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숭아  (0) 2019.08.08
  (0) 2019.08.07
황룡복거  (0) 2019.07.31
불갑산  (0) 2019.07.28
아향산체본과학생작품  (0) 2019.03.02


33) 南雲卿龍翼甞奉使日本 倭人以畫鷄一幅求詩 南題贈一絕云 咫尺扶桑曉 胡為獨不鳴 恐驚孤客夢 應絕五更聲 南常以佳作自矜 而但末句 應絕 二字 直說無風韻 鄙俗可欠 李知白 少與南同榻做工 卽能文者也 甞遇南問曰 公詩今到幾首耶 答曰 當過千首矣 李曰 然則無亦已至消朽耶 盖譏其所讀小而所賦多也 南聞之憮然 南與金久之壽恒 才華齊名 而應卒敏速 人以南為優

 

운경 남용익이 일찍이 일본에 사신으로 갔는데 왜인들이 닭을 그린 화폭 하나를 가지고 시를 청했다. 남용익이 써 준 절구.

 

해뜨는 곳이 지척인 곳에서

어찌 홀로 울지 않게 되었는지.

외로운 나그네의 꿈 깨울까 저어해서

새벽을 알리는 소리마저 끊었네.

 

남이 항상 좋은 시라고 자부했는데 다만 말구 응절 두 자가 직설적이어서 풍류와 운치가 없고 비속한 것이 흠이라 할 수 있다. 이지백은 어려서 남과 함께 공부를 했는데 그는 글을 잘하는 이였다. 일찍이 남을 만나, “공의 시는 지금 몇 수나 되는가?”라 묻자, “당연이 천 수는 넘을 것이다.”라고 대답하자, 이가 그러면 이미 쓰레기가 되어버린 것은 없는가?”라고 하자, 곧 그가 읽은 것이 적고 쓰는 것이 많은 것을 기롱한 것이다. 남이 이를 듣고는 무안해했다. 남과 김수항은 글재주가 있는 것으로 나란히 이름이 났는데 갑자기 신속하게 응해서 짓는 데는 사람들은 남이 낫다고 했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35  (0) 2019.08.08
終南叢志 34  (0) 2019.08.07
終南叢志 32  (0) 2019.07.31
終南叢志 31  (0) 2019.07.29
終南叢志 30  (0) 2019.07.28


81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81講.hwp






81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81講.hwp
0.93MB



'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9.08.07
황룡복거  (0) 2019.08.06
불갑산  (0) 2019.07.28
아향산체본과학생작품  (0) 2019.03.02
대하장주수체본과학생작품  (0) 2019.03.01


32) 申元澤混少以奇童名世 後為安州敎授 將赴關西 其母有戒色之訓 其妻亦有警言 申戲賦一絕曰, 謂我西行錦繡叢 慈親戒色婦言同 母憂疾病誠為是 妻妬風流未必公 此詩世多傳誦稱善 而第四句 妻妬風流 四字 殊非微婉之語 若改以 妻意安知盡出公 則似乎有味 以俟具眼評論

 

원택 신혼은 어려서 기동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후에 안주의 교수가 되어 관서로 부임하려 할 때 그 어머니가 여색을 삼가라는 훈계를 하였고 그 처 역시 조심하라는 말을 했다. 신이 장난 삼아 절구 한 수를 지었다.

 

내가 관서의 미인들 모인 곳으로 간다 했더니

어머니는 여색을 삼가라시고 부인 말 같도다.

병을 앓을까 걱정하신 어머니는 정말 옳지만

아내는 풍류를 시샘하니 꼭 공정한 것은 아니네.

 

이 시는 세상에 많이 전하며 암송되어 좋다고 칭송된다. 4구의 처투풍류 네 자는 완곡한 뜻이 적은 말이니 만약 고쳐서 그것을 아내의 뜻이 모두 공정한 데서 나온 것임을 어찌 알리라 했더라면 맛이 있었을 것 같다. 안목 있는 이의 평을 기다린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34  (0) 2019.08.07
終南叢志 33  (0) 2019.08.06
終南叢志 31  (0) 2019.07.29
終南叢志 30  (0) 2019.07.28
終南叢志 29  (0) 2019.07.27


80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80講.hwp


임금왕 아들자 소나무송 맡길임 재성 사례할사 맏백 위엄위






80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80講.hwp
0.85MB


31) 文章罕出於世者也 固不可易得 至於近世才士之佼佼者 亦且寥寥 良可歎也 洪元九錫箕 天才絕人 佳作不可勝記 又善押强韻 人有呼韻 則應聲而對 甞與友人同行 適見松樹上 有一鴉飛噪 友人以鴉為題 呼針衾心三字為韻 欲以窘元九 元九卽隨呼韻輒對曰 姑也休嗔慵不針 春愁多夢擁羅衾 爾能解說吾姑惡 正得深閨少婦心 友人吐舌歎賞 元九甞受業於張谿谷 谿谷曰 洪某之才 謂之文章 則軆制未備 只謂之才子 則渠必寃之 盖才士之雄者云 澤堂甞云 天章大才 人所難及 而鄭公德餘柳公汝一 亦其匹也 德餘卽鄭玄谷百昌之字 汝一卽柳承旨道三之字也

 

문장이란 세상에 나오기가 드무니 참으로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근세에 이르러 재사 중에 두드러진 이 역시 적으니 참으로 개탄할 일이다. 원구 홍석기는 타고난 재주가 남보다 뛰어나 좋은 작품을 다 기록할 수가 없다. 강운에도 압운을 잘해서 사람들이 운을 부르면 즉시 응해서 답을 했다. 일찍이 벗들과 함께 가는데 마침 소나무 위에서 까마귀 한 마리가 울며 나는 것을 보고는 벗이 까마귀를 제목으로 시를 짓게 하면서 침 금 심 세 자를 불러 운을 삼으라고 하며 원구를 골탕먹이려고 했으나, 원구는 즉시 운을 부르는 데 따라서 곧 대답했다.

 

시어머니여 게을러 바느질하지 않는다 역정내지 마시오

봄 시름에 꿈도 많아 비단이불을 보듬었다오.

네 우리 시어머니 나쁘다고 말할 줄 아노니

깊고 깊은 안방의 젊은 며느리 마음을 제대로 알았구나.

 

친구들이 혀를 내밀며 탄상했다. 원구가 일찍이 장계곡에게 수업을 받는데 계곡이, “홍모의 재주를 일러 문장이라고 하고, 체제가 갖추어지 않아서 다만 재주가 있을 뿐이다라고만 한다면 반드시 억울해 할 것이다. 아마도 재주 있는 이들 중에서도 뛰어난 사람이다.”라 했다. 택당이 일찍이, “하늘이 낸 큰 재주는 사람들이 미치기 어렵고 정공 덕여와 유공 여일이나 대적할 만하다.” 라 했다. 덕여는 현곡 정백창의 자이고, 여일은 승지 유도삼의 자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33  (0) 2019.08.06
終南叢志 32  (0) 2019.07.31
終南叢志 30  (0) 2019.07.28
終南叢志 29  (0) 2019.07.27
終南叢志 28  (0) 2019.07.25



'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룡복거  (0) 2019.08.06
황룡복거  (0) 2019.07.31
아향산체본과학생작품  (0) 2019.03.02
대하장주수체본과학생작품  (0) 2019.03.01
적우침주체본과학생작품  (0) 2019.0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