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101講.hwp


春水滿四澤 춘수만사택 봄물은 사방의 연못에 가득하고


夏雲多奇峯 하운다기봉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도 많구나.


秋月揚明揮 추월양명휘 가을 달은 밝게 하늘에 걸려 있는데


冬嶺秀孤松 동령수고송 겨울 산마루엔 소나무 한 그루 우뚝하구나.






101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101講.hwp
1.27MB

玄湖瑣談

任璟

 

1) 驢背春眠穩 靑山夢裡行 覺來知雨過 溪水有新聲 此一絕未知誰作 而世稱絕佳 余以為不然 雨過而有水聲 則雨之暴也 遇暴雨而不覺 猶作驢背之夢 語不近理 唐人詩 春眠不覺曉 處處聞啼鳥 趣眞而語得 自成韻格 詩當如此矣 大抵泥於意趣 墬失格律 詩家之禁 而專務格律 失其意趣 尤不可也 趣屬乎理 格屬乎氣 理為之主 氣為之使 從容乎禮法之塲 開元之際 其庶幾乎此 宋人滯於理 明人拘於氣 雖有淸濁虛實之分 而均之有失也 評者曰 開元之詩 雍容君子 端委廟堂也 宋人之詩 委巷腐儒 擎跽曲拳也 明人之詩 少年俠客 馳馬章臺也 亦可謂善喩也

 

나귀 등에서 편안히 봄잠 들어

꿈속에서 푸른 산 속에 노니네.

깨어나서야 비 지난 줄 알고 보니

시냇물 소리 새롭게 들려오네.

 

이 절구 한 수는 누구 작품인지 아지 못하나 세상에서는 빼어난 작품이라고들 하나 나는 그렇지 않다고 여긴다. 비가 지나서 물소리가 있으려면 비가 세차게 쏟아져야 한다. 폭우를 만나고서도 깨지 않고 오히려 나귀 등에서 편안히 꿈을 꾸었다고 쓴 것은 말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 당나라 사람의 시,

 

봄잠에 빠져 날 새는 줄 몰랐더니

곳곳에 새소리 들려오네.

 

는 사실에서 취해 시어를 얻어서 저절로 운격이 이루어진 것으로 시는 마땅이 이와 같아야 한다. 대저 의취에 빠져 격률을 잃는 것은 시가의 금기지만, 오로지 격률에만 힘써 의취를 잃어버리는 것은 더욱 옳지 않다. 의취는 이에 속하고 격률은 기에 속하니, 이가 주가 되고 기가 부림을 당하게 되면 예법의 장에 딱 들어맞을 것이다. 개원 시절에는 이에 가까웠으나, 송나라 사람들은 이에 빠졌고 명나라 사람들은 기에 얽매었다. 비록 청탁 허실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결함이 있다. 평자는, 개원의 시는 점잖은 군자가 묘당에 단정히 앉은 모양새고, 송인의 시는 길거리의 썩은 선비가 꿇어앉아 두 손을 모은 모양새고, 명인의 시는 소년협객이 장대에서 말을 달리는 모양새라고 했는데 역시 비유를 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玄湖瑣談 3  (0) 2019.12.26
玄湖瑣談 2  (0) 2019.12.24
壺谷詩話 65  (0) 2019.12.13
壺谷詩話 64  (0) 2019.12.12
壺谷詩話 63  (0) 2019.12.11



100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100講.hwp

한수한 빛광 남녘남 볕양 굽을완 베풀장 빛광 버금중





100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100講.hwp
1.13MB

65) 庚戌 余以圻伯為迎勅 往松都 文谷為儐使 余贈一律曰 同時俱以少年稱 倏忽光陰老病仍 任重兩朝君巳倦 治兼三輔我何能 詩名夢裏纔還錦 行役秋來尙飲氷 安得靑山分一半 木蓮花下訪閑僧 文谷和曰 雲龍韓孟世同稱 聚散悲懽十載仍 病後形骸憐我老 公餘詩筆見君能 顚毛鏡裏千莖雪 心事壺中一片氷 暮景田園携手去 不妨生計淡於僧 乂於癸丑 文谷赴燕 余追贐一律曰 溪堂曾吐相公茵 濟院違攀使者輪 病起仍逢南至曰 詩成却寄北行人 知音半世纔同患 傷別中年各損眞 前度靑衫今赤舃 定敎殊域拭眸新 文谷到九連城下次送曰 荒山毳幕雪為茵 獨夜歸心月半輪 關樹尙懸天外夢 驛梅誰寄隴頭人 詩來別恨差堪慰 老去交情始見眞 廾載重遊君莫問 感懷如舊鬢毛新

 

경술년에 나는 경기 감사로서 칙사를 맞으려 송도에 갔었는데, 문곡이 접반사가 되었다. 내가 율시 한 수를 지어 주었다.

