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가월령가3월  (0) 2020.01.30
放下着-조규석작품  (0) 2019.09.18
唯善爲寶-정동길작품  (0) 2019.09.15
又日新-최유순작품  (0) 2019.09.12
龍飛-이현숙작품  (0) 2019.09.10

17) 五山之詩 滔滔不渴 一夜或作百餘篇 成一集 或人屏中 袒裼跳踴 作詩投屛外 則俄頃紙與屛齊 嘗使日本 倭人例設白紋障蚊之帳 廣可數間 而一宿之間 製各體 揮洒遍帳 倭人易之 則又如之 至三而止 翌日取觀之 頗有悔語 盖其疵纇之多故也 自言 貼紙於萬里長城 使我走筆 則城有盡而我詩不窮云 盖五山自是宇宙間氣 有如項王喑啞叱咜 獨當萬人 夫誰與敵 但蛟螭少 而螻蚓多 傳後則實難 如愁來徙倚仲宣樓一篇 人所膾炙 而疵病亦多 瑕瑜不相掩 他皆類此

 

오산의 시는 물흐르듯 도도해서 마르지 않아 어떤 때에는 하룻밤에 백여 편을 지어 시집 하나를 이루었다. 어떤 때에는 병풍 안에서 옷을 벗고는 뛰어오르면서 시를 지어 병풍 밖으로 내던지면 잠깐 사이에 종이가 병풍과 나란했다. 일찍이 일본 사신으로 갔을 때 왜인들이 흰 무늬의 휘장을 쳐 놓은 것이 넓이가 여러 칸이었데 하룻밤 사이에 각 체를 지은 것이 휘장에 가득했다. 왜인들이 그것을 바꾸어 놓으면 또 그같이 하기를 세 번에 이르고서야 그만두었다. 다음 날 그것을 가져다가 보고는 자못 후회하는 말을 했었는데 아마도 그것에 흠이 많았기 때문일 것이다. 스스로 말하기를, “만리장성에 종이를 붙여 내게 붓을 달리게 한다면 성은 끝이 있을 것이지만 내 시는 끝이 없을 것이다.”라 했다 한다. 아마도 오산은 우주 사이의 뛰어난 인재로서 항왕처럼 아무 말도 안하고 벙어리 행세를 해도 홀로 만 명을 당해낼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니 누가 대적할 수 있겠는가? 다만 이무기는 적고 지렁이는 많으니 후세에 전하기는 실로 어려운 것이다.

 

걱정스러워 중선의 누대에서 오락가락한다네.

 

와 같은 한 편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데 흠도 많아 옥에 티를 가릴 수는없다. 다른 것도 다 이런 부류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19  (0) 2019.09.20
壺谷詩話 18  (0) 2019.09.18
壺谷詩話 16  (0) 2019.09.15
壺谷詩話 15  (0) 2019.09.12
壺谷詩話 14  (0) 2019.09.10

 

 

87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87講.hwp

 

임금왕 무덤릉 젊을소 처음초 연고고 감독할독 우편우 둔할로

 

 

 

 

 

 

 

 
87th Lecture of Hanyegibi Course 漢禮器碑講座 第87講.hwp
1.0MB



'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放下着-조규석작품  (0) 2019.09.18
人乃天-강이원작품  (0) 2019.09.17
又日新-최유순작품  (0) 2019.09.12
龍飛-이현숙작품  (0) 2019.09.10
松壽-정태익작품  (0) 2019.09.08

16) 崔白優劣 簡易序已定 謂崔曰 炯然南國之孤照 謂白曰 吟作秋蟲到白頭 意可知矣 絕句崔果優 而七律無可傳者 至若 紅藕一池風滿院 亂蟬千樹雨歸村 一聯 則崔讓於白矣 律絕最優者 其蓀谷乎

 

최와 백의 우열은 간이의 서문에 이미 정해져 있었다. 최가, “반짝이는 것이 남국의 외로운 빛과 같다.”고 하자, 백이, “읊조리는 것이 가을 벌레의 흰 머리가 되었네.”라 했으니, 그 뜻을 알 만하다. 절구는 최가 과연 나으나, 칠언율시는 전할 만한 것이 없다.

