氣之復常也. 《東垣》
위병 치료는 음식을 조절하고 한온을 적당히 하며 마음을 맑게 하고 생각을 멈추어 조용히 기다리면 진기가 정상으로 회복된다.(동원)
胃實, 宜平胃散, 胃虛, 宜異功散ㆍ補中益氣湯. 方見內傷 不進飮食, 宜養胃進食湯.
위가 실하면 평위산을 써야 하고, 위가 허하면 이공산 보중이기탕처방은 내상을 보라을 써야 하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면 양위진식탕을 써야 한다.
平胃散평위산
治脾胃不和, 不思飮食, 心腹脹痛, 嘔噦惡心, 噫氣呑酸, 面黃肌瘦, 怠惰嗜臥, 常多自利. 或發霍亂, 及五噎八痞, 膈氣反胃等證. 蒼朮 二錢, 陳皮 一錢四分, 厚朴 一錢, 甘草 六分. 右剉, 作一貼, 薑 三片, 棗 二枚, 水煎服. 或爲末, 取二錢, 薑棗湯點服. 《入門》
비위가 조화롭지 못해서 음식 생각이 없고 명치가 불러오고 아프며 구역질 딸꾹질을 하고 속이 메스꺼우며 트림이 나고 탄산이 있고, 얼굴이 누렇고 살이 마르며, 나른하여 눕고 싶고 자주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 곽란 오열 팔비 격기 반위의 증상을 치료하기도 한다. 창출2돈 진피2.4돈 후박1돈 감초6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2돈씩 생강과 대추를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平胃散, 決烈耗散之劑, 實非補胃之藥, 能瀉土氣之敦阜, 使之平耳. 用之而胃氣和平則便止, 不可常用也. 《丹心》
평위산은 결열하게 소모시키고 흩는 약제다. 실제로 위를 보하는 약은 아니고 토기를 사하고 평온하게 할 뿐이다. 이를 써서 위가 화평해지면 곧 그쳐야 하고 늘 써서는 안 된다.(단심)
異功散이공산
治脾胃虛弱, 不思飮食, 腹痛自利. 人參ㆍ白朮ㆍ白茯苓ㆍ陳皮ㆍ甘草 各一錢. 右剉, 作一貼, 薑 三片, 棗 二枚, 同煎服. 《東垣》
비위가 허약해서 음식 생각이 없고 배가 아프며 설사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백출 백복령 진피 감초 각1돈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를 함께 달여 먹는다.(동원)
養胃進食湯양위진식탕
治脾胃虛弱, 飮食不進, 面黃肌瘦, 胸膈痞悶, 食不消化, 或噫氣呑酸. 蒼朮 一錢, 人參ㆍ白朮 各一錢, 陳皮ㆍ厚朴ㆍ白茯苓ㆍ甘草(灸) 各七分, 神麴(炒)ㆍ麥芽(炒) 各五分. 右剉, 作一貼, 薑 三片, 棗 二枚, 同煎服. 或爲末, 蜜和作丸梧子大, 每二錢, 米飮下. 《必用》
비위가 허약해서 음식 맛이 없고 얼굴이 누렇고 살이 마르며 흉격이 막혀 답답하고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혹 트림이 나거나 탄산이 있는 것도 치료한다. 창출1돈 인삼 백출 각1돈, 진피 후박 백복령 감초구운 것 각 7푼, 신국볶은 것 맥아볶은 것 각 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와 함께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꿀과 버무려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2돈씩 미음으로 먹는다.(필용)
胃絶候위절후
胃爲足陽明, 其終者, 口目動作, 善驚妄言, 色黃, 其上下經盛, 不仁, 則終矣. 《內經》
위는 족양명이다. 그것이 끊어지면 입과 눈이 떨리고 잘 놀라고 말을 함부로 하고 안색이 누렇다. 그 위아래의 경락이 성하면서 살갗에 감각이 없으면 끝이다.(내경)
胃絶五日死, 何以知之. 脊痛腰中重, 不可反覆. 《脉經》
위기가 끊어지면 5일 만에 죽는다. 어떻게 아는가? 척추가 아프고 허리가 무거워 뒤집을 수가 없는 것으로 안다.(맥경)
單方단방
凡二十七種.
모두 27가지다.
石膏셕고
除胃熱, 專瀉胃中之火. 硏, 水煎一兩服, 或水飛二錢和水服. 《本草》
위열을 없애고 오로지 위 속의 화를 사한다. 갈아서 1냥씩 물에 달여 먹거나 2돈씩 수비해서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葛根갈근
開胃下食, 解酒毒. 水煎服, 或水飛澄取粉, 和水服. 《本草》
식욕을 돋우고 주독을 풀어준다. 물에 달여 먹거나 수비해서 물에 뜨는 가루만 취해서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人參인삼
補胃氣. 能開胃消食. 煎服, 末服皆佳. 《本草》
위기를 보하며 식욕을 돋우고 음식을 소화시킨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白豆蔲백두구
主胃冷, 能消磨水穀. 硏水煎服, 或末服皆佳. 《本草》
위가 차가운 데 주로 쓴다. 수곡을 잘 소화시킨다. 갈아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蒼朮창출
强胃, 去胃中濕. 或煎, 或丸, 或末服皆佳. 《本草》
위를 튼튼하게 하고 위 속의 습을 없앤다.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白朮백출
補胃. 服如上法.
