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絕句必得情境 然後可袪冗語 余曾於甲午秋 往省軍威縣時 曉發安奇驛 是夕當入縣 適因耳目所聞見 得一絕曰 前村杼後村砧 驛路繁霜一寸深 窓外曉鷄催盥櫛 也知遊子暮歸心 又於丙午赴燕時 到連山驧遇齎曆譯官之還國者 寄親庭書 作一絕曰 好去長程縷縷絲 堅緘還恐折緘遲 平書二字題書表 遙想家親人眼知 未和前後之作孰優也 五言則尤難 故平生得意者絕少 甞往日本 有人請題畫鷄軸,書贈曰 咫尺扶桑曉 胡為獨不鳴 恐孤客一夢 應絕五更聲 又北行時 還過遼東有吟曰 去國纔三月 貪程欲奮飛 如何華表鶴 千載始思歸 亦未知孰優也

 

절구는 반드시 정경을 얻고 난 후에야 군말을 없앨 수 있다. 내가 일찍이 갑오년 가을에 군위현에 가서 살필 때 새벽에 안기역을 떠나 그날 저녁에 고을에 들어갔다. 마침 귀와 눈으로 보고 들은 대로 절구 한 수를 얻었다.

 

앞마을에는 베틀소리 뒷마을엔 다듬잇소리

역길에는 되내기 한 치나 깊네.

창 밖에는 새벽닭이 세수하고 머리 빗으라 재촉하네

나그네 늦게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 아는 양.

 

또 병오년에 연경에 갔을 때, 연산역에 이르러 책력을 가지고 귀국하는 역관을 만나 집에 서찰을 보내면서 절구 한 수를 지었다.

 

실처럼 길고 먼 길 잘 가라면서

잘 봉한 편지 늦게 열어볼까 저어하네.

안부편지 두 글자 편지 겉봉에 썼으니

가친께서 보고 아실 것을 멀리서 상상하네.

 

앞뒤의 작품 중 어느 것이 나은지는 모르겠다. 오언은 더욱 어려워서 평생 마음에 드는 것이 아주 드물다. 일찍이 일본에 갔을 때 어떤 이가 닭을 그린 족자에 시를 청하여 이런 시를 써주었다.

 

새벽 부상이 지척인데

어찌 홀로 우지 않는가.

외로운 나그네 꿈 깰까 저어해서

오경 울음소리 당연히 끊겼다네.

 

또 북경에 갔다가 돌아오면서 요동을 지나며 읊은 시.

 

나라 떠난 지 겨우 석 달

나는 듯 가는 길 재촉하네.

어찌 화표주의 학은

천 년만에 돌아오려 하는가.

 

역시 어느 것이 나은지 모르겠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63  (0) 2019.12.11
壺谷詩話 62  (0) 2019.12.10
壺谷詩話 60  (0) 2019.12.07
壺谷詩話 59  (0) 2019.12.03
壺谷詩話 57  (0) 2019.11.23

60) 余在銀臺時 李一卿氏以同 為親乞得洪州 新迎過夏酒 味甚甘烈 李知申正英與兪副學棨會飮 至日暮 時卽仲冬也 副學呼一句曰 過夏當冬飮 余卽對曰 知申盡酉留 兪謂 當人小說

내가 승정원에 있을 때에 동료였던 이일경씨가 부모를 위해 청하여 홍주로 가게 되었다. 새로 맞을 때의 과하주 맛이 아주 달고도 매웠다. 도승지 이정영과 부제학 유계가 모여 술을 마시다가 해가 지게 되었는데 그 때는 중동이었다. 부제학이 한 구절을 부르기를,

겨울에 마침 과하주를 마시니

내가 즉시 대구로,

도승지도 유시가 다하도록 머무네.

라 했다. 유계가, 응당 소설에 들어가야 할 거라 했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62  (0) 2019.12.10
壺谷詩話 61  (0) 2019.12.08
壺谷詩話 59  (0) 2019.12.03
壺谷詩話 57  (0) 2019.11.23
壺谷詩話 56  (0) 2019.11.22

59) 余於壬辰暗行時 節當芳菲 行邁且遲 多有所得 而回踰鳥嶺一律 似稍優 詩曰 閱盡東南海 看來左右州 極邊加德浦 高處密陽樓 歷歷鄉音慣 依依物色留 春風仍過嶺 駐馬飲龍湫 余於湖西考官之行 始訪同春於懷鄉 拜尤齋於蘇堤 夜宿同春堂 尤齋亦會宿 要余賦詩 辭不 呈一律 同 下試春 興悠悠想浴沂 芳草小庭觀物 杏花疎雨 天機 源泉活活初肥脈 雛鳥翩翩漸學飛 隨處一般眞趣在 却令游子澹忘歸 兩先生稱贊 卽貼壁 而至今以唐突為慚

 

임진년에 내가 암행을 할 때, 시절이 마침 꽃이 피는 때였다. 갈 길이 멀어서 천천히 갔는데 얻은 것이 많았다. 그래서 조령을 넘어 돌아오다가 율시 한 수를 지었는데 조금 나은 것 같았다. 그 시.