 

붉은 연꽃 연못 가득한데 바람은 온 집을 휩쓸고

우거진 숲속에서 울어대는 매미소리 들으며 빗속에서 마을로 돌아오네.

 

와 같은 한 연에 이르면 최가 백에게 양보해야 한다. 율시와 절구 모두 가장 뛰어난 이는 손곡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18  (0) 2019.09.18
壺谷詩話 17  (0) 2019.09.17
壺谷詩話 15  (0) 2019.09.12
壺谷詩話 14  (0) 2019.09.10
壺谷詩話 13  (0) 2019.09.08



'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乃天-강이원작품  (0) 2019.09.17
唯善爲寶-정동길작품  (0) 2019.09.15
龍飛-이현숙작품  (0) 2019.09.10
松壽-정태익작품  (0) 2019.09.08
誓海盟山-공민종작품  (0) 2019.09.07

15) 國朝文章之士 莫盛於成宣兩朝 而詩才之盛 宣廟朝為最 比諸皇明 其嘉隆之際乎 宣廟朝 詩文之兼備 當以簡易為首 簡易 銀臺二十咏 盖李靑蓮後白 為堂后時 呼新魁試才 使之一進退 各成一律者 而篇篇皆有味 其中枯木結局苔蘚作花蘿作葉 還知造物未全捐 語甚新奇 且延興府院君宴席所賦 避暑風流傾北海一律 一時諸文人 皆閣筆 以今觀之 此作儘好 而知其好者必鮮 雖知 亦不必閣筆 以長其聲價 盖當時則有眞知者 故爾 簡易自許以天下文章 不可草草自奉 以荏飼牛 而食之 平居必錦帳繡袍 接待朝士極傲 而其時文人皆受以不忤 多有受業者 亦多推轂 至除槐院提調 此由於眞知其文章之可責故也

 

우리 조선에서 문장을 하는 선비들이 성종 선조 양조 때보다 성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시재의 성함은 선조조가 제일이었다. 여러 중국 왕조에 비긴다면 가정 융경의 시대와 같다. 선조조에는 시문을 겸한 이로는 응당 간이를 첫째로 삼는다. 간이의 은대이십영은 아마도 청연 이후백이 승지가 되어 새로 장원한 이를 불러 재주를 시험해서 그를 승진시켰을 때, 각기 율시 한 수씩을 지은 것으로 편마다 모두 맛이 있다. 그 중에서 고목이란 시의 결구에,

 

이끼는 꽃이 되고 담쟁이는 잎이 되니

조물주가 완전히 없애버리지는 않았음을 알겠노라.

 

는 말이 아주 새롭고도 기이하다. 또 연흥부원군의 연석에서 지은, 피서풍류경불해 율시는 한때 여러 문인들이 모두 붓을 놓을 정도였다. 지금 보건대 이 작품이 좋기는 하나 그것이 좋은 것인 줄을 아는 이는 정말 드물 것이다. 비록 알았다고 해도 꼭 붓을 놓아 그의 성가를 높여주려 하지 않았을 것인데 아마도 당시에는 참으로 아는 이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간이는 스스로 천하 문장이라고 자부하여 자신을 받드는 데 구차하지 않았다. 참깨로 소를 먹이고 평상시 거처할 때 꼭 비단 장막과 화려한 도포를 입었으며 조정의 선비를 접대할 때는 아주 거만했으나, 당시의 문인들이 모두 불쾌하게 여기지 않았다. 많은 이들이 수업을 받았는데 역시 많은 이들이 그를 밀어올려 승정원 제조에 제수되기에 이르렀다. 이는 그의 문장이 귀하게 여길 만하다는 것을 참으로 아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17  (0) 2019.09.17
壺谷詩話 16  (0) 2019.09.15
壺谷詩話 14  (0) 2019.09.10
壺谷詩話 13  (0) 2019.09.08
壺谷詩話 12  (0) 2019.09.07



'漢文學 > 글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唯善爲寶-정동길작품  (0) 2019.09.15
又日新-최유순작품  (0) 2019.09.12
松壽-정태익작품  (0) 2019.09.08
誓海盟山-공민종작품  (0) 2019.09.07
無伐善-정기석작품  (0) 2019.09.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