 

동시에 함께 소년으로서 칭송받았는데

홀연 세월이 지나 늙고 병들었네.

두 조정 임무 막중해서 그대 이미 수고로웠을 터

삼정승을 겸해 다스림에 내 어찌 능할손가

시명은 꿈속에서 잠깐 금의환향함이오

행역은 가을이 되니 오히려 서늘하도다.

어찌해서 청산 한 모퉁이를 얻어

목련꽃 아래 한가한 스님 찾아올 수 있을까.

 

문곡이 화답하기를,

 

운룡한맹은 세상이 동류로 칭송하는데

모였다 헤어지고 슬퍼했다 기뻐했다를 십 년

앓고 난 후의 내 몰골 늙어 가엾고

여가에 쓴 그대의 시로 그대 능함을 알겠네.

거울에 비친 머리털은 줄기줄기 눈이요

술병 속의 심사는 한 조각 얼음이네.

늘그막에 전원으로 손잡고 돌아오니

생계가 스님도곤 덤덤한들 어떠리.

 

또 문곡이 계축년에 연경에 가는데 내가 율시 한 수를 지어 뒤늦게 보냈다.

 

냇가 집에서 일찍이 상공의 호피방석에 토하고

보제원에서는 사신의 수레에 오르지 못했네.

앓다 일어나니 곧 동짓날인데

시를 지어 북쪽으로 가는 이에게 부치노라.

나를 알아주는 벗이라 반평생 함께 근심했고

이별이 서러운 중년에 각기 참정이 덜어진 듯

전에는 한탄 선비였는데 이제 벼슬길에 올랐으니

다른 나라에서 눈을 씻고 보게 하리라.

 

문곡이 구연성 아래 이르러 차운해서 보내왔다.

 

거친 산을 장막 삼고 눈을 자리 삼아

반달 아래 밤 홀로 돌아가는 마음

국경 나무에는 아직도 하늘 밖 꿈이 걸리고

역사 매화는 언덕 위 사람에게 뉘 보냈는고.

시가 와서 일별의 한 위안이 좀 될 만하네

늙어가며 나누는 정 진정임을 비로소 알겠네.

이십 년 오래 사귄 정 그대 묻지 말게나

감회는 예이제 같으나 귀밑머리는 희다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玄湖瑣談 2  (0) 2019.12.24
玄湖瑣談 1  (0) 2019.12.17
壺谷詩話 64  (0) 2019.12.12
壺谷詩話 63  (0) 2019.12.11
壺谷詩話 62  (0) 2019.12.10

64) 余於丙辰關服服闋後 出住松山 荒凉無比 時 退憂金相公壽興 翠屛趙尙書珩 先已卜居 頗定生理 余戲題一絕曰 退相屛翁各一邱 鯫生今乂返莵裘 荒田破屋尤疲弊 若比三分我益州 南谷鄭相公知和 見之大笑曰 當入小說

 

나는 병진년에 상복을 벗은 후에 송산에 나가 살았는데, 황량하기가 비할 데 없었다. 그때 상공 퇴우 김수흥과 상서 취병 조형이 먼저 이미 살고 있어서 자못 생활이 안정되어 있었다. 내가 장난삼아 절구 한 수를 지었다.

 

퇴상과 취병 노인이 각기 한 언덕을 차지했는데

소생 또한 이제 은거할 곳으로 되돌아왔네.

거친 전답과 쓰러진 집은 더욱 피폐하니

삼국에 비유한다면 나는 익주에 있네.