 

동남쪽 바다를 다 돌아보고

좌우의 고을을 돌아보고 왔네.

맨 끝은 가덕포요

높은 곳을 밀양루로다.

또렷한 시골말은 익숙하고

아련한 경관은 눈에 어리네.

봄바람은 곧 재를 넘어 불고

말을 세워 용추를 마시네.

 

내가 호남지방에 고시관으로 갔을 때 처음으로 회향에서 동춘당을 찾아갔고, 소재에서 우암을 배알했다. 밤에 동춘당과 동숙하는데 우암도 모여 자면서 내게 시를 지으라고 했다.

 

동춘당 아래서 시험삼아 봄옷을 입고

춘흥 일어 욕기하고픈 생각 이네.

꽃다운 풀 우거진 작은 뜰에서 물성을 보고

살구꽃 피고 가랑비 내려 천기를 살피네.

샘을 콸콸 비로소 물줄기 살지게 하고

새끼새 푸드덕푸드덕 점점 날기를 배우네.

따르는 곳마다 참으로 아취가 있으니

도리어 떠돌이 돌아갈 길을 잊게 하네.

 

두 선생이 칭찬하시고 곧 벽에 붙여 놓았으나, 지금은 그 당돌함이 부끄럽기만 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61  (0) 2019.12.08
壺谷詩話 60  (0) 2019.12.07
壺谷詩話 57  (0) 2019.11.23
壺谷詩話 56  (0) 2019.11.22
壺谷詩話 54  (0) 2019.11.19



98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98講.hwp





98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98講.hwp
1.18MB


구멍공 법헌 버금중 법칙 글월문 볕양 임금왕 편안할일





97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97講.hwp


97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97講.hwp
1.25MB

57) 金伯玉始振 余之族叔也 全不事詩 而妙解作法 故絶句或有佳處 遊山詩曰 閑花自落好禽啼 一道清陰轉碧溪 坐睡行吟皆得句 山中無笔不頃題 又作香奩五絶 末句曰 曾愁百年短 却恨五更長甚妙

 

백옥 김시진은 내 일족 아저씨다. 오로지 시짓기를 일삼지 않았으나 시작법을 잘 해득하였다. 그래서 절구가 간혹 좋은 것이 있었다. 유산시.

 

한가한 꽃 절로 지고 새 우는 소리 듣기도 좋네.

한 줄기 맑은 그늘 푸른 시내로 굴렀구나.

앉아 졸거나 가면서 읊조려 모두 시구를 얻는데

산중에는 붓이 없으니 끝내 지을 것 없다네.

 

또 향렴체로 오언절구를 지었다. 끝 구절.

 

일찍이 백 년이 짧은 것을 걱정했는데

도리어 하룻밤이 긴 것을 한스러하네.

 

아주 절묘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60  (0) 2019.12.07
壺谷詩話 59  (0) 2019.12.03
壺谷詩話 56  (0) 2019.11.22
壺谷詩話 54  (0) 2019.11.19
壺谷詩話 53  (0) 2019.11.18

56) 徐載邇心遠 雖不爲詩 時有好處 嘗與余唱和 桃勞字韻 至累篇 徐有一聯曰 吸三斗醋竟安用 緣百尺竿無乃勞 崛强如其人 又善戲作 趙禹端爲暗行時 寄詩 次韻戲之曰 元非白額虎為假 細看黑毛熊是真 盖禹瑞黑面多髯故也趙名龜錫

 

재미 서심원은 비록 시 짓기를 일삼지는 않았으나 때로 좋은 것이 있었다. 일찍이 도 로자 운으로 나와 창화하여 여러 편에 이르렀다. 서필원의 한 연.

 

세 말 술을 마신들 결국 어디에 쓰며

백척간두에 오르는 건 곧 고생이 아닌가!

 

굳세기가 그 사람과 같았으며 또 장난삼아 시를 잘 지었다. 조우서가 암행어사가 되었을 때, 시를 보냈는데 그에 차운하여 장난삼아 지었다.

 

원래 흰 머리 호랑이로 가장한 건 아닌데

세세히 보니 검은 털의 곰이라네.

 

조우서는 얼굴이 검었고 수염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조의 이름은 귀석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59  (0) 2019.12.03
壺谷詩話 57  (0) 2019.11.23
壺谷詩話 54  (0) 2019.11.19
壺谷詩話 53  (0) 2019.11.18
壺谷詩話 52  (0) 2019.11.16



96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96講.hwp


맏백 사내남 글월문 볕양 줄장 으뜸원 길도 노나라로







96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96講.hwp
1.24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