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我東文人 毎與華使唱酬 皆用律詩 故如湖陰大手 至於古詩長篇 不能工 唯權石洲深曉古詩體 其忠州石 送胡秀才 等篇 絶佳 殊非東人只事排比之流 近世 東溟鄭君平 杰出一代 掃盡浮靡之習 其所著歌行 雄健俊逸 可方於盛唐諸子 如俠客篇曰 幽州胡馬客 匕首碧於水 荊卿西入咸陽日 待者何人此子是 惜哉不與俱 藏名屠狗家 空對燕山秋月色 時時吹笛落梅花 此等作 求諸唐詩亦罕 評者謂 我國之文 超越前代 可與中國因幷驅者 有二 踈庵之騈儷 東溟之歌行云

 

우리나라 문인들이 늘 중국 사신과 시를 주고받을 때에는 모두 율시를 사용했다. 그래서 호음과 같은 대가도 장편고시에 이르러서는 공교롭지 못했다. 오직 권석주만이 고시체에 아주 밝았는데, 그의 충주석 송호주재편 등은 기가 막히게 아름다워 우리나라 문인들 중 다만 나열하기만을 일삼는 부류와는 달랐다. 근세에 동명 정군평이 한 시대에 걸출해서 부미한 습속을 다 쓸어버렸으니 그가 쓴 가행은 웅건하고 준일해서 성당의 여러 시인들과 견줄 수 있다. 그의 협객편.

 

유주의 호마를 탄 나그네

비수는 물도곤 시퍼렇구나.

형가가 서쪽으로 함양에 드는 날

누구를 기렸던가, 바로 이 사람

애석도 하구나, 함께 가지 못하고

개백정 사이에 이름을 숨겼네.

헛되이 연산의 가을빛 대하며

때때로 피리를 부노라니 매화만 지네.

 

이들 작품은 여러 당시에서 찾으려 해도 드물다. 평자가, “우리나라의 글 중 전대를 넘어서는 중국의 글과 나란히 달릴 수 있는 것이 둘 있는데 소암의 변려문과 동명의 가행이다.”라 했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25  (0) 2019.07.19
능소화  (0) 2019.07.18
終南叢志 23  (0) 2019.07.17
終南叢志 22  (0) 2019.07.16
終南叢志 21  (0) 2019.07.12


23) 湖洲蔡裕後 嘗往東湖秃音(地名) 與李承旨元鎭 同舟而遊 湖洲醉甚 誤墮江水 李公急捄담을구건질증之 湖洲卽吟一絶曰 但覺酒杯淺 不知江水深 舟中李膺在 肯使屈原沈 一座稱佳 或傳 湖洲先得此句 陽自墮水云 可添詩人笑資

 

호주 채유후가 일찍이 동호의 독음에 가서 승지 이원진과 함께 배를 타고 놀다가 무척이나 취해서 실수로 강물에 빠졌다. 이공이 급히 그를 건져주자 호주가 즉시 절구 한 수를 지었다.

 

술잔 얕은 줄만 알았지

강물이 깊은 줄은 몰랐네.

배 안에 이응이 있는데

굴원을 물에 빠지게 하겠는가

 

온 좌석이 좋다고 칭찬했다. 어떤 이가, “호주가 먼저 이 구절을 얻고서는 부러 스스로 물에 빠진 것이다.”라 하니, 시인의 우스갯거리로 더할 만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소화  (0) 2019.07.18
終南叢志 24  (0) 2019.07.18
終南叢志 22  (0) 2019.07.16
終南叢志 21  (0) 2019.07.12
終南叢志 20  (0) 2019.07.11


22) 余內舅睦參判諱長欽 號茶山 文才早成 且工書法 以詩冠司馬試 考官稱歎曰 工部之詩 右軍之筆 其道峯書院詩曰 春來病脚力猶微 步入千林到石扉 欹아의枕古樓鳴瀨여울뢰轉 捲簾深院落花飛 天機滾滾催時序 世事茫茫足是非 聊與二三談往迹 淸風起我昹而歸 仙夢臺詩曰 松檜陰陰水殿虛 一區籬落畵圖如 翛날개치는소리소然覺罷仙臺夢 步出林亭月影疎 贈謝恩使先還詩曰 日落廬龍塞 天寒古北平 鄕心千萬疊 封寄漢陽城 諸詩皆淸麗有唐韻

