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驪州利川兩太守 與慶安督郵 同會于驪江神勒寺 賦詩為樂 其韻卽菴嵐潭也 寺有一讀書生 適在座 倅謂曰 君亦能詩乎 書生曰 雖拙 敢不依命 卽和題曰 千門寺剎勒稱菴 冬日陰雲換作嵐 氷合大江新有雪 宛如平陸豈云潭 盖諸倅之作 以巨剎為菴 以陰雲為嵐 以雪後氷合之江為潭 故書生嘲其下語之謬 諸倅大慙而散 噫 世有强作賦咏取笑傍觀者 奚獨驪利兩倅而已哉

 

여주 이천 두 고을 태수가 경안독우와 함께 여강 신륵사에 모여서 시를 지으며 즐기고 있었는데, 그 운이 곧 암, , 담이었다. 절에는 책을 읽는 어떤 선비가 있어서 마침 자리에 앉아 있는지라, 태수가 그대도 시를 지을 수 있는가?” 하고 물으니, 서생이, “비록 잘 짓지는 못하나 감히 명을 따르지 않으리오.”라 하고서는 즉시 화답해서 지었다.

 

천 개의 문을 가진 신륵사를 암자라 하고

차가운 겨울 먹구름을 아지랑이라 부르네.

얼어붙은 큰 강은 새로 내린 눈으로

평탄한 뭍과 완연히 같거늘 어찌 못이라 하누.

 

아마 여러 수령들이 시를 지으면서, 거찰을 암자라 하고, 먹구름을 아지랑이라 하고, 눈이 온 후의 언 강을 못이라 해서 서생이 그들의 잘못 쓴 시어를 조롱한 것일 것이다. 여러 수령들이 크게 무안해하며 뿔뿔이 헤어져 갔다. , 세상에 강제로 시를 짓게 해서 읊조리다가 곁에서 보는 이의 웃음을 사는 것이 어찌 여주 이천 두 태수뿐이겠는가.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44  (0) 2019.08.19
終南叢志 43  (0) 2019.08.18
終南叢志 41  (0) 2019.08.16
終南叢志 40  (0) 2019.08.15
終南叢志 39  (0) 2019.08.14



'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又日新  (0) 2019.08.18
松壽  (0) 2019.08.17
無伐善  (0) 2019.08.15
無念  (0) 2019.08.14
月下獨酌  (0) 2019.08.09


41) 落日淸江興 回頭問白鴎 答云紅蓼月 漁笛數聲秋 不知誰作 而眞俳優之語 鄙俚可笑 白鷗豈有與人酬答之理耶 世罕知詩者 皆稱名作 而或以為余作 秪堪捧腹

 

해 떨어진 맑은 강의 흥취를

고개 돌려서 백구에게 묻노라.

빨간 여뀌 담은 달빛 속에

고기잡이 피리소리에 가을이 깊다네.

 

누가 지은 것인지 모르나 정말 광대의 말이라 저속해서 가소롭다. 백구가 어찌 사람과 말을 주고받을 리가 있겠는가. 세상에 시를 아는 이가 드물어서, 모두 명작이라 일컫고 혹 자기 작품이라고 하나 다만 배를 잡고 웃을 일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43  (0) 2019.08.18
終南叢志 42  (0) 2019.08.17
終南叢志 40  (0) 2019.08.15
終南叢志 39  (0) 2019.08.14
終南叢志 38  (0) 2019.08.13



'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壽  (0) 2019.08.17
誓海盟山  (0) 2019.08.16
無念  (0) 2019.08.14
月下獨酌  (0) 2019.08.09
봉숭아  (0) 2019.08.08


40) 倉頡謾為離別字 秦皇胡乃不焚之 至今留滯人間世 長見陽關去留時 此乃優人戲語 良堪唾去 或傳以為楊蓬萊詩 決知其非是 未知其集中 果有此詩否

 

창힐은 부질없이 이별이란 글자를 만들었고,

진황은 어찌 그것을 불사르지 않았던가.

지금까지 인간세상에 머물다가는

길이 양관에서 헤어질 때를 보는가.

 

이는 곧 광대들의 농짓거리니 정말 내버려야 할 것이다. 혹 양봉래의 시라고 전하나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의 문집 안에 이런 시가 과연 있는지의 여부는 알지 못한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42  (0) 2019.08.17
終南叢志 41  (0) 2019.08.16
終南叢志 39  (0) 2019.08.14
終南叢志 38  (0) 2019.08.13
終南叢志 37  (0) 2019.08.11



'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誓海盟山  (0) 2019.08.16
無伐善  (0) 2019.08.15
月下獨酌  (0) 2019.08.09
봉숭아  (0) 2019.08.08
  (0) 2019.08.07


39) 近者無詩 非無詩 詩之可者無有也 大抵 人不致力於古作者 徒事擧業 或工於科賦科詩 而全昧於古詩律 雖粗解綴句者 亦未脫科體 故如村鼓島笛 雜亂不堪聞 其可詩云乎哉 人傳一鄉士詩曰 唐虞勳業日蕭條 風雨乾坤久寂寥 春到碧山花鳥語 太平遺跡未全消 雖非唐格 擺脫科臼 章法渾成 惜乎 失其名而不傳於世也

 

요즘에 시가 없다는 것은 시가 없는 것이 아니라 시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는 말이다. 대개 사람들이 옛 시인들보다 힘을 들이지 않고 한갓 과거공부만 일삼는다. 혹 과거의 부와 시에는 능하나 고시율에는 아주 어두우며, 비록 조악하게나마 시구를 얽을 줄 아는 이라도 과거체에서 벗어나지 못해서 촌사람의 북소리, 섬사람의 피리소리처럼 난잡하여 차마 들을 수가 없으니 그것을 시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사람들이 전한 어떤 시골선비의 시.

 

당우의 훈업이 쇠퇴해버린 지금

비바람 몰아치는 천지 오래도록 쓸쓸하구나.

봄이 와 산 푸르니 꽃 속에서 새가 지저귀니

태평시절 유적이 다 사라진 건 아니라네.

 

비록 당의 격조는 아니나 과시체의 폐해에서 벗어나서 시 짓는 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애석하게도 그 이름을 잃어 세상에 전하지 않는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41  (0) 2019.08.16
終南叢志 40  (0) 2019.08.15
終南叢志 38  (0) 2019.08.13
終南叢志 37  (0) 2019.08.11
終南叢志 36  (0) 2019.08.09


38) 敎官趙宗著 殿中任埅 俱有詩才 趙之咏雪詩一聯 馬蹄凍蹋銀杯路 鶯語寒喑玉樹春 任之拱北樓詩一聯 春如棄我無情去 詩為逢君得意題 人以為佳 第鶯語寒喑 造語牽强未安

 

교관 조종저와 전중 임방은 다 시재가 있었다. 조의 영설시 한 연.

 

얼어붙은 말굽자국은 길 위의 은술잔이요

봄 꾀꼬리 소리 추워 회화나무 속에 얼어붙었네.

 

임의 공북루시 한 연.

 

봄이 나를 버린 듯 무정하게도 가버리지만

그대를 만나 마음 놓고 시를 짓네.

 

사람들이 훌륭하다 여겼다. 다만 앵어한암은 억지로 만든 말이라 무리가 있어 편안하지 못하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南叢志 40  (0) 2019.08.15
終南叢志 39  (0) 2019.08.14
終南叢志 37  (0) 2019.08.11
終南叢志 36  (0) 2019.08.09
終南叢志 35  (0) 2019.08.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