위를 보한다. 복용법은 위와 같다.
大豆대두
除胃中熱痺.
위 속의 열비를 없앤다.
大豆黃卷, 理胃氣. 或煮, 或末, 和水服二錢. 《本草》
대두황권은 위기를 다스린다. 달이거나 가루내어 물에 타서 2돈씩 먹는다.(본초)
丁香정향
治胃寒, 能溫胃. 或煮, 或末服. 《本草》
위가 차가운 것을 치료하고 위를 따뜻하게 한다.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縮砂축사
溫胃, 消化水穀. 煎服, 末服皆佳. 《本草》
위를 따뜻하게 하고 수곡을 소화시킨다.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乾薑건강
開胃, 溫胃. 煎服, 末服, 丸服幷佳. 《本草》
식욕을 돋구고 위를 따뜻하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生薑생강
開胃. 煎湯服之. 《本草》
삭욕을 돋군다. 달여서 탕으로 먹는다.(본초)
大麥대맥
平胃氣, 開胃. 作飯, 作粥, 皆可常食.
위기를 고르게 하고 식욕을 돋군다. 밥을 짓거나 죽을 쑤어서 다 늘 먹어도 좋다.
大麥芽, 開胃消食. 《本草》
대맥아는 식욕을 돋구고 소화를 시킨다.(본초)
粳米갱미 맵쌀
補胃氣. 作白粥可常服. 《本草》
위기를 보한다. 흰죽을 쑤어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稷米직미 찰지지 않은 기장쌀
利胃. 作飯, 作粥幷佳. 《本草》
위기를 잘 돌게 한다. 밥을 짓거나 죽을 쑤거나 다 좋다.(본초)
靑梁米청량미 생동쌀
主胃痺. 作飮, 飮之佳. 《本草》
위비에 주로 쓴다. 미음으로 만들어 마시는 것이 좋다.(본초)
牛肚우두 소밥통
補胃. 煮爛食之.
위를 보한다. 푹 삶아서 먹는다.
酪粥, 除胃中熱, 可常服之. 《本草》
유락으로 쑨 죽은 위 속의 열을 없앤다.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羊肉양육
開胃. 煮爛食之, 作羹亦可.
식욕을 돋군다. 푹 삶아서 먹는데 국을 끓여도 좋다.
羊肚補胃. 《本草》
양의 밥통은 위를 보한다.(본초)
黃狗肉황구육
補胃, 厚腸胃. 煮爛食, 或作脯灸食. 《本草》
위를 보하고 장위를 두텁게 한다. 푹 삶아서 먹거나 포를 떠서 구워서 먹기도 한다.(본초)
黃雌雞황자계 누런 암탉
補胃. 煮爛作羹食. 《本草》
위를 보한다. 푹 삶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본초)
鯽魚즉어 붕어
平胃氣, 補胃. 作蒸, 作羹, 作膾食幷佳. 《本草》
위기를 고르게 하고 위를 보한다. 찌거나 국을 끓이거나 회를 쳐서 먹는데 다 좋다.(본초)
鯔魚치어 숭어
開胃. 作羹, 作膾幷佳. 《本草》
식욕을 돋군다. 국을 끓이거나 회를 쳐서 먹는데 다 좋다.(본초)
石首魚석수어 조기
開胃. 可常食. 《本草》
식욕을 돋군다. 늘 먹어도 좋다.(본초)
芋우 토란 뿌리줄기
開胃. 又寬腸胃. 作羹常食佳. 《本草》
식욕을 돋구고 장위를 넓힌다. 국을 끓여서 늘 먹으면 좋다.(본초)
橘皮귤피
開胃. 作茶飮之, 或作末, 薑湯點服. 《本草》
식욕을 돋군다. 차로 마시거나 가루내어 생강물에 조금씩 타서 먹는다.(본초)
大棗대조 대추
平胃氣, 厚腸胃. 可常食. 《本草》
위기를 고르게 하고 장위를 두텁게 한다. 늘 먹어도 좋다.(본초)
乾柿건시 곶감
開胃, 厚腸胃. 可常食之. 《本草》
식욕을 돋구고 장위를 두텁게 한다. 늘 먹어도 좋다.(본초)
韭구 부추
除胃中熱. 可常食. 《本草》
위 속의 열을 없앤다. 늘 먹어도 좋다.(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