 

내 외삼촌 목참판의 휘는 장흠이고 호는 다산인데 글재주가 일찍 이루어졌고 또 서법에도 아주 뛰어났다. 시로서 사마시에 일등을 했는데 시험관이 탄복하여 두보의 시에 왕희지의 필체로다.”라며 감탄하여 칭찬했다. 그의 도봉서원시.

 

봄은 왔건만 병든 다리에는 아직 힘이 없는데

걸어서 짙은 수풀 속에 들어가 돌문에 이르네.

, 낡은 누각에 베개 베고 누우니 여울소리 구르고

발 거두니 깊은 정원에 지는 꽃잎 흩날리네.

하늘 기미 꿈틀꿈틀 계절을 재촉하는데

세상만사 아득히 시비도 많구나.

문득 두셋이서 지난날 일 이야기 나누며

맑은 바람 날 일으켜 흥얼흥얼 돌아오네.

 

선몽대시.

 

소나무회나무 그늘 속 물가의 집은 비었고

빙둘러친 울타리 한 폭의 그림 같구나.

문득 신선의 누대에서 꿈을 깨

수풀 속 정자에서 걷노라니 달그림자 성기네.

 

증사은사선환시.

 

해 진 변방 노룡은

옛 추운 곳 북평이라네.

고향 생각 천만 겹을

봉하여 한양성에 부치과저.

 

이들 시가 모두 청려하여 당시의 운치가 있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24  (0) 2019.07.18
終南叢志 23  (0) 2019.07.17
終南叢志 21  (0) 2019.07.12
終南叢志 20  (0) 2019.07.11
終南叢志 19  (0) 2019.07.10


맏백 뫼산 볕양 남녘남 평평할평 볕양 베풀진 나라한



78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78講.hwp





78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78講.hwp
0.89MB


21) 余先人 嘗於乙巳年間 夢作近體一首 覺後 只記天襯古城㘅재갈함落日 霞兼孤鶩帶長風之句 後謫濟州 登曲城而望之 則滿眼風景 宛如昔夢所睹 豈非數耶 遂因其一聯而追成全篇 其詩曰 他鄕邂逅一樽同 却喜衰顏發醉紅 天襯古城啣落日 霞兼孤鶩집오리목帶長風 仙搓渺渺身何往, 故國迢迢信不通 萬事乘除元有數 向來三敗敢云窮 又一聯曰 萬死一身衰鬢改 十年三黜壮心堅 澤堂見之極稱賞

 

내 돌아가신 아버지는 일찍이 을사년간에 꿈에 근체시 한 수를 지으셨는데 다만,

 

하늘에 맛닿은 옛성에 지는 해 걸려 있고

노을 속에 한 마리 따오기는 긴 바람을 타네.

 

라는 구절을 기록했을 뿐이었다. 후에 제주로 유배를 가서 굽을 성에 올라 보니 눈에 들어오는 모든 경치가 지난 꿈속에서 본 것과 완연히 같았다. 어찌 운명이 아니랴. 마침내 그 한 연에 이어 계속 전편을 완성하였다. 그 시.

 

타향에서 술 한 동이 놓고 함께 만나니

늙은 얼굴에 홍조가 드니 아주 좋구나.

하늘 맛닿은 옛성에 지는 해 걸려 있고

노을 속에 한 마리 따오기는 긴 바람을 타네.

신선의 뗏목 아득한데 몸은 어디로 가는가

고국은 멀어멀어 소식도 없다네.

모든 흥망성쇠는 원래 정해진 것인데

지난 날 세 번이나 어그러진 것을 감히 궁해서라 하지 마오.

 

또 한 연.

 

만 번이나 죽을 뻔한 이 한 몸 늙어 귀밑머리 변하고

십 년에 세 번이나 쫓겨나니 굳은 뜻 굳어만 가네.

