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高麗政丞韓宗愈 少時放蕩不覊 結徒數十人 每於巫覡歌舞之處 劫掠醉飽 拍手歌楊花 時人謂之楊花徒 及爲相國 功名事業彪炳當世 晩年退老鄕曲 卽今漢江上楮子島也 嘗作詩云 十里平湖細雨過 一聲長笛隔露花 却將殷鼎調羹水 還把漁竿下晩沙 又云 輕衫短帽繞池塘 隔岸垂楊送晩凉 散步歸來山月上 杖頭猶濕露荷香
고려 때의 정승 한종유는 어렸을 때, 성품이 방탕하고 얽매이는 것을 싫어하여 수십 명과 무리를 지어 늘 무당들이 노래하고 춤추는 데에 가서 빼앗아 취하도록 마시고 실컷 먹고는 손뼉을 치며 양화가를 부르니, 그에 사람들이 양화도라고 물렀다. 상국이 되자 공명사업이 당세에 빛나고, 만년에 향곡에 은퇴하였는데, 그곳은 지금 한강 상류의 저자도이다. 일찍이 이런 시를 지었다.
십 리의 잔잔한 호수에 이슬비 내리고,
한 줄기 긴 피리소리는 갈대꽃 멀리서 들리네.
은나라 솥에 국을 요리하던 손을 가지고
오히려 낚싯대 잡고 해 저문 모래밭을 내려가네.
또 이런 시도 지었다.
가벼운 적삼에 짧은 모자를 쓰고 연못을 돌아서니
언덕 멀리 버드나무 시원한 미풍 보내오네.
천천히 걸어 돌아오니 산에 달이 뜨고
지팡이 끝은 이슬 맞은 연꽃 항기에 젖어드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慵齋叢話 10 (0) | 2016.06.28 |
---|---|
[스크랩] 慵齋叢話 9 (0) | 2016.06.27 |
[스크랩] 慵齋叢話 7 (0) | 2016.06.24 |
[스크랩] 慵齋叢話 6 (0) | 2016.06.23 |
[스크랩] 慵齋叢話 5 (0) | 2016.06.22 |