 

상공 남곡 정지화가 이를 보고서 크게 웃고는, 응당 소설에 넣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玄湖瑣談 1  (0) 2019.12.17
壺谷詩話 65  (0) 2019.12.13
壺谷詩話 63  (0) 2019.12.11
壺谷詩話 62  (0) 2019.12.10
壺谷詩話 61  (0) 2019.12.08

63) 向來親友 落落四散 不栫棘則皆分符于遠邑 兪晦伯櫶之之茂朱也 求別語 余贈一律曰 今之太守盡吾散遍東南與北西 安心星仁皆嶺外 淮江襄陽卽坤倪 飛定邑雙鳬欲發文川五馬蹄 湖郡此時君又去 別詩前後不停題 盖安東孟休徵胄瑞 慶州任文仲奎 星州兪伯圭 仁同尹叔麟趾完淮陽金道常字字亨江陵李弼唧相 襄陽李文伯寅煥 三陟李擇之選 定州宋漢卿昌 文川趙士帴聖吝在一隅故也 而趙則將行故也

 

요즈음 벗들이 뿔뿔이 사방으로 흩어져 귀양가지 않으면 다 나뉘어 먼 고을 원으로 갔다. 유헌이 무주 방백으로 나가면서 별어를 구하기에 내가 율시 한 수를 지어 주었다.

 

요즘의 태수는 모두 내 동료

동서남북으로 흩어져 떠났네.

안동 경주 성주 인동은 다 영남이고

회양 강릉 양양 삼척은 곧 땅 끝이네.

겨우 정읍으로 가는 효익과 헤어졌는데

문천으로 오마제가 떠나려 하네.

호남으로 그대가 떠나려는 이때

이별의 시 짓는 일 앞뒤로 그침이 없네.

 

대개 안동의 휴징 맹주서 경주의 문중 임규 성주의 백규 유창 인동의 숙린 윤지완 회양의 도상 김자정 강릉의 필경 이익상 양양의 문백 이인환 삼척의 택지 이선 정주의 한경 송창 문천의 사준 조성보들이 각기 한 구석에 떨어져 있었을 것인데 조성보가 곧 떠나려 했던 까닭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65  (0) 2019.12.13
壺谷詩話 64  (0) 2019.12.12
壺谷詩話 62  (0) 2019.12.10
壺谷詩話 61  (0) 2019.12.08
壺谷詩話 60  (0) 2019.12.07


99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99講.hwp



작은범표 으뜸원 윗상 석삼 즈믄천 노나라로 구멍공 뜰범





99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99講.hwp
1.16MB

62) 余於乙卯冬 在仁衙 夢得一句曰 滄洲空濶萬帆過 一水春添雨後波 下句則未及成而覺 夢中所見 江湖樓閣 極其淸勝 而未知其何處 亦未知詩意之所在 李季周端夏時在砥鄉 適送書 夢與君遇於江樓 作一句曰 黃鶴白雲何日去 綠陰芳草此時多 未和 不 記 再吟忽然覺悟 與余前夢之意合之 則恰成一絶 而格律高低 時 與注湖形勝 若合 契 元白褒城曲江之夢 ㄒ足奇也 不知驗定在何地何時耶

 

내가 을묘 겨울 인동 고을 관아에서 꿈에 한 구절을 얻었다.

 

창주 텅비어 온갖 범선 지나고

비온 뒤 봄 물에 물결 더하네.

 

아래 구절은 이루지 못하고 꿈에서 깨어났다. 꿈에 본 강호의 누각은 그 맑음이 아주 빼어났으나 어디인지 아지 못하고 시의가 어디 있는지 아지 못하였다. 계주 이단하가 지평에서 마침 서찰을 보내 꿈에 그대와 강루에서 시 한 구절을 지었으나,

 

흰구름 속의 황학은 어느 날 갔는가

푸르디푸른 꽃다운 풀 이런 때 다북하네.

 

무엇을 한 것인지 모르겠다.”라 했다. 처음 보았을 때는 곧 기억하지 못했으나 다시 읊고 나서는 갑자기 깨달아 내가 전에 꿈속에서 지은 시의 뜻과 합한즉 절구 한 수를 이룸을 알았다. 그러나 운과 격율의 고저, 시절과 강호의 형승이 꼭 들어맞는 것 같으니 원진과 백거이가 포성과 곡강에서 꿈을 꾼 것도 기이할 것이 없다. 다만 어느 곳 어느 때 징험이 될지 아지 못하겠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64  (0) 2019.12.12
壺谷詩話 63  (0) 2019.12.11
壺谷詩話 61  (0) 2019.12.08
壺谷詩話 60  (0) 2019.12.07
壺谷詩話 59  (0) 2019.1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