 

택당이 보고서는 극찬했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23  (0) 2019.07.17
終南叢志 22  (0) 2019.07.16
終南叢志 20  (0) 2019.07.11
終南叢志 19  (0) 2019.07.10
終南叢志 18  (0) 2019.07.05


(20) 余先人號南峯 自少爲文詞便自成家 而罕有知之者 今錄其數首 其送巡檢使三入海防詩曰 南徼春來軫聖憂 忽看鄕月照遐陬모퉁이추 一身許國三持節 千里籌邊幾上樓 蔽野旌旗明組練 滿船茄鼓擁貔貅비휴 玆行可施男兒志 何用臨岐浪自愁 又丙子亂後 再過新安有一絶曰 胡騎長驅夜到遼 百年城郭此蕭條 可憐蘇小門前柳 猶帶春風學舞腰 澤堂嘗稱 悽惋可誦

 

내 돌아가신 아버지의 호는 남봉인데 어려서부터 시문을 해서 곧 스스로 일가를 이루었으나 그것을 아는 이가 드물었다. 이제 그 두어 수를 기록한다. 그의 송순검사삼입해방시.

남쪽 변방에 봄이 오니 임금님 근심 늘고

문득 고향 달 보니 먼 변방까지 비추네.

몸 나라에 바쳐 세 번이나 임명을 받았고

천리 밖 변경 방비책으로 몇 번이나 누각에 올랐나.

들판 덮은 정기는 조련을 밝힘이요

피리소리 북소리 용맹한 군대 배 안에 가득한데

이 행동으로 남아 뜻을 베풀 수 있나니

이별하는 자리에서 헛되이 스스로 근심할 것이랴.

 

또 병자란 후에 다시 신안을 지나면서 절구 한 수를 지었다.

 

오랑캐 말 오래 몰아 밤에 요동에 도착하니

백 년 성곽이 이렇게도 쓸쓸한가

가련토다 소소문 앞 버들이여

아직도 봄바람에 실려 춤추는 허리를 배우네.

 

택당이 처완함이 읊을 만하다고 일찍이 칭찬하였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22  (0) 2019.07.16
終南叢志 21  (0) 2019.07.12
終南叢志 19  (0) 2019.07.10
終南叢志 18  (0) 2019.07.05
우리집일출  (0) 2019.07.04


(19) 苔川金地粹 一號天台山人 嘗與太能相善 一日 太能至 金贈詩曰 黃葉水西村 蒼苔秋晻門 山僧冒雨至 夜坐講玄言 太能吟咏曰 首句近唐 三四涉宋 金使太能誦其所作 太能誦一絶曰 夜深霜氣重 天遠雁聲高 客宿西亭月 還山秋夢勞 金曰 爾詩四句 果皆唐 稱賞不已

 

태천 김지수의 또 하나의 호는 천태산인인데 일찍이 태능과 서로 잘 지냈다. 하루는 태능이 오자 김지수가 시를 주었다.

 

물 건너 서쪽 마을에는 단풍이 노랗고

가을날 푸른 이끼 속에 절간 문은 닫혔네.

산승이 비를 무릅쓰고 와서는

밤에 앉아 오묘한 말씀 하시네.

 

태능이 읊조려 보고는, “머릿구는 당시에 가깝고, 3,4구는 송시에 가깝다.”고 했다. 김지수가 태능에게 그가 쓴 시를 외워보라고 하자, 태능이 절구 한 수를 외웠다.

 

밤은 깊어 서리 기운도 차가운데

하늘 멀리 기러기 소리도 높구나.

나그네 머무는 서쪽 정자에 달이 떴는데

산에 돌아오니 가을밤 꿈 수고롭네.

 

김지수가 그대의 시 넷째 구는 과연 당시로세.”라며 칭찬을 그치지 않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21  (0) 2019.07.12
終南叢志 20  (0) 2019.07.11
終南叢志 18  (0) 2019.07.05
우리집일출  (0) 2019.07.04
終南叢志 17  (0) 2019.07.04


맏백 마루종 베풀선 동녘동 나라국 쓸고 염려할우 높을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